제주 올레길은 걷기 좋은 길들을 선정하여 개발한 도보여행 코스이다. ‘올레’는 제주 방언으로 좁은 골목을 뜻하며, 통상 큰길에서 집의 대문까지 이어지는 좁은 길이다. 도보여행 코스로 각광을 받고 있는 제주 올레길은 언론인 서명숙씨를 중심으로 구성된 사단법인 제주올레에서 개발한 것이다.
이 길을 일군 서명숙씨는 나이 오십에 기자생활을 접고 산티아고 순례길에서 고향 제주를 생각하며 ‘ 산티아고보다 더 아름답고 평화로운 길을 만들리라’는 생각을 했고 그런 그녀의 생각이 제주 올레길로 탄생되었다. 그러나 그녀의 이런 생각은 행정관청의 오만과 편견에 부딪히는 어려움을 겪어야만 했다. 하지만 그녀는 주위의 온갖 무시와 편견을 이겨내고 결국 그녀의 생각 올레길을 민간인의 힘으로 개척하는 성공했다.
관이 미처 생각해내지 못한 아이디어를 제공한 사람에게 칭찬과 격려대신 비난과 무시로 일관한 행정관들의 모습을 행동경제학 관점에서 보면 인간이 이성적 존재라고 믿고 있는 우리들의 신념과 달리 인간이 비합리적이고 비이성적이지 않은 존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행동 경제학자의 대표주자인 댄 에이얼리 교수는 행동 경제학을 이해하는 키워드의 하나로 Not Invented Here (NIH)를 들었다. 이는 자신감이 지나쳐 외부의 것을 수용하지 못하는 배타적인 성향을 뜻 하는 말로 특히 관공서나 기업체등에 넓게 퍼진 신드롬의 하나라고 한다. NIH의 예는 에디슨의 경우에서도 볼 수 있다. 에디슨이 직류전기에 지나치게 집착해서 테슬러가 개발한 교류전기의 장점을 인정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오랜 경험과 실력을 가진 리더가 범할 수 있는 리더의 오류 중 하나가 NIH이다. 나의 오랜 경험이 조직원들이 그것보다 더 나은 것 이라는 생각에서 나의 생각을 조직원들에게 일방적으로 지시하고 강요하게 되는 요인이 된다.
귀를 크게 열고 마음을 활짝 열고 조직원들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들어주는 리더를 꿈꾼다. 물론 구성원들의 이야기를 모두 들어주다보면 학교라는 배가 산으로 갈 것이다. 한 가지 문제에 대해 구성원 수 만큼의 생각이 있고 구성원 수만큼의 해결방법을 각자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구성원들의 이야기를 진지하게 들어주는 리더이지 구성원들이 말하는 대로만 움직이는 꼭두각시 리더가 아니다. 내 마음속 이야기를 성의있게 들어주는 리더, 내가 나의 마음속 이야기를 아무런 경계심없이 내려놓고 할 수 있는 리더만으로도 구성원들은 그 리더에 대해 감사하고 존경한다. 그리고 내가 감사하고 존경하는 리더가 있는 그 곳은 분명 즐거운 일터 가고 싶은 일터가 될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