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수원시에도 이렇게 앞서가는 동(洞)민들이 있구나! 동민들이 시 창작 교실을 주선하여 만들다니? 또 그런 제의를 흔쾌히 받아들인 최동호 시인은 더 멋지구나!'
필자는 지난 금요일 비오는 저녁 '수원 남창동 최동호 詩 창작 교실'에 참가하였다. 언론에 보도된 기사를 보고 전문가로부터 시 창작 강의를 듣고 제대로 된 시를 써보고자 화성행궁 사랑채를 찾은 것이다. 국어교사 출신으로 시에 대해 어느 정도 알지만 학교에서는 배울 수 없는 시 창작에 대한 '확실한 무엇'을 배우려는 마음에서 였다.
남창동 마을 주민부터 시 창작를 배우려는 경기도민들이 60여 명 모였다. 한 편으로는 따분한 이론강의도 있겠구나 하였다. 그런데 그게 아니다. 개강식에 플롯 이중주 연주도 있고 남창초교 5학년과 6학년 학생의 자작시 낭송도 있다. 최동호 시 '나무의 기다림은 지상에 서 있다'를 초교생이 낭독한다.
그 뿐 아니다. 시극도 있다. 시극이란 시와 연극이 합쳐진 것이다. 최동호 시 '공놀이하는 달마'를 낭송하고 연극인이 그것을 1인극으로 보여준다. 일종의 퍼포먼스인데 풍선으로 관객들과 함께 꾸며 나간다. 새로운 장르를 보았다. '아, 시를 저렇게 표현할 수도 있구나!' 새로운 느낌이다.
이제 최동호 시인의 특강 시간. 그는 1948년생으로 남창동 출신이다. 남창초교를 나왔다. 현재 고려대 교수이다. 남창동 주민들의 최 교수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지지를 받아들여 오늘 이 창작교실을 성사시킨 것이다. 강사진을 보니 국내 최정상의 교수와 문인들로 구성되었다.
총 12강까지 진행되는데 강사진이 화려하다. 최동호, 맹문재, 박덕규, 권혁웅, 권성훈, 방민호, 김구슬, 신덕용 시인을 비롯해 정수자 시조시인, 오형엽, 이 찬 문학평론가도 강의를 맡았다. 시민을 위한 무료 봉사에 기꺼이 나선 것이다. 아마도 최교수의 뜻을 이해하고 문학적으로 가까이 지내는 분들이리라.
최 교수는 말한다. 50여년 문학의 길을 걸어오다가 정년 퇴직을 앞두고 '수원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를 위해 고민했다고. 그러다가 내린 결론이 수원에 대한 인문학 기여라고. 수원이 21세기 인문 문화도시가 되었으면 한다고. 200여년 전 정조의 꿈을 실현시키고자 한다고. 수원이 문학과 시 향기가 가득한 도시가 되었으면 한다고.
최 교수의 바람대로 석 달 후 詩 창작교실 1기생들이 좋은 작품으로 등단을 할 것인가? 나아가 신춘문예에도 도전하여 성공할 것인가? 첫 강의를 들으니 희망이 보인다. 최 교수는 엄격한 기준과 달콤한 열매도 제시한다. 2회 이상 결석하면 결격사유가 되고 좋은 작품은 서정시학 본심 통과 작품으로 인정하겠다고 한다.
수강생에게 부탁사항과 함께 용기도 준다. 초심을 잃지 말고 끝까지 가야 한다. 12회 강의 동안 열심히 집중해야 한다. 시작은 부족하지만 꾸준히 하면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 꽃을 보고 아름답게 느끼는 사람이라며 누구나 시를 쓸 수 있다. 최 교수는 시론 강의 뿐 아니라 시를 쓰게하는 교수라고 말한다. 지금까지 100여 명의 시인과 평론가를 배출했다고 한다.
서정시와 서사시 질문에도 답한다. 한국인은 서정적, 격정적이고 위기상황에 대처를 잘 하고 도깨비적 상상력이 있어 서사시보다는 서정시에 맞는다고. 그리고 현대는 서정시의 시대라고 한다. 스마트폰 한 면에 시가 나와야 한다고. 시는 짧고 간결하고 깊이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습작시는 매주 가져와야 한다고 과제를 제시한다. 그래야 실력이 는다는 것이다. 시는 자기 마음속에 녹아 있는 것을 끌어내는 것인데 쉽고 단순하고 평이하게 표헌하되 진솔한 감정을 아름답게 다듬어야 한다고 알려 준다. 시를 어렵고 장황하게 쓰면 안 된다고 가르쳐 준다.
시의 음악적 요소 질문에는 "시와 노래는 함께 출발했다. 한 때 시와 노래가 분리되었으나 다시 통합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나아가 "시는 랩으로 부를 수 있어야 한다"고 한다. 디지털 시대에 "스마트폰 속에서 보는 것이 가능하다" "시와 음악이 하나가 되면 독자들은 더 크게 공감한다" "이제 음유시인의 시대가 와야 한다"고 자신있게 말한다.
2부 행사로 갤러리에서 주민들이 쭌비한 떡, 과일, 수육, 음료수 등을 먹으며 담소의 시간을 가졌다. 친교의 시간이다. 남창동 주민들이 위대해 보인다. 인문학 문화도시를 만들려는 그 정성이 대단하다. 경기도민에게까지 문호를 개방한는 열린 마음을 가졌다. 창작교실을 주관하는 '최동호 시인 문학강의실 운영위원회'와 후원해 주는 시사랑문화인 협의회에 감사를 드린다.
최동호 시인과 함께 한 1강, 성공적이다. 최 시인의 군더더기 없는 강의와 질문에 대한 명쾌한 다답이 인상적이다. 교재 한 권도 받았다. 최동호 편저 '현대시 창작법'이다. 강사들의 강의 열정 못지 않게 수강생들의 열의가 좋은 열매를 맺으리라 본다. 필자도 지금 과제로 제출할 습작시를 구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