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23.6℃
  • 구름조금강릉 26.3℃
  • 맑음서울 23.8℃
  • 구름많음대전 23.5℃
  • 구름많음대구 24.6℃
  • 구름많음울산 23.4℃
  • 구름많음광주 23.4℃
  • 구름많음부산 24.8℃
  • 구름많음고창 21.9℃
  • 흐림제주 22.8℃
  • 맑음강화 24.0℃
  • 구름많음보은 21.7℃
  • 구름많음금산 22.4℃
  • 구름많음강진군 22.9℃
  • 구름많음경주시 24.5℃
  • 구름많음거제 24.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스웨덴 신문 “교육 한국처럼 돼서는 안 돼”를 읽고

스웨덴의 한 일간지인 아프톤블라뎃은 스테판 로벤 사민당 대표의 최근 방한 관련 특집 기사를 통해 “교육 한국처럼 돼선 안 돼”라는 기사를 내보냈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우리 교육을 꼬집는 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교육을 아프톤블라뎃은 ‘지식이 전부, 그러나 대가가 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한국은 대학 진학률이 2000년 24%에서 2010년 40%로 상승해 진학률 목표를 80%라고 소개했다.

이 신문은 한국 15세 청소년의 수학, 과학, 읽기이해 능력이 2009년 65개 조사 국가 중 핀란드 다음으로 우수하다는 점을 거론하면서 스웨덴 학생의 28위와도 비교했다. 신문은 한국 학생들이 우수한 이유로 교육을 중시하는 유교사상이 지배적인 사회 분위기, 특히 부모의 높은 교육열을 꼽았으나 그 이면에는 한국 학생들이 하루 최대 17시간을 공부하며 대다수는 방과 후 사설학원까지 다닌다고 비평했다.

물론 기분 좋은 기사는 아니지만 우리 교육의 명암을 잘 지적하고 있다는 생각도 없지 않다. 외국인들의 눈에 그리 곱지 않은 우리 교육의 잘못된 현실은 분명히 공감한다. 어제 내년도 대학입학을 위한 수능시험이 끝났다. 대학입학을 위한 수능은 고3 학부모는 물론 온 국민이 가슴조리는 날이 우리의 연래 행사처럼 된 것도 오래다. 그 만큼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렇게 경쟁적인 입시가 언제까지나 계속되어야 할지 그 끝이 보이지 않는 우리 교육현실이 더 답답한 것이다. 사실 우리의 자녀들은 유치원부터 모두 좋은 대학입시를 향해 준비하고 대비하는 것은 정말 걱정하지 아닐 수 없는 일이다. "한국의 학생들은 하루 15시간을 학교와 학원에서 미래에 필요하지 않을 지식과 존재하지도 않을 직업을 위해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 는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의 통렬한 지적도 잊고,  우리 학생들은 오늘도 무거운 가방 속 내용을 외우는 고통을 겪고 있는 것이다.

사실 이번 스웨덴 신문의 기사는 한국 교육이 거둔 성과의 이면에 있는 부정적인 면들을 지적하며 한국을 벤치마킹하는 것에 경계감을 드러냈다는 부정적인 면도 없지 않지만 이젠 우리 스스로 한국 교육의 혁신적인 개혁이 필요한 시기다. 지금까지 교과서 중심의 학교교육, 높은 사교육비, 하루에 4시간밖에 못 자며 공부하는 비효율적인 교육시스템도 다시 점검하고 과감히 혁신해야 하는 것이다.

새 정부는 꿈과 끼를 살리는 행복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진정한 행복교육은 학생들의 학교 삶의 질을 높이는 교육이다. 그래야 꿈과 끼를 마음껏 살릴 수 있고 또 발현할 수도 있는 것이다. 지금처럼 시험위주의 경쟁적인 교육 속에선 더 이상의 꿈과 끼를 기대할 수도 꿈꿀 수도 없다. 설령 꿈을 꾸고 끼를 살린다 해도 진정성이나 결여된 것이어서 창의성을 발현할 수 없게 된다.

이젠 말이나 돈으로 하는 교육혁신과 개혁은 더 이상 효과가 없다. 물론 단기적이고 가시적인 효과는 있지만 한시적으로 나타날 뿐이다. 그 결과는 단지 구호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대학입시와 취업시스템을 연계한 교육개혁이 논의 되고 실행되어야 제대로 된 우리 교육의 변화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 온 국민의 합의를 거쳐 총체적으로 교육과 관련된 모든 시스템을 연계한 조직이 함께 변화되어야 올바른 교육개혁과 혁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