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희망찬 새해가 밝았다. 사람들의 첫마디는 무엇일까? 아마도 해돋이, 해맞이, 일출 아닐까? 동해안 일출 관광객이 100만 이라는 뉴스도 들었다. 일출을 보면서 새해 소원을 빌기 위해서일 거다. 필자가 새벽 이부자리에서 아내에게 한 말도 이와 비슷하다. “우리 해 보러 갈까?”
인근 지자체에서는 일출행사가 열리는데 시민들이 초등학교에 모여 등산을 하고 정상에서 해맞이 행사를 갖는 것이다. 거기까지 갈 수는 없고 인근의 저수지를 생각한다. 서호저수지나 일월저수지다. 서호는 역사적 의미가 깊고, 늘 가는 곳이 일월저수지다. 가까운 곳에서 해맞이를 해야 할 것 같다.
방송을 들으니 8분 후에 해가 뜬다고 한다. 아파트 바로 옆 일월저수지로 간다. 우리부부를 첫 번째로 맞이하는 것은 바로 직박구리 가족. 아파트 감나무에 매달린 감으로 아침식사를 하는 것이다. 얼마나 즐겁게 식사를 하는지 울음소리가 요란하다.
저수지 전체가 얼었다. 그 많던 오리들은 어디로 갔을까? 상류쪽으로 가니 오리들이 떼로 모여 헤엄을 치고 있다. 이제 좀 있으면 일출이다. 촬영 위치를 정해야 한다. 카메라 각도를 잡아본다. 도심 속이니 자연히 아파트가 배경이 된다. ‘자연과 함께 하면 좋은데….’ 그렇다. 저수지 바닥에 남아 있는 하얀 눈 위의 오리 발자국과 오리, 피어오르는 물안개를 넣자.
카메라로 수 십 장 기록에 남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진 모습이 다 다르다. 그 중 좋은 것을 골라내야 한다. 아직 전문가 수준이 못 되어 여러 장 중에서 최상의 것을 고르는 것이다. 위치와 각도를 바꾸어 여러 장 찍다보면 한 두 장 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때마침 오리들이 비행을 한다. 몇 마리가 나는가 싶더니 오리 전체가 나른다. 군무의 장관이다. 오리들이 아침 운동을 하는 것, 이제야 알았다. ‘저 많은 오리들, 우리가 보기엔 모습이 비슷비슷하게 생겨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는데 쟤들도 다 짝이 있겠지?’
저수지를 돌다보니 이곳에서 일출을 보려는 사람들도 여럿 보인다. 스마트폰으로 동영상을 찍는 사람도 있고 저수지 가까이 들어가 디카로 기록을 남기는 어르신도 보인다. 아침 운동이 일상화한 사람들도 보인다. 이른 아침에 운동을 하는 분을 보면 생각한다. ‘자기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기고 있는 분’이라고.
저수지 한 바퀴 다 돌다보니 배수구다. 배수로의 보수공사가 다 완성되었다. 몇 달 전 공사 레미콘 차량을 보았는데 그만치 저수지 산책을 게을리 한 것이다. 아내는 말한다. “당신 공사 끝난 것, 이제 알았나 봐!”
아침 산책을 해서 그런지 시장기가 돈다. 아침 식사로 떡만두국을 먹었다. 나이 한 살을 더 먹은 것이다. 필자는 50대 후반, 아내는 50대 초반이다. 세월이 쏜살같이 흐른다더니 우리들이 그렇게 느끼는 것이다.
문득 박두진 시인의 ‘해’가 생각난다. 국어교사 시절 학생들과 외었던 시다. 비교적 긴 시인데 학생들은 잘도 외운다. 그렇게 긴 시를 하나도 틀리지 않고 외운 학생은 자신감이 넘친다. 운율이 살아 있어 낭송하기에도 좋은 시다.
"해야 솟아라. 해야 솟아라. 말갛게 씻은 얼굴 고운 해야 솟아라. 산 넘어 산 넘어서 어둠을 살라 먹고, 산 넘어 밤새도록 어둠을 살라 먹고, 이글이글 앳된 얼굴 고운 해야 솟아라."
2014년 새해, 한국교육신문 독자들과 e리포터들 그리고 전국의 교육가족들! 모두 함께 ‘앳되고 고운 날’ 누렸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