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학교 제13회 졸업식이 성대하게 끝났다. 구성은 1부 표창식 및 장학금 전달, 2부 본 행사, 3부 학급별 작은 졸업식이다. 본 행사에 성악가가 출연, '오 솔레 미오' '희망의 나라로'의 축가를 불렀다. 작년과 달라진 점은 학교장 회고사가 영상(사진, 글자, 배경음악)에서 교장의 생생한 목소리로 바뀐 점이다. 물론 내용에 맞는 배경화면이 제공되었다.
왜? 필자는 교장으로 재임하면서 졸업식 회고사를 영상으로 하였다. 서호중에서 2회, 율전중에서 2회다. 요즘 세대가 영상세대이기도 하고 졸업식에서 하는 마지막 훈화격인 학교장 이야기, 귀담아 듣는 학생이 많지 않다. 그저 빨리 끝나기만 기다린다. 당연히 교육적 효과가 크지 않다. 그래서 감성적으로 접근한 것이다.
그런데 올해 졸업식, 교장의 생목소리를 들려 주기로 결정했다. 동영상은 준비되었으나 교장이 마이크를 잡기로 했다. 무슨 특별한 사연이 있었을까? 있었다. 얼마 전 수원 00초교 부장교사와 통화할 일이 있었다. 그런데 헉, 20년전 필자의 목소리를 기억하는 것이다.
"교장 선생님, 혹시 구운중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지 않으셨어요?"
"예, 맞아요. 교사 시절 그 학교에서 5년간 근무했지요."
"3학년 때 선생님으로부터 국어를 배운 ○○○입니다. 아마 기억 못하실 거예요."
"아, 그래요. 반갑습니다. 교육경력이 몇 년이나 되죠?"
"예, 12년입니다. 선생님 목소리를 들으니 선생님 얼굴이 생생이 떠오릅니다."
아, 그랬던 것이다. 1990년대 초반, 당시 국어교사의 목소리를 20년이 지난 지금도 기억하고 있었던 것. 목소리는 사람마다 특성이 있어 그 사람을 나타낸다. 가족이나 친한 사람은 목소리만 듣고도 상대방을 금방 알아 본다. 우리는 흔히 이런 말도 종종 듣는다. "목소리 하나도 변하지 않으셨어요"
회고사 하기 전에 앞의 일화를 들려주었다. "여러분, 이런 일이 벌어질 수도 있습니다" 20년 지난 뒤에 우연한 기회에 교장과 통화하면서 목소리가 기억 나 "혹시 율전중학교 교장선생님 맞죠? 저 13회 졸업생입니다." 그 때 필자의 나이는 80을 넘겼겠다.
그러면서 양해를 구했다. 교장의 훈화가 평소에 너무 짧았는데 오늘은 좀 길어도 되겠냐고? 5분 정도 되는데 괞찮겠냐고? 그러면서 2011년 9월 부임 후 우리 학교의 변화, 교육실적, 학교장 강조사항, '졸업은 시업'이라는 의미, 인생철학 등을 이야기 하면서 삶의 가르침을 전달하였다.
'별이 다섯 개'라는 유머도 넣었다. 우리 학교가 작년에 받은 학교표창 5개를 말하는 것이다. 혁신교육, 창의경영학교, 건강체육교육, 충효교육분야에서 교육감 표창 4개, 창의지성교육분야에서 교육장 표창을 받았다. 수상을 자축하는 의미로 기념품도 만들었다.
과거만 고집하면 안 된다. 변화가 있어야 한다. 다른 각도에서 보면 교장 입장에서 졸업식을 편하게 치루려고 영상을 도입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주목하지 않는 학생들의 괴로움을 피하기 위한 수단은 아니었는지? 앞서가는 것 같지만 기계가 만든 동영상보다는 생생한 목소리 전달이 더 감동적이고 기억에 남을 지도 모른다. 우리는 너무 컴퓨터에 익숙해 있는 것은 아닌지?
앞으로 10년이나 20년후 전화 속에서 이런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까? 미래의 이야기다. 그런 이야기를 듣고 싶다. "혹시 선생님, 율전중학교 교장으로 근무하신 적 있으시죠? 저는 그 때, 율전중학교 학부모였습니다. 제 자식을 잘 가르쳐 주셔서 훌륭한 인물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