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25∼26일 장애학생의 정보격차 해소와 특수교육 교원의 정보화 역량 강화를 위한 '제1회 특수교육 정보화대회'를 한국재활복지대학에서 개최했다.
국립특수교육원과 재확복지대학이 공동 주관하는 이번 대회에서는 특수교육용 소프트웨어 및 정보화기자재 전시회, 전국 특수학교(급) 학생 정보검색대회, 전국 특수교육교원 정보화 워크숍, 문화행사 등이 동시에 열렸다. 시각장애·청각장애·지체부자유·정신지체 및 정서장애·특수학급 등
5개 분과로 나눠 개최된 정보검색대회에서는 292명의 학생이 참가했다.
26일 열린 워크숍에서 반문섭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정보화기획팀장은 "현재 대부분 특수학교(급)에는 정부의 교단선진화 사업에 의해 컴퓨터를 활용하는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이 갖추어져 있지만 특수학생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수업환경이 고려되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며 "다양한 장애 유형과 특성을 고려한 차별적인 환경과 관련 시설, 보조공학기기, 재설정 및 변형이 가능한 컨텐츠, 이를 위한 교사와 학부모의 연수 기회 및 연구 시간의 확대 등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반 팀장에 따르면 ICT 관련 기자재들이 '컴퓨터실' 등의 한정된 공간에 집중 배치돼 일반적으로 ICT활용 수업이 컴퓨터실에서 주 1회 정도밖에 실시되지 않고 있으며, 장애 유형이나 특성을 고려한 보조적인 기기들의 부재로 접근성이 고려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컨텐츠의 경우에도 장애인들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이미 개발된 제품도 외관에만 치중한 제한적인 기능과 비체계적인 내용을 담아 현장교사들의 불신은 크고 좋은 자료가 있다 해도 그 자료가 어디에 있는지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의 방법과 접근통로를 찾지 못하여 우수한 자료가 소외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지적됐다.
반 팀장은 "좀더 분석적이며 체계적인 관점과 노력으로 정말 특수교육에 맞는 자료를 개발해 나가고 적용해 가야 할 때"라며 ▲장애 유형과 특성에 적절한 하드웨어, SW, 보조공학기기에 대한 지원 ▲ICT활용 컨텐츠에 대한 바른 인식과 적용 의지 ▲현장 교사가 중심이 된 실제적인 컨텐츠
개발 ▲컨텐츠를 쉽게 활용하고 접근할 수 있는 통로의 마련 등을 제시했다.
한편 반 팀장은 "특수교육에서 ICT활용 교육을 맹신하거나 잘못 접근할 때는 오히려 학습자에게 손상감을 가져다 줄 수도 있다"며 역기능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고 "ICT활용 교육은 특수교육에서 새로운 교육적 접근법 또는 보조수단일 뿐이지 전부가 아님을 기본적으로 염두에 둬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