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손 엄지손가락에 상처가 생겼습니다. 이 상처가 언제 생겼는지 도저히 모르겠습니다. 결과는 있는데 원인은 알 수가 없습니다. 우리에게도 원인을 모르는 상처가 많습니다.
이 상처들은 어린 시절, 기억이 생기기도 전에 내 안에 쌓여 버린 상실감, 좌절감, 열등감, 죄책감 때문입니다.
왼손가락의 상처를 바라보듯 내 안의 상처도 깊이 들여다봅니다. 그러면 알게 됩니다. 그것은 전혀 내 책임이 아니라는 것을. 그렇지만 그것도 내 인생이라는 것을. 그리고 그것을 받아들이고 사랑으로 품어야 한다는 사실을.
우리의 향기는 우리의 상처에서 납니다. -정용철-
월간 <좋은생각>의 발행인 정용철의 칼럼이다. 요즘 정신분석관련 책을 읽으면서 내 문제를 스스로 인식하고 분석하는 신기한 과정을 경험했다. 심리학과 인연을 맺은 지 14년만의 일이다. 이론으로만 접해서였을까? 난 정신분석을 한 번도 내 문제와 결부시켜 보지 않았다. 그러다 우연히 엉망진창 망가진 자존감으로 괴로워하는 내 속의 어린아이를 발견했다. 그 아이는 주눅 들고 위축되어 축 처진 어깨를 하고 ‘나는 아무것도 할 수 없어’ 라는 무언의 메시지를 끊임없이 자신에게 보내고 있었다. 알아도 말을 하지 않고 칭찬을 받아도 그 칭찬을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했다. 그 아이를 보듬어주고 싶은 마음이 생겨났다.
내 안의 상처를 깊이 들여다봤더니 그 상처가 내 책임이 아니라는 걸 알게 되었다. 그리고 그것을 내 것으로 받아들이고 품어야 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이제는 나도 모르는 사이에 불쑥 불쑥 올라오는 내 무의식속 어두운 그림자에 휘둘리지 않을 것이다. 쓸데없는 방어기제로 나를 무장하지도 않을 것이다.
정용철은 분명 정신분석을 공부한 심리학자는 아닐 것이다. 하지만 분석가보다 더 예리하게 우리마음을 읽고 있다는 생각이 짧은 칼럼 속에서 느껴졌다. 이렇듯 삶에 대한 혜안은 굳이 심리학을 공부하지 않더라도 스스로 빛을 발하는 것이리라.
상처를 감추고 돌보지 않는다면 곪고 악취가 진동하게 된다. 내 상처로 받아들이고 잘 보듬어 준다면 새살이 돋아난 자리에서는 다시 향기가 날 것이다. 그래서 상처가 있는 사람은 향기로운 사람인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