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4.8℃
  • 맑음강릉 22.9℃
  • 구름많음서울 24.0℃
  • 구름조금대전 24.4℃
  • 맑음대구 20.9℃
  • 맑음울산 19.9℃
  • 구름많음광주 23.9℃
  • 맑음부산 19.4℃
  • 구름많음고창 23.4℃
  • 구름많음제주 23.8℃
  • 구름조금강화 21.0℃
  • 구름조금보은 20.6℃
  • 구름많음금산 24.3℃
  • 구름많음강진군 20.3℃
  • 맑음경주시 21.8℃
  • 구름많음거제 18.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소통의 진정성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의 행보가 일반국민들의 우려와 달리 진보교육감의 틀에 안주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비춰 좋은 평가를 받는 모양이다. 한국교총을 방문해 ‘도시형 소규모 학교 살리기’를 위하여 협력하기로 한 일이나 전교조 관련 법의 개정을 촉구하면서도 법외노조 판결에 대한 객관적인 자세를 취하는 일, 자사고에 대한 입장 표명도 극단으로 흐르지 않은 점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셈이다. 교육감은 소속된 시도의 교육전체를 바라보고 현안문제가 무엇인가를 파악해야 하고 교육현안 문제에 대하여 직접 실태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며 진보, 혹은 보수로 편향된 시각을 갖기보다 전체 교육을 바라보고 문제해결과 지원을 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 관련 기사를 접하면서 먼저 떠오른 것은 소통이다. 영향력 있는 사람들이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소통하지 않고, 공감이 이루어지지 않는 대화를 하면서 공감을 내세우는 일들이 비일비재하고 명분만 요란한 낱말을 배열한 슬로건이 가득한 세상에 살면서 피터 드러커의 ‘혁신’에 관한 이야기를 자주 떠올린다. 피터 드러커 외 는 「지식경영」 5장에서 창조적 갈등을 존중해야 한다고 피력하면서 갈등이 일어날 수 있는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야 기업을 혁신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나와 같은 생각을 가진 내 편만을 선호하고, 불편한 말을 하는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을 배척하는 것은 기업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말에 귀를 기울여 목전의 일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할 때 문제의 해결방법이 보이는 것이다.

그러나 혁신학교는 같은 낱말 ‘혁신’을 내세운 학교이면서 ‘그들끼리 혁신’하고 일반 공립학교는 마치 나쁜 교육을 하는 듯한 뉘앙스를 풍기는 발언은 진정한 혁신과 배치되는 참으로 불편한 행태다. 나는 지금도 혁신학교가 무엇을 혁신한 것인지 의문이다. 많은 예산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우리들이 기대하는 혁신은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들의 혁신 보고서나 홍보용으로 출간한 책들에서 일반 소규모 학교의 기본운영비로 학생들에게 교육비 전액을 지원하면서도 이미 오래전부터 실시하고 있는 교육활동과 비슷한 프로그램들은 있었으나 그보다 더 진전한, 그야말로 혁신이라고 일컬을 수 있는 활동들은 보지 못했다. 진보교육감들께서 혁신학교를 많이 만들겠다고 공언하였으니 혁신학교에서 무엇을 혁신했는지 세세히 살펴보는 일도 중요한 소통이라고 생각한다.

교육에는 보수나 진보를 초월해야 하는 무엇이 있고 초월된 시각으로 교육을 바라보는 자만이 진정으로 교육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주어진 일을 어떤 마음으로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따라 그 사람이 빛나기도 하고 빛이 바래기도 하며 통찰력이란 전체를 꿰뚫어보는 것이지 자신의 범주만 바라보는 것이 아니므로 범주를 뛰어넘어 그 누구와도 소통할 수 있는 자세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폭넓은 경영을 할 수 있다. 경청하는 자세야 말로 소통의 기본이다. 교육의 수장은 현장을 볼 수 있어야 하고 현장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문제의 소지가 없을 것 같은 사람만 선정하여 그들의 말만 듣는 시스템은 진정한 소통을 원하는 것이 아니다. 장학관이 교감이나 교사와 이야기하면 권위에 손상이라도 오는 듯한 의식을 가진 사람은 소통의 진정한 의미를 모르는 사람이다.

소통이라는 말은 진정으로 소통하는 자 만이 쓸 수 있고 소통의 결과는 다른 사람에게 공감을 주는 것이어야 한다. 소통이란 형식이 아니며 분명한 목적을 가진 솔직한 대화이다. 어떤 사안을 제대로 해결하기 위하여 널리 귀를 기울이고 불편한 말에도 마음을 열 줄 아는 것이며 사회적 지위와 직위가 어떠하든 경청하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다. 슬로건만 그럴 듯하게 포장하거나 연고주의에 연연하여 내 편 네 편을 나누는 일은 바람직하지 않다. 새 교육감들께서 두어 시간 할애해서 몇 문장으로 듣는 말이 아닌, 직접적인 실태파악으로 농산어촌의 소규모 초등학교 살리기에도 팔 걷어 부치고 앞장 서 주었으면 정말 좋겠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