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이라는 수레는 세 마리의 말이 이끄는 마차이다. 가정, 학교, 지역사회라는 세마리 말이다. 이중에 가장 핵심이 되는 말은 가정이다. 그리고 다음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학교의 교사이다. 세 마리 말 중 어느 한 말이라도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나머지 말들이 힘들어진다. 세 마리 말이 목표로 하는 방향이 다르면 수레는 앞으로 전진하기 어렵다. 예전과 달리 학교는 교육과정 운영을 비롯한 많은 부분을 학교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야 한다. 그만큼 학교는 교사 마음대로 하는 시대를 넘어선 것이다.
가장 어려운 것이 학생과의 소통이라고 이야기하는 교사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런 상황을 반영이라도 한 듯 교사가 된 것을 후회하는 교사의 비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우리나라가 1위를 차지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다.
OECD의 '2013년 교수·학습 국제 조사'를 바탕으로 회원국 중학교 교사 10만5000여명을 분석한 결과 '교사가 된 것을 후회한다'는 교사 비율은 우리나라가 20.1%로 가장 높았다. '다시 직업을 택한다면 교사가 되고 싶지 않다'는 응답자 비율도 36.6%로 회원국 평균 22.5%보다 높았다.
이에 대해 한국교총은 "자긍심과 열정, 전문성을 가지고 학생 교육에 임해야 할 우리나라 교사의 사기가 이처럼 저하된 현실에 대해 크게 개탄한다."며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다'는 진리를 되새겨 정부가 교사의 자긍심과 사기를 진작할 특단의 대책을 시급히 마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교사들의 사기가 저하된 이유로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1995년 5·31 교육개혁 이후 수요자중심의 교육 강조로 인한 학생지도의 어려움과 학생인권조례, 학부모 민원 등 교권추락 가속화가 되고 있으며, 현장과 괴리된 정부정책의 변화,공문처리 등 행정업무 부담 증가와 정권교체에 따른 연금법 개정 등을 꼽았다.
이에 교육의 지속가능성 유지를 위하여 한국교총은 "교육은 사람이 하고 교사가 그 중심에 서야 한다"며 "정부가 나서서 교사 사기진작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고, 교총이 제안한 교사의 자긍심·자존심 회복 교섭 과제를 적극 수용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교사 자신이 스스로 배움의 길을 찾지 않으면 힘들어진다. 가르침의 효과에 회의가 들면 내 안에서 새로운 성장을 위한 허물벗기가 시작되고 있다고 보면 될 것이다. 교사는 가르치는 가운데 학생들로부터 새로운 것을 배우고 끝없이 성장해 간다. 가르치는 일이 그저 타인에게 내가 가진 지식을 넣어주는 일이라면 참으로 재미없고 힘든 일일 것이다. 아무리 경력이 쌓여도 늘 자신의 교육방법이 옳은가에 대해 끊임없이 회의하며 스스로 변화시켜 가는 모습이 바람직한 교사의 모습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