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7 (목)

  • 구름많음동두천 14.8℃
  • 구름많음강릉 16.7℃
  • 구름많음서울 16.8℃
  • 맑음대전 17.3℃
  • 맑음대구 16.1℃
  • 맑음울산 16.5℃
  • 맑음광주 17.3℃
  • 맑음부산 14.6℃
  • 맑음고창 17.5℃
  • 맑음제주 21.6℃
  • 구름많음강화 15.7℃
  • 맑음보은 9.5℃
  • 맑음금산 17.3℃
  • 맑음강진군 13.7℃
  • 맑음경주시 18.1℃
  • 맑음거제 14.5℃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일본 큐슈는 한반도와 인연이 많은 곳이다

일본 큐슈에는 한반도와 인연이 많다. 그래서 가끔 고대사의 흔적을 찾으려면 이같은 곳을 방문한다. 필자는 후쿠오카에 근무하면서 일본인들과 함께 하루 탐방계획으로 역사학습 체험을 한 적이 있다. 가카라시마는 백제 무령왕의 탄생지이다. 이 작은 섬에 가려면 일반교통으로는 후쿠오카에서 한 시간 동안 지하철을 타고 가라쓰까지 간 뒤 다시 버스로 갈아타고 요부코 항에서 여객선을 타고 20분 정도 가야한다.

일본인 가운데는 역사적 인연이 있는 곳을 연구하면서 대외적으로 활동을 한다. 사카모토 쇼이치로씨는 백제무령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 부회장이다. 이 단체는 백제 문화와 무령왕을 매개체로 한일 민간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해 한일 민간인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단체다. 사카모토 부회장에게 “여객선에 탄 사람이 적냐”고 했더니 “본래 평소에도 사람이 없다”는 답을 돌아왔다.

둘레가 약 12㎞인 이 섬 인구는 불과 108명이다. 어업이 번창했던 1952년엔 560명이 살기도 했지만 지금은 거의 떠났다고 한다. 남아 있는 사람들은 주로 도미와 오징어잡이에 종사한다. 섬에 뚜렷한 관광 자원도 없다보니 낚시꾼들이나 오는 섬이 되었다.

배에서 내리면 곧 ‘百濟武寧王生誕地(백제무령왕생탄지)’라고 새겨진 커다란 돌 기념비가 보인다. 2006년 6월 25일 충남 공주와 일본 가라쓰 시민들이 모금해 세운 높이 3.6m의 기념비는 무령왕릉 입구의 아치 모양을 본 따 만들었다. 돌은 한국 최고 화강암 산지인 전라북도 익산에서 다듬어 배로 실어왔다고 한다. 기념비를 지나 15분 정도 더 걸어가면 무령왕이 태어났다는 해안가 동굴이 나온다. 섬사람들은 동굴이 있는 해변을 ‘오비야우라(オビヤ浦)’라고 불렀다. 오비는 일본어로 기모노 등을 묶는 허리띠를 의미하니 허리띠를 풀고 아이를 낳은 포구란 뜻이다.

오랜 기간 파도에 부딪친 탓인지 벼랑 아래쪽이 약 2m 정도만 깎여 들어간 작은 굴이었다. 예전에는 좀 더 깊었지만 풍화 작용으로 위가 무너져 막혔다고 한다. 동굴 안 판자 팻말에는 ‘百濟第二十五代武寧王生誕の地(백제 제25대 무령왕이 태어난 곳)’라는 글이 적혀 있고, 그 앞에는 누가 갖다 놓았는지 작은 화분과 술잔 몇 개가 놓여 있다.

지금으로부터 무려 1500여 년 전 이 낯선 땅 거친 야생 동굴에서 혹독한 산고를 치르며 아이를 낳았을 백제국 왕비 생각에 가슴 한 구석이 짠했다. 이렇게 춥고 어두운 동굴에서 갓 세상 밖으로 나온 무령왕은 또 얼마나 두려웠을 것인가.

무령왕이 이곳에서 태어나 백제로 다시 돌아가 훗날 왕위에 올랐다는 게 신기하게 느껴졌다. 지금도 건강한 성인남자도 힘든 뱃길에 동생(곤지)이 탄 배에 임신한 자신의 왕비를 태웠던 무령왕의 아버지 개로왕은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그랬던 것일까…선뜻 이해가 안 간다. 하지만 뒤집어 생각하면 해로가 그만큼 안전했다는 뜻도 되고 무엇보다 왜와의 친선관계가 지금 우리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깊었기 때문 아니었을까 하는 확신이 들긴 했다.

동굴을 나와 50m 정도 걸어가니 갓 세상 밖으로 나온 무령왕이 첫 목욕을 했다는 우물이 나왔다. 계곡 옆에 깊이 수십cm 구덩이를 파놓고 판자 몇 개로 대충 둘러친 형태를 띠고 있었다. 물맛이 어떨까 궁금해 떠서 마셔 보니 특별한 맛은 없다.

가카라시마는 침체돼 가는 섬 경제를 살리기 위해 백제왕이 태어난 곳이란 점을 부각시켜 한국 관광객들을 끌어 들이고 싶어 한다. 섬에선 2002년부터 매년 6월 첫 번째 토요일에 한일 관계자들이 참가하는 무령왕 탄생제가 열린다. 올해에도 14회를 맞이한 탄생제는 한국에서 건너간 31명을 포함해 200여명이 모였다고 한다. 올해는 첫 번째 토요일이 현충일임을 감안해 7일에 행사가 열렸다. 섬이 속한 가라쓰 시내에선 무령왕 관련 공연과 연극도 진행됐다. 한국과의 인연을 계속 이어가기 위한 노력에 고맙고 미안하고 또 친근감이 느껴진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