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늘한 새벽공기에 깜짝 놀라 눈을 뜨고, 운동장 위로 하늘이 조금씩 높아갑니다. 여행 짐을 싸고 싶고, 시집을 사고 싶고, 누군가에게 편지를 쓰고 싶어지는 그런 계절입니다. 자주 웃고, 자주 고민하고, 더 자주 무엇인가 잊어버리며 강마을의 작은 시골중학교에서 참으로 어여쁜 아이들과 눈을 맞추며 가을을 또 맞이합니다. 그는 저에게 서먹한 인사를 나누고 옆자리에 앉아버립니다. 잊음이 잦은 나이가 되고 보니, 곁에 있는 것에 대한 감각이 자꾸만 무디어집니다. 흰 눈 내리는 어느 아침, 지난 계절을 후회하고 싶지 않습니다. 오늘 온몸으로 가을을 맞이하고 싶습니다.
내 몸의 땀구멍을 열어두고 솜털 하나하나를 세우며 느껴보리라 하고 등교를 하니, 수리부엉이 한 마리가 학교 운동장 축구골대에 매달려 있습니다. 어젯밤 혼자서 축구 연습을 하였나 봅니다. 가을운동회 준비를 위해 폭풍 드리볼로 골대를 향해 달렸나 봅니다. 축구골대 줄에 온몸이 얽매어 있는 것을 행정실장님께서 발견하셨습니다. 학생과 선생님 모두 출동하였습니다. 힘들게 매달려 있는 수리부엉이를 가위를 가지고 줄을 끊어서 자유롭게 운동장에 놓아주었습니다. 어리벙벙한 녀석은 날개를 상한 모양인지 날아가지 않고 운동장을 배회합니다. 그러니 까치들이 자기 영역을 침입한 부엉이를 향해 뭐라고 항의를 합니다. 한 시간이 지나도 날아가지 않습니다. 아무래도 다친듯하여 다시 잡아두고 군청에 연락을 하였습니다. 눈썹이 아주 멋진 부엉이에게 반한 학생들은 저희가 키우겠다고 선생님들을 졸라댑니다.“수리부엉이는 천연기념물이다.”“잡아서 키우몬, 벌금이 엄청 나데이. 큰일 난데이.” 군청에서 수리부엉이를 데려가고 난 뒤 내내 섭섭하였습니다. 아이들도 선생님들도 반가운 손님이 그냥 보낸 듯 아쉽습니다.
학교는 다시 조용해졌습니다. 그리스에서는 부엉이를 아테네 여신의 사자로 생각하며 부와 지혜의 상징으로 여깁니다. 고대 아테네에서는 동전에 부엉이를 새겼다고 합니다. 이렇게 아테네 여신이 데리고 다닌 부엉이의 역할은 무엇이었을까요? 많은 이들은 그 근거로 독일 철학자 헤겔의 [법철학] 서문의 말을 인용하여 설명합니다. “아테네의 부엉이는 황혼 무렵에야 날개를 펴기 시작한다.” 부엉이는 야행성 조류입니다. 이 글에서 아테네 여신의 부엉이가 날아다니는 때인 ‘황혼녘’이라는 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황혼은 하루가 끝나가는 시점입니다. 낮 동안 이루어지는 사람들의 왕성한 움직임이 마감되는 시간입니다. 부엉이는 이 때 날아다니며 세상일을 살피는 것입니다. 어디에서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하루 동안 어떠한 사건이 있었는지 살펴보는 것이 부엉이의 역할입니다. 이처럼 지혜란 현실을 꼼꼼하게 살필 때 얻어지는 것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테네가 지혜의 여신으로 거듭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부엉이의 역할 때문입니다. 이처럼 지혜란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온 감각을 열고 꼼꼼하고 세심하게 바라볼 때 가능한 것입니다. 세상의 날들은 가을로 접어들고, 그 세상을 사는 저의 시절도 가을입니다. 빳빳하고 물기 많은 푸른 잎은 벌써 황금빛 테두리로 앙상하게 벼리고, 안으로 묵혀야 할 것들이 보입니다. 옆자리 선 짙푸른 신갈나무의 꼿꼿한 줄기가 부럽기도 합니다. 그 마음밭 한 자락을 다독이며 ‘미발지중(未發之中)’이란 말을 생각하였습니다. 왕양명의 [전습록]을 읽으며 제 마음에 가을햇살처럼 쏟아진 내용입니다. 유관시와 서애 등 여러 제자들이 양명 선생을 모시고 미발지중(未發之中) 에 대한 질문을 하자, 다음과 같이 답합니다.
양명:그대가 만일 다른 사람이 보든 안 보든 스스로 몸가짐을 삼가고, 듣든 못 듣든 조심한다면 마음은 순수한 천리(天理)가 될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자연히 알게 된다. 양명:벙어리는 쓴 오이를먹어도 그 맛을 그대에게 말해 줄 수 없다. 그대가 그 쓴맛을 구체적이고 분명하게 알고자 한다면 반드시 스스로 오이를 먹어보지 않으면 안된다. 서애: 스스로 오이를 먹어야 알게 되는 그것이 바로 참된 앎이자 그 자체로 실천인 것입니다.
오이맛을 알고 싶으면 오이를 먹어 보아야 합니다. 세상의 어떤 지혜로움도 결국은 그것을 직접 내 몸으로 내 마음으로 느껴야 비로소 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가을 맛을 알려면 그 앞에 내 마음과 몸과 감각을 열고 직접 느껴야할 것입니다. 저도 오이맛을 알기 위해 그저 인사치레가 아닌 온전히 온 마음을 다해 두려워하지 않고 세상의 가을 속으로 나아가는 날로 살아가겠습니다.
지난 여름 편지를 반쯤 써 두고 부치지 못하였습니다. 계절이 바뀌면 소식 한 자락을 전해 보려합니다만 잘 되지 않았습니다. 이제 강마을에서 가을 소식을 전합니다. 행복하고 즐거운 가을되시기 바랍니다.
참고 : 낭송 전습록/지은이:왕양명, 풀어 읽은이: 문성환, 북드라망, 2014/ p41∼42 미발지중(未發之中):감정이 아직 발동하지 않는 중의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