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의 삶이 불안하다. 청년들이 불안하면 미래가 없다.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한 3포 세대, 여기에다 주택과 인간관계를 포기한 5포 세대, 그리고 꿈과 희망마저 포기한 'N포 세대'라는 말이 널리 퍼져있다. 게다가 최근 ‘지난해 20·30대 가구 소득과 지출 증가율이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실제로 서글픈 현실이 고스란히 통계 속에 담긴 셈이다. 한국 경제의 주춧돌로 성장해야 할 N포 세대의 눈물을 그치게 해야한다. 정부도 기업도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는 정부의 청년 일자리 사업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중장기적으로 경제성장률 제고와 노동시장 구조개혁을 해야 한다.
정부가 지난해 2조원 가까운 막대한 돈을 청년 일자리 사업에 투입했지만 15세에서 29세인청년 실업률은 9.2%로, 1999년 통계기준 변경 이후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올해 1월 청년 실업률은 9.5%로 더 높아졌다. 또 올해부터 정년이 60세로 연장되면서 정년퇴직자가 줄어드는 한편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인 소위 '에코 세대(1979~1992년생)'가 2019년까지 노동시장으로 대거 진입하면서 실업난이 가중될 것이란 분석도 있다.
청년들이 힘들게 직장을 잡아도 상당수는 소득 수준이 낮은 일자리다. 지난해 학교를 졸업하거나 중퇴하고 처음 취업한 청년층 400만명 가운데 20.3%가 1년 이하 계약직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청년 다섯 명 가운데 한 명이 이른바 '미생(계약직)'이 되는 셈이다. 단기 계약직이 많아지다 보니 첫 직장 근속기간도 2004~2007년 평균 21개월에서 작년에는 18개월로 확 줄었다니 젊은이들의 삶이 팍팍해진 것이다. 결국 직장을 잡지 못하는 청년이 늘고, 취업해도 소득이 낮은 계약직 비중이 점점 많아지다 보니 2030세대 소득이 사상 처음 줄어든 것으로 집계된 셈이다. 어렵게 취업해도 주머니 사정이 넉넉하지 못하니 갈수록 결혼과 출산을 늦추는 현실이 됐다.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가 2010년 31.84세에서 2014년 32.42세로 높아졌다. 여자도 같은 기간 28.91세에서 29.81세로 올라갔다. 자연스레 여성들의 첫째 아이 평균 출산연령도 2010년 30.10세에서 2014년 31.21세로 상승했다. 지난해 총 출생아 수는 43만8700명으로 전년보다 3300명 늘었다. 하지만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조출생률은 8.6명으로 역대 최저였던 2013~2014년과 같은 수준이었다. 주머니 사정이 나빠진 2030세대가 결혼, 출산을 늦출 뿐만 아니라 소득이 줄면서 덩달아 씀씀이도 줄이고 있다는 점은 문제다. 이는 저성장의 악순환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