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0 (일)

  • 맑음동두천 19.2℃
  • 맑음강릉 13.4℃
  • 맑음서울 19.7℃
  • 맑음대전 17.9℃
  • 흐림대구 14.6℃
  • 흐림울산 12.2℃
  • 구름많음광주 19.9℃
  • 흐림부산 13.4℃
  • 흐림고창 13.6℃
  • 맑음제주 18.7℃
  • 맑음강화 14.8℃
  • 맑음보은 15.5℃
  • 맑음금산 17.3℃
  • 흐림강진군 15.4℃
  • 흐림경주시 12.7℃
  • 흐림거제 13.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김 선배님, 절대 은퇴하지 마십시오

 내리던 봄비도 그치고 연한 색깔로 단장한 풀잎과 나무가 생명의 약동감을 표현하여 주고 있습니다. 퇴직 후 김 선배님은 어떻게 시간을 보내시는지 조금 궁금하여 필을 들었습니다. 퇴직한 친구들도 주변에서 보면 하루는 놀고, 하루는 산에 다니는 친구들도 보이고, 농장을 구입하여 날마다 이를 관리하는데 모든 정성과 시간을 쏟는 모습도 보입니다만, 어느 자료를 펼쳐보니 참으로 대단한 언론인을 발견하였습니다.

여든의 나이로 세상을 뜬 윌리엄 사파이어라는 미국의 대표적 보수 논객이 있는데, 다채로운 경력을 가진 그는 43세에 뒤늦게 뉴욕타임스에 영입돼 1973년부터 2005년까지 만 32년간 칼럼니스트로 활동을 했습니다. 요즘 유행하는 ‘예쁜 얼굴이 모든 것을 결정 한다’는 ‘루키즘(Lookism : 외모지상주의)’은 그가 만든 신조어랍니다. 그는 세계 언론계 최고 권위인 퓰리처상도 받았습니다.

최후의 순간까지 그는 생의 에너지를 불살랐고 다채롭게도 산 인물이지요. 시러큐스대학을 중퇴한 뒤 스무 살에 뉴욕헤럴드트리뷴에 입사해 신문기자와 유럽지역 방송 특파원을 지냈으며, 이어 사업가로 변신해 홍보 대행사를 직접 운영하기도 했습니다. 자신의 고객 중 한 명이던 니키타 흐루쇼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의 주방을 공개해 모스크바에서 리처드 닉슨 미국 부통령과의 ‘주방 토론회’를 성사시켰지요. 넬슨 록펠러의 뉴욕주지사 선거운동 등에 참여해 직접 정치에 뛰어든 그는 닉슨 대통령 시절 백악관 연설 담당 보좌관으로 일했습니다. 이어 43세에 NYT의 부름을 받아 언론계에 복귀했습니다.

사파이어는 직업인으로서 엄청난 ‘생산성’을 자랑한다. NYT 칼럼니스트로서 1973년부터 2005년까지 매주 2개꼴로 3000개가 넘는 칼럼을 썼지요. 바쁜 와중에 자신의 백악관 시절을 정리한 회고록과 4권의 소설도 냈고, 그는 자타가 공인하는 꼴통 보수주의자입니다. 그럼에도 진보 매체인 NYT는 은퇴 특집으로 한꺼번에 그가 쓴 4개의 칼럼을 싣는 특별대우를 했습니다. 마지막 순간까지 삶의 에너지를 불살랐다는 점을 높이 평가한 것이지요.

그는 자신이 NYT에 쓴 마지막 칼럼 제목인 ‘절대 은퇴하지 마라’라는 주장 을 스스로 실천한 사람입니다. 그는 중년 이후에는 재충전과 호기심, 두 가지를 갖춰야 한다며 ‘변신을 통한 건강한 삶’을 주장했습니다. 대개 한국의 경우 은퇴를 하면 지레 기가 죽어 산을 찾거나 적당히 편한 자리를 선호하는 사람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런 면에서 속눈썹이 날리도록 바빴던 사파이어의 삶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우리는 너무 빨리 조로하는 경향이 있지는 않은지요. 속도감이 오늘날 한국의 번영을 가져왔다는 주장도 있지만 곰곰 생각해보면 그 도가 지나친 점이 있기도 하지요. 사탕 하나를 입에 넣더라도 끝까지 빨아 먹는 한국인은 드물다고 하는데, 서너 번 빨아보다가 이내 우두둑 부숴 먹어야 성이 차는 민족인지도 모릅니다.

문제는 이땅에서 칠순을 넘기고도 왕성하게 활동하는 인물은 정치인을 빼고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는 것이지요. 능력 없는 사람들은 그렇다 치더라도 능력이 출중하고 건강한 사람조차 미리 겁부터 먹고 인생 2모작에 용기를 내어 올인하는 경우는 드물다는 것입니다. 풍요로운 식생활과 높은 의료 수준 덕분에 청년같은 장년들이 서울 거리에 넘치고 있습니다. ‘지공대사(지하철을 공짜로 타는 노인층)’ 어르신들이 곳곳에 눈에 띄기도 합니다. 그러나 능력이 있건 없건 건강하게 오래 살고 싶으면 무조건 뭐라도 해야 한다는데 선배님은 그걸 찾으셨는가요. 독일의 괴테는 여든 살에 ‘파우스트’를 완성했고 파블로 피카소나 파블로 카잘스 같은 인물도 칠순 넘어서까지 맹렬한 예술활동으로 명성을 떨친 것을 보면 우리도 아직 늦지는 않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선배님게서 말씀하신 ‘노익장이 넘치는 사회가 건강한 사회다.“라는 말을 가슴 속으로 되새겨 봅니다. 오라는 곳 없다고 불평만 하지 않고 열심히 달려가시면서 살아가는 선배님의 건강한 모습을 다시 한 번 머릿속에 그려보면서 "절대 은퇴하지 마십시오."라는 말씀을 전하여 드리면서 이만 줄입니다. 건강하세요.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