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9일(목) 저녁 7시 기생충학 박사 서민(단국대 교수)가 순천연향도서관에 왔다. 순천시민을 대상으로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라는 주제로 인문학 강의를 하였다. 강의 시작 전에 인사를 나눈 과정에서 "우리가 어렸을 때 이런 강의가 있었다면 좋았을 것"이라면서, 자리가 부족하여 통로에 서 있는 사람이 있는 등, 청중 수가 많은 것을 보고 의아함을 표시하였다. 다양한 종류의 기생충과 이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삶에서 무엇이 중요한 것인가를 유머를 섞어가면서 청중들의 반응을 이끌어 냈다.

우리 나라 교육환경을 이야기 하면서 상상력을 기르는 데는 독서만큼 중요한 것이 없다는 사례를 들고, 초등학교에서는 강요된 독서를 하고 있으며, 진정 읽어야 할 중, 고등학교 시절에는 입시에 억눌려 책을 멀리하고 있다는 것이 안타깝다면서 교양과학서의 빈곤국이라는 지적을 하였다. 우리 학생들에게 글쓰기는 단순하게 일기만 잘 써도 된다면서 글쓰는 기회를 놓치고 있다. 또한 독서를 방해하는 SNS, 스마트폰을 자기 스스로 통제하는 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읽어볼 도서로는 장하석 교수(캠브리지대 교수)가 쓴 과학, 철학을 만다다를 추천하였다. 한편 기생충에 관하여 자신이 저술한 '서민의 기생충 열전'을 소개하였다. 우리나라는 아직 과학분야의 노벨상이 없는데 일본은 21명이라면서 일본에서는 어려서부터 박물관에서 자연스럽게 과학을 배우는 여건이 만들어져 있다는 것이다. 한편, 학생들이 남들이 좋다는 공무원 되는 것에만 매달리면 희망이 없다면서, 첫째, 산으로 가서 도마뱀을 잡는 경험을 하고, 둘째,기생충을 목에 걸고 다니는 경험과, 셋째, 어려서부터 열심히 책을 읽음으로 상상력을 키워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돌아오는 6월 16일 강의에는 '인간의 숲 이야기'로소설가 석성제 강사가 연향도서관을 찾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