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유럽연합 잔류 여부를 결정 짓는 국민투표는 최종적으로 떠날 것으로 오늘 결정되었다. 다수의 EU국가들은 잔류를 희망하고 미국을 비롯한 그외 나라들도 상당수 같은 의견을 보였다. 오늘 아침까지만 보아도 예측은 잔류로 예측이 나 ‘브렉시트’가 무산된다면 영국의 전도 유망한 여성 정치인 조 콕스의 죽음은 유럽 통합의 제단에 바쳐진 ‘순교’로 기억될 것이라는 희망을 보였다. ‘반(反)브렉시트’ 캠페인을 열성적으로 벌여온 초선의 노동당 국회의원인 콕스는 지난주 괴한이 쏜 흉탄에 맞아 41세의 꽃다운 목숨을 잃었다. 이를 계기로 여론이 다시 뒤집혀 잔류파가 탈퇴파를 앞선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뚜껑을 열어 보니 헛수고가 된 것이다.
18세기 산업혁명의 발생지로 세계화를 이끌며 번영을 구가했던 대영제국이 21세기 정보화 시대에 섬나라의 고립주의 속으로 돌아가는 것 자체가 세계사의 역설이다. 지금 영국은 지금 벼랑 끝에 서 있다. 절벽 아래 천길 낭떠러지를 내려다보게 되었다. 죽느냐, 사느냐의 기로에서 고뇌하는 햄릿이나 마찬가지이다. 모든 상식은 브렉시트로 인하여 영국의 정치적·경제적 자살 행위가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탈퇴 편에 선 사람들은 선출되지도 책임지지도 않는 EU 관료들의 속박에서 벗어나 ‘민주적 자결권’을 회복하는 것이 영국이 살 길이라며 “통제권을 환수하라”고 외쳤다.
EU와 결별하고 ‘영예로운 고립’을 택하는 게 낫다고 보는 이들의 심리에는 해가 지지 않는 대제국을 건설했던 ‘영광스러운 과거’에 대한 노스탤지어 때문인가! 영국은 EU 회원국이지만 유럽 단일통화인 유로는 물론이고, 국경 통제를 철폐한 솅겐 협정에서도 빠져 있다. 안보·경제·조세·복지·교육·의료 등 다양한 정책 분야에서 폭넓은 자율권도 인정받고 있다고 한다. 그럼에도 유독 영국에서 ‘유럽 회의론’이 기승을 부리는 배경에는 섬나라인 영국은 유럽대륙과 다르며 혼자서도 잘 할 수 있다는 ‘앵글로색슨 예외주의’가 자리 잡고 있다.
한편, 브렉시트는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의 분리독립 움직임으로 이어져 영국의 분열을 부채질할 것이다. 경제적으로는 물론이고 정치적으로도 브렉시트는 ‘대영국’을 ‘작은 잉글랜드’로 축소시키는 역효과를 낳을 게 뻔하다. 영국의 자살은 영국만의 문제로 끝나지 않는다. 브렉시트의 ‘베르테르 효과’는 EU 내 다른 회원국들의 탈퇴 움직임을 촉발할 가능성이 크다. 높은 실업률과 난민 사태에 테러까지 겹치면서 자국 우선주의를 외치는 극우파들이 득세하고 있는 상황에서 브렉시트는 불에 기름을 붓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하지만 세상은 변했다. 혼자 힘으로 살 수 없는 글로벌 시대이다. 상호연계성과 상호의존성이 강화되면서 전통적인 주권의 의미는 퇴색하고 있다. 개방과 경쟁은 이 시대의 핵심 코드다. 혼자 하는 것보다 같이하는 것이 나을 때는 주권의 일부를 양도하는 ‘공유주권’ 개념이 대세이고, EU는 이를 근거로 창설되고 발전해 왔다. 이런 시대에 주권의 낡은 상징에 연연하는 것은 시곗바늘을 거꾸로 돌리는 시대착오라 보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우리가 이같은 탈퇴를 바라보면서 읽어내야 할 것은 경제의 저성장과 그리스의 부채를 둘러싼 문제, 그리고 난민 문제이다. 이러한 현상을 우리 나라와 비교하여 보면 세계의 저성장 그늘이 우리나라에 드리워지고 있으며, 우리 나라의 국가 재정 적자누적은 물론 늘어나는 가정의 부채, 그리고 북한의 미래를 상정하여 일어날 수도 있는 난민의 문제는 결코 남의 이야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영국의 탈퇴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질서를 주도해온 개방적 국제주의가 퇴조하고 폐쇄적 고립주의가 부활하는 신호탄이 될 것인지 지켜봐야 한다. 프랑스의 극우파 정당인 국민전선(FN)의 마린 르펜 대표나 무슬림과 멕시코인에 대한 국경 통제를 강화하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가 브렉시트를 지지하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무엇보다 양극화를 놓고 세계를 휩쓸기 시작한 ‘분노의 포퓰리즘’ 쓰나미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정치권은 치열한 고민을 해야 할 것이다. 4·13총선에서 예상을 뒤엎은 새누리당의 참패는 기득권 계층에 대한 분노를 드러낸 ‘한국판 브렉시트’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영국에서 브렉시트 주장이 먹히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기성 정치권에 대한 환멸과 실망 외에 달리 설명하기 어렵다.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가 구체적 수치를 제시하며 브렉시트의 위험성을 경고할 때마다 사람들은 그걸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 자기 밥그릇만 생각하는 정치 엘리트들의 과장된 위협과 협박으로 치부하였다. 특히 글로벌라이제이션 과정에서 소외된 노동자와 서민 계층일수록 그런 경향이 강하였다는 것이다. EU를 탈퇴하면 2년 내 일자리 50만 개가 사라지고 국내총생산(GDP)은 3.6% 하락한다는 지식인들의 이성적인 경고는 ‘잃어버린 내 나라’를 되찾겠다는 이들의 감성 앞에 무력했다. 이같은 배경에는 EU 잔류를 외치는 기성 정치 엘리트들에 대한 반발심이 오히려 잔류 반대 표심을 자극하여 이같은 결과를 냈다고 보는 전문가들도 있다. 우리의 정치권도 이를 반면교사로 삼아 이 시대의 어려움을 함께 짊어지고 공감하는 자세가 필요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