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5 (금)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교원들의 '학습된 무기력'을 걱정합니다

야간자율학습 일괄 폐지 보도를 보면서

경기도교육감이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또’ ‘사고’를 쳤다. 이게 무슨 의미일까? ‘또’라는 것은 이 교육감 재임 시 ‘이런 상황은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 의미이며 ‘사고’라는 것은 ‘학교의 여론을 수렴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발표한 것’을 말한다. 바로 교교 야간자율학습 폐지를 두고 하는 말이다.

이 교육감이 하는 일은 그렇다. 어느 날 중학교 학생들의 건의를 받아 들여 ‘9시 등교’를 전격 시행했다. 몇 몇 학교가 반발했지만 곧바로 수그러들고 말았다. 인사권과 재정권을 가지고 있는 지방교육 수장의 무소불위 권력에 감히 도전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야간자율학습 전격 폐지도 이와 같은 수순을 밟으리라고 본다. 즉, ‘9시 등교’처럼 교육감의 생각에 98% 이상의 학교가 쫓아가리라고 보는 것이다.

지난 겨울, 광교산 산행 중 중학교 교장을 만난 적이 있다. 잠시 대화를 나누었는데 명퇴신청을 했다고 알려준다. 그 교장은 혁신학교 고교 교장(공모) 4년, 혁신 중학교 교장 2년차이다. 나이로 보면 정년퇴직까지 6년 이상이 남아 있다. 그런데 명퇴라니? 그는 말한다. “학교의 등교시각 하나 정하지 못하는 교장입니다.” 법으로 교장이 해야 일을 교육감이 빼앗아 간 것이다.

그가 명퇴를 신청한 이유는 이것만이 아닐 것이다. 건강이라든가, 퇴직 후 새로운 인생 출발, 가족과 함께 하는 전원생활이라든가 등. 그러나 그가 명퇴한 이유 중의 하나가 교직염증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교장이라는 지위, 아무나 오를 수 없는 중요한 자리다. 그러나 그는 그 자리를 과감하게 내 던진 것이다. 필자가 가장 우려 하는 것은 그 교장의 ‘학습된 무기력’을 염려하는 것이다.

흔히들 교육자들은 자존감을 먹고 산다고 말한다. 제자들 앞에 당당히 설 수 있는 것도 이 자존감 때문이다. 그러나 이 자존감이 무참히 무너졌을 때는 교직에 회의를 느끼게 된다. 교직에 있으면서 ‘학습된 무기력’을 경험했을 때 더 이상 교직에 머물러 있을 수 없다. 결단을 내려야 하는 순간이 온 것이다. 이것은 교장, 교감, 교사 모두가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9시 등교’나 ‘자율학습 폐지’의 공통점은 학교의 자율적 판단이 철저하게 소외되었다는 것이다. 학교는 교육여건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학교의 구성원들은 교육감의 결정에 따라가기만 하면 된다. 이게 자칭 진보교육감이라는 사람들의 교육정책 추진 방법이다. 지금이 어느 시대인데 ‘나를 따르라’식이다. 이들의 행태는 진보가 아니라 구태라고 해야 맞을 것이다.

가장 편한 공직생활은 ‘시키는 대로 하는 것’이라는 말이 있다. 자발성. 자율성, 창의성 없이 그저 상의하달로 내려온 것을 그대로 실천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마음이 편하다. 상관으로부터 눈밖에 날 일이 없다. 그러나 학교 발전, 교육발전, 지역발전은 없다. 학교 특색도 발현할 수 없다. 침체된 조직이 되고 마는 것이다.

경기도내의 고교 교장들의 고민이 깊어질 것 같다. 지금 현재 자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자율학습을 교육감 생각대로 폐지해야 할지 아니면 유지해야 할지? 교육감과 맞짱 뜨다가는 괘씸죄에 걸릴 수도 있고 야자를 그대로 유지하다간 눈밖에 날 수 있다. 가장 좋은 방법은 간단하다. 교육적 소신을 접는 것이다. 교육감이 시키는 대로 하는 것이다.

이런 과정에서 자존감이 강한 교장은 명퇴를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학교 운영조차 교육철학을 반영할 수 없으니, 그렇다고 교육감과의 불편한 관계도 싫고 하여 명퇴를 택하는 것이다. 편하게 생각하고 그렇게 사는 방법도 있다. ‘9시 등교’는 역설적으로 출근 시간을 늦춰주어 행복한 아침을 만들어 주었다. ‘자율학습 폐지’는 저녁이 있는 삶을 만들어 준다. 이 얼마나 고마운 정책인가? 학생의 미래를 걱정하지 말고 그대로 받아들이면 된다.

교육이 살아나려면 자존감이 충만한 교육자들이 있어야 한다. 자존감이 있는 교원들 아래에서 자존감이 있는 학생들이 자라난다. 학교 운영에 자율성이 있어야 한다. 지역여건을 고려한 교육이 제대로 된 교육이다. 교육감 혼자서 교육에 대해 고민하면 아니 된다. 교육감은 교원들의 무기력을 더 이상 습관화시켜서는 아니 된다. 현장 교원들의 생각이 존중되는 교육 정책이 아쉽기만 하다. 내년도 경기도 고교 교장들은 과연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