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삶은 경기에 자주 비유되고 있다. 신약성서의 사도바울도 "경기장에서 여러 선수들이 달리지만 우승자는 하나뿐이라는 사실을 모르십니까?"라고 비유하고 있다. 이 세상은 큰 경기장이다. 다양한 경기가 이뤄지고 있다. 그 가운데 세계인들의 관심을 끄는 종목이 축구이다. 지금 유럽에서는 유로 2016이 열려 많은 사람들이 이 경기에 주목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축구팬의 주목을 끈 경기는 미대륙 최강자를 가리는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 결승전이었다. 승부차기 끝에 아르헨티나팀이 칠레에 패한 것이다. 이 경기에서 골을 넣지 못한 메시가 은퇴를 선언을 한 것이다. 그는 개인 통산 네 번, 그리고 최근 3년 연속으로 메이저 국제대회 결승전에 오르고도 매번 준우승에 그친 데 자책하며 더는 대표팀에서 뛸 자신이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하여 메시에게 결정을 번복해 달라는 자국민들의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어느 학교 선생님이 그에게 보낸 편지가 화제가 되고 있다. 아르헨티나의 학교 선생님이 대표팀 은퇴 선언한 메시에게 보낸 감동의 편지 핵심 내용은 "영웅인 당신, 우리 아이들에게 이기지 못하면 포기해도 괜찮다는 선례를 남가지 말았으면..." 하는 내용이었다. 그 어느 유명 인사의 은퇴 번복 요청보다 더 가슴을 울리는 한 평범한 선생님의 편지 한통이 최근 아르헨티나 언론을 통해 소개된 것이다.
아르헨티나의 작은 마을 비알레에 거주하는 요아나 푹스는 페이스북에 게재한 편지를 통해 "나는 선생님이 돼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지만, 내가 아무리 노력해도 나를 향한 학생들의 존경심은 그들이 당신을 좋아하는 마음에 미치지 못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그 아이들이 지금 영웅이 포기하는 모습을 보게 됐다. 당신을 지치게 만든 일부 아르헨티나인들의 어두운 면을 나도 잘 안다. 그러나 대표팀 은퇴는 당신을 욕하고 깎아내리는 그들에게 굴복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그들처럼 승리의 가치만 느끼고 패배를 통해 성장하는 가치를 무시하는 어리석음에 넘어가지 않았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푹스는 "아이들에게 이기는 것만이 우선이고 유일한 가치라는 선례를 남겨선 안 된다"며, "아르헨티나의 어린아이들이 인생의 목적은 다른 누군가를 행복하게 해야만 한다는 생각을 하게 해선 안 된다. 당신이 어린 시절부터 어떤 어려움을 이겨내며 오늘의 메시가 됐는지 잘 안다. 성장 호르몬 결핍이라는 병을 앓은 당신이 어린 나이에 고통스러운 주사를 몇 대나 맞아야 했는지 우리 모두가 알고 있다. 그러나 지금 당신이 대표팀에서 은퇴하면, 이 나라의 아이들은 당신이 추구하는 가치를 보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지금의 당신처럼 가족은 물론 부와 명예까지 있는 사람이 졌다는 이유만으로 포기한다면, 오늘도 하루하루를 어렵게 살아가는 이 나라의 많은 사람들은 인생의 가치를 잃어버릴 수 있다"고 호소했다. 푹스는 이어 "나는 학생들에게 메시를 얘기할 때, 당신이 얼마나 멋지게 축구를 하는지 가르치지 않는다"면서, "아이들이 메시에게 배워야하는 건 경기장에서 보이는 화려함이 아니다. 아이들은 경기에서 프리킥으로 단 한 골을 넣기 위해 당신이 같은 장면을 수천번이나 연습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아르헨티나 대표팀 유니폼을 벗어선 안 된다. 모든 팬들이 당신에게 승리만을, 우승만을, 트로피만을, 메달만을 바라는 게 아니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제발 우리 아이들에게 2위는 패배라고, 경기에서 지는 게 모든 영광을 잃게 되는 일이라는 선례를 남기지 말아달라"고 설명했다.
끝으로 푹스는 "진정한 영웅은 패했을 때 포기하지 않는다. 진정한 영웅이라면 이길 때는 같이 이기고, 질 때도 혼자가 아니라는 진리를 가르쳐야 한다. 그러니 당신이 우리나라를 대표할 때만큼은 리오넬 메시가 아닌 아르헨티나 그 자체라는 마음으로 대표팀에 남아줬으면 한다. 결과와 관계없이 사랑하는 일을 하며 행복할 수 있다면, 그게 가장 위대한 우승인 것"이라며 글을 마쳤다.
이처럼 한 선생님의 메시지는 SNS를 타고 저 넓은 세상에 퍼져나가고 있다. 한 선생님의 소망이 이뤄질 것인지는 두고 봐야겠지만 이 선생님이 강조한 가치를 다시 한 번 가슴에 새기면서 아이들 앞에 패배는 결코 끝이 아니라는 사실을 가슴에 담아 두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