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학기말이면 교사들은 성적처리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과목도 한 두 과목이 아니고 많은 과목을 일일이 기록해야하고 또한 부수적으로 해야 할 것들이 참으로 많이 있기 때문이다. 성적 처리는 교사의 의무이기 때문에 당연히 해야겠지만 문제는 문장으로 서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학생과 학부모의 입장을 생각하여 대부분 교사들은 공부를 못하고 행동이 불량스러워도 대부분 좋은 점만 써주게 마련이다. 우스갯소리로 자녀들이 중학교에 가면 학부모들이 "우리 아이가 이 정도였나?"며 자녀의 실체(?)를 알고 깜짝 놀란다고 한다.
‘내 아이가 이 정도였나?’의아해하며 어떤 분들은 초등학교 교사를 원망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초등 교사들은 교사들 나름대로 많은 고민이 있다. 아이의 장래를 위해서 가급적이면 ‘학생의 행동 중 좋은 점은 무엇이 있을까?’고민해서 기술해주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성적이 워낙 낮고 태도가 불량스러워 행동 수정이 반드시 필요한 아이들조차도 좋은 면만을 써주어야 하다 보니 때로는 갈등을 느낄 때도 있다. 학생이나 학부모들이 자신의 행동이나 성적에 솔직히 직면하게 해주는 것이 오히려 학생에게도 바람직한 방향으로 행동 수정이 가능할 것이고 학부모들도 자녀의 수준을 직시해서 학업이나 진로 지도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강하게 들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떨 때는 전통적인 방법이 오히려 더 바람직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자주 가져보았다. '수, 우, 미, 양, 가'로 표기하거나 아예 과목별 점수를 그대로 입력해주고 행동 특성 및 교과학습 발달 상황을 좀 더 자세히 기록해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가져보았다. 따라서 향후 초등 생활 통지표 작성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추진되었으면 한다.
첫째, 기존의 교과 학습 발달 상황을 입력함에 있어 글자 수를 100자 이내로 해야 한다. 일정한 기준이 없다보니 담임교사마다 서술의 양이 다르고 좀 많이 서술했으면 성의가 있어 보이고 적게 서술했으면 성의가 없거나 무관심한 듯한 오래를 불러일으키는 등 교사들 간의 갈등을 조장하기 십상이다. 글자 수를 100자 이내로 통일하면 교원 업무경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수행 평가도 최상, 상, 중, 중하, 하 등 5단계보다는 일정 기준(60점 이상) 통과했으면 통과, 기준에 도달하지 못했으면 미 통과의 두 단계 방식인 P/F제로 했으면 한다.
셋째, 학부모들이 중간, 기말 성적 또는 상시 평가를 통해 충분히 자녀의 성적을 알 수 있도록 교과 학습 발달 상황도 100자 이내로 서술하거나 기존의 방법인 '수, 우, 미, 양, 가' 또는 기말 성적 평균을 입력하는 방법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렇게 되면 학부모들도 명쾌하게 자녀의 수준을 알 수 있고 자녀들의 능력이나 성적에 대한 오해나 착각이 줄어들 것이다. 기존의 성적 입력 방식은 괜한 오해나 기대심리만 심어줄 뿐 교사들의 업무 경감만 과중되고 학생이나 학부모들에게도 큰 도움이 되지 못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