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우리 교육을 보면 뭔가 크게 잘못 되어 간다는 생각이 든다. 교육주체가 교사가 아니라 너무 학생들에게 솔려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인지 몇몇 학생들의 생각과 의견이 곧 우리 교육의 정책방향이 되고 있어 한편으론 걱정스럽다.
몇 일전 서울시교육청은 초등학교 1학년 1학기에는 받아쓰기, 알림장 쓰기 등 학습에 흥미를 잃게 하는 학업 관련 숙제 금지, 일률적이고 강제적인 숙제 금지, 선행학습 하지 않은 학생에게 선행학습의 필요성을 느끼게 하는 숙제 금지 등 숙제금지령을 내렸다. 한마디로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학생들의 숙제 부과는 엄연한 교사의 권한이고 자율권이다. 이를 교육감이 이래라저래라 하는 것은 분명한 월권이며 권한남용이다. 물론 말미에는 책임을 면하기 위해 ‘숙제는 교사의 자율, 숙제에 대한 책임은 교사’라고 언급을 했었지만 이는 면피용에 불과하다.
뿐만이 아니다. 경기도 교육감은 ‘9시 등교’에 이어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고등학교 ‘야간자율학습 폐지’를 내놓아 언론에 주목을 받고 있다. 이도 마찬가지다. 아무리 선심성 교육이고 인기 플레이라 하더라도 교육이 학생들의 눈치만 봐서는 교육다운 교육을 할 수 없다.
교육은 학생들의 바람직한 행동을 변화시키는 일이다. 바람직한 행동은 미성년인 학생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실천하기 어렵다. 그래서 성년인 교사가 교육의 주체가 되어 이끌어주고 가르쳐 주어야 한다. 그리고 인간은 누구나 스스로 공부하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단지 공부가 미래 삶에 대한 희망을 주기에 교사나 학부모에 의해 할 뿐이다.
학생중심의 교육은 맞는 말이다. 그렇다고 교육의 방향이 학생들이 원하는 데로 가서는 안 된다. 국가의 교육정책과 교육과정에 따라 학생들의 바람직한 삶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싫어해도 그들을 설득하고 이해시켜 힘들고 어려운 것도 이겨낼 수 있도록 교육시켜야 좋은 교육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 현장교육의 방향을 바르게 잡아주는 것이 좋은 교육행정이고 이를 잘 실천하도록 하는 사람이 훌륭한 교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