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 가족 추억 만들기로 좋아요
얼마 전 우리 부부는 올해 26살이 된 딸과 함께 광교산에 올랐다. 가족 산행 햇수를 따져보니 무려 16년만이다. 그러니까 우리 자식들이 초등학교 다닐 때만 해도 가족 4명이 가족 산행을 즐겼다. 그러나 중학교에 진학하고부터 가복 산행이 부부산행으로 바뀌었다. 아이들이 호응을 하지 않으니 그렇게 된 것이다.
점심으로 오리백숙을 먹었다. 배를 든든히 채우고 힘내서 산행을 하려는 것이다. 서울에서 내려온 딸은 운동화를 신고 왔다. 가족 밴드를 통해서 사전 산행 약속이 있었던 것이다. 오늘 산행, 우리 가족은 어떤 추억을 만들까? 산행의 여러 가지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 졸업 후 취업 기념이라고 해도 좋으리라.
우리 딸이 어렸을 때 광교산을 찾은 것은 16년 전이니 초등학교 5학년 무렵이다. 문암골을 거쳐 백년수에서 물 한 모금 축이고 형제봉을 올랐다. 여기에 만족을 못하고 최고봉인 시루봉으로 향하였다. 얼마쯤 올랐을까? 딸과 아들이 뒤떨어지기 시작한다. 땀을 뻘뻘 흘리며 숨을 헉헉 댄다. 아이들 하는 말, “아빠, 우리가 여기서 기다릴 터이니 아빠 혼자서 시루봉 다녀와!”이다.
그 당시 40대 중반이었던 나는 아빠로서 자질이 부족하였다. 자식들과 쉬어가면서 간식도 주고 손을 잡아가면서 아름다운 추억을 만들었어야 하는데 내 체력만 생각하고 아이들이 따라와 주기를 바랐던 것이다. 초등학생과 아버지의 체력이 같을 수 없는데도 말이다. 지금처럼 철(?)이 났으면 아마도 달랐을 것이다.
산행의 목적은 여러 가지가 있다. 건강, 체력 단련, 친교, 대화, 숲 체험 등이 잇지만 이번 광교산행은 자식들과 추억 만들기이다. 자식들 초등학교 시절, 백년수 명칭의 유래를 알려 주니 아들이 무려 약수물을 세 컵이나 먹는다. 무병장수의 꿈은 누구나 갖고 있는 것이다. 또 그것이 인지상정인 것이다.
이번 산행, 우리 부부보다 딸이 먼저 이야기를 건넨다. 직장 초년생이라 주로 직장이야기다. 직장 상사인 대리, 과장, 차장, 부장, 팀장, 전무, 상무들과 있었던 이야기를 생생하게 들려준다. 문득 나의 직장 초년 시절이 떠오른다. 40년이 지났지만 지금도 기억이 새롭다. 상사들이 무심코 던지는 말이지만 초년생에게는 가슴 깊이 새겨진다. 직장 선배들이 신입사원 대하는데 유념할 사항이기도 하다.
이번 광교산행, 산을 찾은 외국인들이 많이 보인다. 아마도 우리나라로 유학 온 학생들로 보이는데 무려 50여 명이 단체로 광교산을 찾았다. 인도에서 온 어느 학생은 우리에게 하산 길을 묻는다. “안녕하세요? 이 길로 가면 어디가 나옵니까? 왜 이 길로 가는 사람들이 없죠?” 우리나라 말을 자연스럽게 한다. 우리 딸은 “이 길로 쭉 가면 경기대학교가 나옵니다”라고 친절히 알려준다.
산을 오르면서 딸에게 광교산의 추억을 물었다. “그 때는 백년수가 왜 그렇게 멀었는지 몰라. 오르는데 매우 힘들었고. 지금은 별로 힘들지가 않네” ‘아, 내가 억지로 꼬드겨서 자식들을 데리고 광교산에 올랐구나!’ 내가 반성할 점이다. 자식들 눈높이에 맞추어 대화도 하고 그들의 산행 속도에 맞추어 산을 올랐어야 하는데 배려가 부족했던 것이다.
형제봉에서 밧줄을 타고 올라서 기념사진도 여러 장 찍었다. 하산 길에는 딱따구리처럼 소나무껍질을 뚫어 먹이를 찾는 회색빛의 동고비도 보았다. 동고비의 그 행동은 처음 보는 특이한 것이라 사진으로 남겼다. 광교산을 찾았을 때 동고비는 박새나 곤줄박이처럼 사람들이 준비한 땅콩 먹는 것을 익숙하게 보아왔기 때문이다. 산에 산새들이 있어 그들을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은 산행의 또 다른 즐거움이다.
무려 세 시간의 산행이 끝났다. 우리네 인생, 긴 것 같지만 짧은 인생이다. 가족 간 아름다운 추억을 만들 시간이 부족하다. 돌이켜 보니 추억 만들기는 자식들의 유년 시절이 고작이다. 그 다음부터는 가족들이 일부러 시간을 만들어야 한다. 수원 토박이인 우리 딸, 광교산의 아름다운 풍광을 머릿속에 담고 부모들과 나눈 대화가 삶에 있어 좋은 지침이 되었으면 한다. 우리 가족 만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