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02 (토)

  • 흐림동두천 13.1℃
  • 흐림강릉 14.3℃
  • 흐림서울 14.9℃
  • 흐림대전 15.0℃
  • 대구 14.4℃
  • 울산 15.8℃
  • 광주 14.6℃
  • 부산 16.4℃
  • 흐림고창 13.0℃
  • 제주 19.2℃
  • 흐림강화 13.8℃
  • 흐림보은 14.6℃
  • 흐림금산 14.4℃
  • 흐림강진군 15.7℃
  • 흐림경주시 14.6℃
  • 흐림거제 16.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21세기에 왜 역사교육이 중요한가

한 나라의 역사교육은 그 목적, 그리고 그 내용을 담는 교과서, 현장에서의 수업 등이 조화롭게 합치될 때 그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다. 지금이야말로 역사교육의 목적과 역사 교과서의 존재 이유를 다시금 진지하게 논의해야 할 때이다.

21세기에 들어와서 가장 큰 사회적 이슈들을 들자고 한다면 역사교육과 관련된 문제가 몇 손가락 안에 꼽힌다. 우선 2001년 일본의 우익 교과서인 ‘후소샤 역사교과서 문제’를 시작으로 2005년도의 그 개정 교과서를 둘러싼 문제, 중국 ‘동북공정’의 한국 고대사 왜곡, 그리고 2008년 일본의 중학교 ‘신학습지도요령’ 해설서의 독도서술과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편향’ 문제 등이 바로 정치계, 학계, 언론계, 교육계 등을 뜨겁게 달군 내용이다.
이렇게 국내외적으로 역사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는 가운데 TV에서도 대조영, 광개토대왕, 신윤복, 강감찬 등을 소재로 한 역사드라마가 인기를 끌고 있다. 역사에 대한 소재로 한 영화는 흥행을 보증한다는 말도 충무로에서는 회자되고 있으니 실로 국민적 관심이 ‘역사’로 쏟아지고 있다고 보아도 가히 좋을 것 같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우리에게 ‘역사교육’이 중요하게 된 것일까. 지금 현시점에서 우리나라 ‘역사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은 무엇이고 또 그에 대한 대안은 무엇일까.
우리에게 역사교육이 중요하게 논의된 것은 비단 오늘날의 일만이 아니다. 일제 강점기에는 우리의 역사를 배울 수 없었던 시절이 있었고, 해방 이후에도 우리의 실정을 반영한 역사교육이 무엇인지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부족한 가운데 외국의 역사교육에 대한 이론들이 우리의 학문적 역사교육 이론의 바탕이 되었다. 더군다나 이러한 이론들이 우리의 학교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여지는 매우 적었다.

그런데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발생한 중국의 ‘동북공정’과 일본의 후소샤 역사교과서 왜곡을 둘러싼 동아시아의 정국 변화는 그동안 우리의 역사교육에 대한 무관심과 불철저에 대한 반성을 하게 만들었다. 중국은 변방 지역 민족의 자치 요구를 무마하기 위해 현재 중국 영토에서의 역사는 모두 중국의 역사라는 식의 논리를 펼치며 한국의 고대사를 왜곡하고 있다. 일본 또한 독도를 국제분쟁 지역으로 만들기 위해 교과서 왜곡 작업을 실시하고 과거사를 반성하지 않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분노하기도 하고 이에 대한 일시적인 대응책도 마련했지만 이보다 근본적으로 국가의 기틀이 될 역사교육에 보다 냉철한 이성을 바탕으로 한 장기적인 지침을 만들 필요가 있다는 논의가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최근 역사교육의 문제를 반영하듯, ‘2007 개정 교육과정’ 하에서는 국사와 세계사를 통합한 ‘역사’를 사회교과에서 별도의 과목으로 독립시켰고, 동아시아 국가들 간 조성되고 있는 역사 갈등을 극복하고 공동역사인식을 만들어 나가고자 하는 취지에서 ‘동아시아사’를 신설하고 있다. 또한 고등학교 1학년의 역사 수업시수가 주당 2시간에서 3시간으로 확대되었다.
또 다른 특징 중의 하나는 근현대사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사실 제7차 교육과정 하에서는 한국 근현대사 과목이 선택과목이 돼 고등학교를 졸업해도 한국근현대사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학생들이 나타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어 왔다. 이러한 의견을 반영한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에서 통사를 배운 학생들이 고등학교 1학년 ‘역사’과목에서 근현대사를 중심으로 역사를 배우게 된다.
이러한 방안들이 다소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식의 느낌도 든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한국사와 세계사를 구분하던 이분법적 논리를 지양하고, 그동안 움츠려 왔던 역사과목이 이제는 활개를 펴고 제 역할을 감당할 수 있도록 하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반길만한 일이다. 그러나 새로운 교육과정에서의 교과서 검정을 앞두고, 불거진 근현대사 교과서의 편향 논란을 보면서 우리 역사교육계 전체의 상처가 채 아물지 않았음을 느낀다. 이 문제는 우리 역사교육계에서 지금까지 역사교과서가 무엇이어야 하는지, 그리고 검정교과서 체제하에서 역사교과서는 어떠해야 하는지 국민적인 합의를 보지 못했기 때문에 만들어진 일이라고 생각한다.

‘역사교육의 목적을 무엇으로 보는가’에 따라 ‘교과서가 무엇이어야 하는가’도 달라질 수 있다는 조금 다른 관점에서 이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역사교육의 목적을 역사적 판단력, 역사적 상상력과 같은 역사적 사고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면 교과서에 담긴 다양한 역사 해석은 오히려 유리하다. 그러나 역사교육의 목적을 우리 민족의 공동체 역사의식을 함양하는 데 둔다면 교과서가 한 나라의 공통된 역사의식을 필요로 하는데 기능해야 하는 것이 옳다.
한 나라의 역사교육은 그 목적, 그리고 그 내용을 담는 교과서, 현장에서의 수업 등이 조화롭게 합치될 때 그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다. 지금이야말로 역사교육의 목적과 역사 교과서의 존재 이유를 다시금 진지하게 논의해야 할 때이다. 아니, ‘역사교육의 목적을 한가지로 일치시킬 필요가 있는가’ 하는 문제부터 논의는 시작돼야 한다. 이러한 원론적인 부분이 탄탄해지고 이에 대한 국민적 합의가 뒷받침될 때, ‘편향’의 논쟁도 ‘주관성’과 ‘객관성’이라는 기준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 것이다.

21세기의 국사 교과서 검정 체제하 1세대인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시행착오를 발판으로 삼아 새로운 교육과정 하에서의 역사교과서에 거는 기대가 크다. 하지만 그때그때 변화되는 교육과정 속에서 역사교육이 축소되는 일이 다시 있어서는 안 된다. 우리는 중국과 일본이 왜 그렇게 타국의 비난을 감수하고서라도 역사교육에 힘을 쏟는지 주목해야 한다.
21세기의 역사교육은 동아시아에서 매우 중요하다. 보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역사교육을 시행하는 국가만이 이 냉정한 국제사회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세계사의 보편성과 우리 역사의 특수성, 그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은 역사교육의 성패가 앞으로 자라나는 세대의 역사의식을 좌우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우리 역사교육의 내실을 탄탄히 해야 할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