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7 (일)

  • 구름많음동두천 19.1℃
  • 구름많음강릉 23.2℃
  • 흐림서울 18.4℃
  • 구름많음대전 23.1℃
  • 맑음대구 23.5℃
  • 구름많음울산 25.6℃
  • 구름많음광주 22.8℃
  • 구름조금부산 20.4℃
  • 구름많음고창 22.5℃
  • 흐림제주 20.6℃
  • 흐림강화 14.2℃
  • 구름조금보은 22.6℃
  • 구름많음금산 22.7℃
  • 구름많음강진군 24.1℃
  • 맑음경주시 25.3℃
  • 구름조금거제 22.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트리즈로 환경 문제를 해결해보자 ( 5 )

이번 호에서는 트리즈 원리 중 매개체를 활용한 문제 해결 방법과 셀프 서비스를 활용한 문제해결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추가적인 비용의 발생을 최소화하며 문제의 해결을 도모하는 창의성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매개체를 활용한 문제해결

매개체(Mediator)란 결혼 중매자의 역할과 같다. 상대방의 이성에게 직접적으로 만날 수 없거나 처음 만날 때 중매자가 상대의 장점이나 특징 등을 말해줌으로서 결혼이 이루어지게 하듯 매개체는 작용을 전달하거나 수행하는 등의 역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다.
즉, ‘매개체를 활용한다는 것’은 작용을 수행하거나 전달하기 위해 중간 매개물을 사용하거나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물체를 원래 물체에 임시로 연결하는 방법을 뜻한다. 이러한 매개체 원리를 이용한 학생들의 문제 해결 방법을 살펴보자.


사례 ❶ 재활용 페트병을 이용한 세면대 배수관 거름장치
일반 세면대 아래쪽에 P트랩, S트랩 등 배수관이 설치되어 있지만 머리카락이나 이물질을 걸러 주는 장치가 없어 배수관이 자주 막히고 청소하기도 번거롭다. 또한, 청소하는데 많은 시간이 낭비될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하수구로 흘러내려가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어떻게 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배수관을 쉽게 청소 할 수 있을까?

세면대 배수관을 청소하는 방법으로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이 트랩을 공구로 분해해 청소를 하거나 화학 세제를 사용해 머리카락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공구를 사용해야 하는 등 불편할 뿐더러 청소시간이 많이 걸리고 화학 세제 사용으로 인해 수질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한 한 학생의 아이디어는 다음과 같다. 재활용 페트병에 다수의 구멍을 뚫어 만든 이물질을 걸러 주는 거름장치를 세면대 배수관 가운데 부분에 설치하고, 이물질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거름장치에 손잡이를 달아 탈 · 부착이 가능하도록 했다. 또한, 연결 호스는 자바라 형식으로 된 배수관을 이용함으로써 사용 장소에 따라 P트랩, S트랩으로 변경 할 수 있도록 했다. ‘재활용 페트병을 이용한 세면대 배수관 거름장치’를 매개체로 활용해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