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01 (금)

  • 흐림동두천 18.5℃
  • 흐림강릉 18.8℃
  • 흐림서울 18.6℃
  • 흐림대전 14.7℃
  • 대구 14.8℃
  • 울산 14.5℃
  • 광주 13.9℃
  • 부산 14.6℃
  • 흐림고창 13.6℃
  • 제주 18.0℃
  • 흐림강화 18.5℃
  • 흐림보은 14.5℃
  • 흐림금산 13.9℃
  • 흐림강진군 15.0℃
  • 흐림경주시 15.3℃
  • 흐림거제 13.5℃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전문직대비

교내 전 교사 수업공개 가르치면서 배운다

시대가 요구하는 해답에 접근하는 방법은 여러 경로가 있다. 그 여러 경로 중 하나로 전국 각지에서 교육을 ‘살리기 위해’ 수 없는 실험을 통해 ‘스스로’ 해답을 찾고 이를 교실 수업에 적용하는 이들이 있다. 바로 수석교사다. 수석교사는 그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일반 교사를 대상으로 다양한 컨설팅을 한다. 그 중 수업공개 계획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내 안에 답이 있다
건강검진은 의사에게 ‘검진표’를 작성해 ‘보여주는 것’부터 시작된다. 그 표는 자신의 현재 상태를 ‘실토(①거짓 없이 ②사실대로 ③다 말함)’하게끔 하고 있다. 검진결과와의 연관성을 살펴 ‘스스로 대안을 찾게 하겠다’는 의사의 ‘소극적 치료’가 담겨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 핑계 저 핑계를 대며 미루다 어느 날 씁쓸한 마음으로 검진표에 체크하다보면 저절로 드는 마음이 있으니, 그것은 대체로 ‘술을 줄여야지’, ‘담배를 끊어야지’, ‘스트레스를 안 받아야지’, ‘운동을 해야지’ 등이다. 스스로 의사가 되어 처방을 내린 것과 다를 바 없다.

난, 5년 전 12월 21일, 마지못해 건강검진을 받았다.(안 받으면 벌금을 낸다는 어떤 협박 때문이다.) 그 검진 때문에 지금 이 글을 쓴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때 내 몸 상태를 ‘공개’하지 않았다면, 의사에게 보여주지 않았다면, 지금 ‘그저 그런 교사’로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사가 아니라 어쩌면 이 자리에 영영 없을 것이다.
(검진받기 1년 전에 자비로 위 내시경을 했을 때는 이상이 전혀 없었다.)
“천만 다행입니다. 이번에 건강검진을 하지 않았다면 예후(豫後)가 좋지 않아 큰일을 당할 뻔 했습니다”라는 통보를 받았다. 그래서 급히 1차, 그리고 다시 2차 수술을 받았다. 지금은 내 삶에 ‘두 개의 약속’을 지니고 산다.
‘1년에 300일은 꼭 운동을 한다’와 ‘즐겁게 가르치자’다.

수업공개는 건강 검진을 받는 것이다.
‘수업공개는 건강검진이다.’ 물론, 건강검진은 일정금액을 지불한다. 수업공개도 물론 물리적, 정신적 수고가 뒤따라야 한다. 절차적 준비로서의 수고와 열린 마음이 그것이다.
수업공개를 ‘언제, 어떻게, 어떤 내용을 가지고 어디에서 하느냐’ 하는 등의 기본적인 절차를 제대로 숙지하고 준비에 소홀함이 없는 수업공개를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
교사 앞에서만 잘하는 것은 수업공개의 본질이 아니니 말이다. 진정 중요한 것은 ‘왜’ 하는가에 대한 자문이 자신의 마음에 먼저 자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있는 그대로를 보여주자’는 생각을 해야 한다. 평상시와 다르게 ‘꾸밈’이 들어가고 ‘쇼’를 하게 되고 안 하던 ‘짓’을 하는 것은 자기를 속이는 것이다. 마치 거짓 검진표를 작성하는 것과 같다.

‘1년 내내 문제풀입니다. 와서 보셔도 지루하기만 할 것인데요?’라고 반문하는 교사에게!
“그렇게 진행을 하는데도 불구하고 아이들 다수가 유의미하다고 생각합니까?”라고 질문했을 경우에 “예”라고 답을 한다면 당연 쭉 그렇게 진행을 해도 된다고 자신 있게 말한다. ‘문제풀이만’으로 수업을 했더라도 그 안에 온정을 느낄 수 있는 교육적인 장치가 함께 있었기 때문에 그런 반응이 나올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일 “별로지만 수능에 대비하려면 이 방법밖에 없잖아요?”하고 반문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 교사들에게 “다른 교사들도 대체적으로 문제풀이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는데도 불구하고 아이들 반응이 긍정적이라면 그 원인을 살펴보셨어요?”하고 물어보면 대체로 반응은 시큰둥하다. 현실을 모른다는 것이다.

시종일관 활발한 활동으로 수업을 이끌고 있는 교사에게!
“이렇게 진행을 해도 아이들 성적이 잘 나와요?”하고 물었을 때 “예”라고 답을 한다면 “변함없이 더욱 더 신나게 이끌어보세요”라고 박수를 치고 말 일이다.
그런데 “즐겁게 하기는 하는데 사실 성적이 잘 안 나와요”하고 대답한다면 심각하다.
성적이라는 것은 교사가 잘 가르쳐서 나오는 것도 물론 있겠지만 (연구자들의 발표를 간접적으로 들어보면) 학습에 대한 성취도는 아이들 스스로 ‘배움’, 즉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길러진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학생들이 그 교과에 대해서 더욱 더 열심히 공부하려는 의지를 가지고 행했을 때 그 결과로서 성적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수업이 재미있어서’, ‘그 선생님이 좋아서’ 한다는 의미이다.

수업공개, 정말 하나 마나 한 ‘짓’인가?
‘수업공개를 하자’는 요구에 반감을 사는 이유는 수업공개를 해 봤자, 흔히 하는 말로 ‘하나 마나’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참관자가 되기도 하고 공개자가 되기도 하면서 서로 간 무용론을 이야기 한다. 서로에게 서로가 전혀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스스로 자인하고 있다는 말이다. ‘형식적이다. 그러니 나 혼자, 내 방식대로 한다’라고 고집을 편다.
간혹 TV에 나오는 ‘병원드라마’를 보면 우리의 수업공개와 같은 장면이 나온다. 물론 드라마 속성상 대부분이 ‘갈등’ 양상과 얽혀 나오지만 의사들끼리 수술하는 것을 보면서 서로 토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배움이 자리하는 순간이다. 애써 가르치고 있다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보는 것을 통해 스스로 배움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기 때문이다.
수업공개는 공개하는 교사에 대한 가르침도 중요하지만 어쩌면 ‘참관하는 교사에 대한 가르침’이 더욱 더 크지 않을까 싶다. 본인이 한번 공개를 하여 동교과(동학년) 교사가 다 볼 수 있다면 훨씬 많은 기회를 통해 배울 것 아닌가. 우리가 수업공개를 하는 것은 공개하는 사람에 대한 지도 목적도 있지만 참관자가 ‘스스로’ 배우게끔 하는 것이 더 중요한 몫이 아닐까 싶다. ‘왜?’에 대한 답은 결국 자기 발전을 위한 반성의 기회를 갖자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수석교사는 연중 수업을 공개한다. 물론 연중 전 교사를 대상으로 수업참관도 하게 된다. 모든 교사가 수업을 공개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아니 의무적으로 공개하는 분위기로 몰아가고 있다. 배움의 공동체를 만들자는 것이다. 즉 ‘윈-윈하자’는 말이다.
평소에 뭔가 꺼림칙한 측면이 있었다면 그 점을 미리 관찰자(수석교사)에게 말을 하여 특히 눈여겨 봐달라고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굳이 한 시간에 여러 수업 모형을, 다양한 장르의 전략을 한꺼번에 보여주려고 하지 말고 몇 회로 나누어 각기 다른 상황, 다른 수업 형태를 보여주어 최선의 방책을 함께 찾으려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수업공개는 내 길의 ‘유효기간’을 연장하는 것
수업을 공개하는 것, 그것을 바탕으로 컨설팅하는 것이 수석교사의 제일 책무이다. 그러나 수석교사의 수업공개 컨설팅의 첫째는 모든 교사들이 스스럼없이 공개하는 분위기를 만들도록 하는 것에 있다. 한번 공개하여 하나를 아는 것보다 10번 공개해 10개를 알고 더불어 동료교사에게도 10개의 배움을 주게 된다면 얼마나 이익인가.
‘이렇게 하라, 저렇게 하라’라고 이끌고 떠미는 때는 끝났다. 제 길을 스스로 찾아 ‘유효기간’을 연장해야 한다. 지금까지는 내 스스로 유효기간을 맘껏 연장할 수 있었으나 앞으론 나 아닌 그 어떤 힘이 나의 ‘유효기간’을 단축시키거나 연장시킬 것이다. 내 머리와 가슴 안에 어떤 지식이 어떤 상태로 들어있느냐에 따라 10년이 될 수도 있고 단 몇 년이 될 수도 있다.
명품은 오래 지녀도 늘 새 것 같은 느낌을 준다고 한다. 아니 오래 지니면 더욱 더 귀한 분위기를 자아내 품격이 높아진다고도 한다. 수업공개는 자신의 격을 높일 수 있고 자기 교과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다. 만일 그것이 여의치 않다면 자신의 수업을 녹화한 자료를 가져다 전문가(수석교사나 인근 컨설팅 전문가)에게 보여줘라. 부끄러울 일이라 주저될 것이나 ‘죄’를 짓는 것보다는 낫다는 생각으로 접근하면 그리 어려울 일도 아니다.
수석교사는 동료 교사를 위한 컨설팅을 주업으로 한다. 교사 위에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교사 옆에 든든한 지원군이 되고자 한다. 업신여김으로 자리매김하지 않고 군림하는 자가 아닌, 교실수업의 일꾼으로 교육주체들로부터 사랑받는 그런 교사이기만 바랄 뿐이다.

‘배움’은 즐거운 일이다. 가치의 문제가 아니라 진리라고도 할 수 있다.
배움은 가르침을 염두에 둔, 교수-학습 전략이 아니라,
학생을 바라보는 눈이 일방향성이 아닌 ‘쌍방향성’을 회복하는 일이다.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