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들의 행복지수가 세계 꼴찌라고? 지난 6월의 일이다. 유니세프에서 18세 이하 어린이와 청소년이 어느 정도 행복한지 물질적 행복, 보건과 안전, 교육, 가족과 친구관계, 주관적 행복, 건강관련 행위의 6가지 영역으로 나눠 행복 정도를 측정하여 발표했다. 역시, 예상을 빗나가지 않았다. 한국의 교육영역은 OECD 평균보다 높은 1위였다. 굳이 OECD 여타 국가와 비교한 결과를 보지 않아도, 주위의 아이들을 보면 평일이나 주말, 새벽이나 밤 시간 할 것 없이 가방을 들쳐 메고 어디론가 지친 걸음걸이를 옮기는 걸 쉽게 본다. 한국의 교육열이야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 없다. 그렇다면, 아이들의 주관적 행복 수준은 어떠할까? 대다수의 선진국은 교육과 주관적 행복 수준이 다르지 않은데 우리나라는 이례적이란다. 한국 아이들의 주관적 행복은 교육 영역과는 정반대로 세계 최하위였다. 왜 우리 아이들은 행복하지 못한 것일까? 아이들의 마음속은 어떤 생각과 감정들로 가득 채워져 있는 걸까? 매해 학교에서 초4, 중1, 고1 학생들에게 하는 우울증 검사 결과나 각종 조사 결과에서도, 아이들이 말로 풀어내지 못하는 마음의 고통이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근거로 청소년 자살(시도)이라는 문제도 아이들이 느끼는 주관적인 행복감으로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마음의 고통, 즉 우울감 속에 있는 아이들은 때론 쉽게 눈에 띄기도 하고 때론 전혀 예상치 못하는 경우도 있다. 매우 공격적이거나 폭력적인 행동으로 학생들 사이에서 잘 보이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전혀 문제행동이나 어려움을 보이지 않는 숨은 아이도 있는 등 아이들은 우울한 마음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표현한다. 때문에 우울한 아이가 한눈에 들어오지 않는 것이다. 아이들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상담을 할 때, 특별한 관심이 필요한 우울한 아이들을 만날 수 있다. 마음이 힘든 아이들을 만나고 이들의 마음을 쓰다듬어 주기 위해서는 우선 지금의 청소년들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말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아이들과 어떻게 대화의 물꼬를 트지?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