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스마트교육을 추진하면서 조만간 학생들은 다양한 형태의 교육 자료를 기반으로 교사와 쉽고 편리하게 상호작용하면서 자신의 특성과 능력에 맞추어 학습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맞이할 전망이다. 이러한 스마트교육의 방향은 첫째,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활용, 온라인 수업 및 평가의 활성화, 교육 콘텐츠 사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 등 교육시스템 혁신 둘째, 교사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교사의 역할 증대 셋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구축을 통한 학교 인프라 개선 등이다. 여기에서 스마트교육의 핵심수단으로 등장한 디지털교과서는 그림과 같이 다양한 기능과 데이터를 담고 교실과 학습현장에서 일반 책을 밀어내고 보다 스마트한 교육을 이끌어 갈 것이다.
그러나 디지털교과서가 도입된다고 교육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혁신되거나 교육의 성과가 획기적으로 높아진다는 보장은 없다. 그리고 교육계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등장하고 있다고 보기도 어렵다. 교육현장의 다양한 여론 수렴이 부족한 상황에서 정책적으로 추진된다는 점도 문제이지만, 교육현장의 준비부족도 그 원인 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디지털교과서가 제대로 정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책 보완, 학교 및 교사의 준비가 필요해 보인다.
서비스 플랫폼 개방과 표준의 적극적인 수용
정책 개선방안부터 정리해 보자. 첫째,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시각이 다양한데 반해 이에 대한 공론화가 미흡하며, 특히 교육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의견 교류도 부족한 상황이다. 미래교육은 백년대계차원에서 설계되어야 하므로 각 분야 전문가는 물론 수요자와 공급자 등의 다양한 의견 수렴과정을 통해 중·장기 디지털교과서 추진 정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둘째, 생태계적 측면에서 보면 디지털교과서 사업은 콘텐츠, 솔루션, 플랫폼, 인프라까지 모두 정부 주도 또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개발되는 형태이고, 전문기업의 참여 범위는 한정되었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일본의 경우, 민간의 디지털교과서 교재 협의회(Digital Textbook and Teaching, 이하 DiTT) 주도로 디지털교과서 활성화를 위한 ‘DiTT 정책 제언 2012’를 발표하였다. 2010년 7월에 설립된 디지털교과서 교재 협의회(
http://ditt.jp)는 초·중학교 교과서의 디지털화 실현을 목표로 활동하는 협의회로서 교과서 출판사, 방송국, 게임 회사, 단말기 제조업체, 광고 회사, 싱크탱크 등 120개사가 참여하고 있다. 우리도 개방형, 확장형, 유연한 구조의 지속가능한 디지털교과서 생태계 기반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