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과 친해지며 편식 고친다 우리가 흔히 찾는 대형마트에는 사계절과 관계없이 일정한 식품들이 진열된다. 재래시장에서 볼 수 있는 갖가지 다양한 제철식품은 찾아보기가 어렵다. 그러다 보니 급식에서 제공되는 식품의 종류도 다양하지 않다. 음식을 골고루 먹지 않는 것을 편식이라고 한다. 편식을 교정하는 것은 영양교육의 목적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학생들이 편식하는 이유는 바로 두려움 때문이다. 이는 음식에 대한 무지에서 생기는데, 내가 무얼 먹고 있는지, 이 음식은 어디서 왔는지, 그것의 실체를 알아가는 과정은 음식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 준다. 따라서 여러 가지 식재료를 알고 그 맛을 즐기며 음식에 대한 친밀감을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교육활동이라고 생각한다.
시와 게임으로 콩과 친밀감 높이기식생활교육 수업시간, 교실에 들어서자 학생들은 무언가 맛있는 음식이라도 주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에 한껏 눈망울이 빛난다. 수업이 시작되고 필자가 가장 먼저 건넨 것은 동시 하나였다. “오늘의 주인공에 관한 시입니다. 함께 읽어 볼까요?”
( )타작을 하였다/ ( )들이 마당으로 ( )( ) 뛰어나와/ 또르르또르르 굴러간다/ ( ) 잡아라 ( ) 잡아라/ 굴러가는 저 ( ) 잡아라/ ( ) 잡으러 가는데/ 어, 어, 저 ( ) 좀 봐라/ 구멍으로 쏙 들어가네/ ( ), 너는 죽었다.
“오늘 여러분과 함께 알아볼 주인공이 괄호 안에 있습니다. 무엇일까요?”
효준이가 번쩍 손을 들어 “콩”이라고 대답했다. 이번 수업은 콩의 종류와 콩으로 만들 수 있는 음식들을 알아보고, 여러 가지 종류의 두부 맛을 비교해 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한다.
“우리는 방금 김용택 시인의 ‘콩! 너는 죽었다’라는 시를 읽었습니다. 오늘의 주인공은 콩인데, 콩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여러분이 알고 있는 콩의 종류를 말해 보세요.”
“완두콩, 땅콩, 강낭콩, 검은콩이요!”
이후 학생들에게 메주콩, 팥, 녹두, 땅콩, 완두콩, 강낭콩이 담긴 종이컵을 하나씩 나눠 주었다. 그리고 콩 이름을 하나씩 제시하는 게임을 시작했다. 두 아이가 서로 마주 보고 하나, 둘, 셋을 외치는 동시에 제시한 이름과 일치하는 콩을 종이컵에서 꺼내 든 후, 맞추면 머리를 쓰다듬고 틀리면 간지럼을 태우는 게임이었다. 콩 이름이 하나씩 나올 때마다 흥미진진하게 수업이 이어졌다.
두부 맛에 빠지다
“여러분이 알고 있는 음식 중에 콩으로 만드는 것은 무엇이 있나요?”
“간장, 된장, 고추장, 청국장, 두유, 두부가 있어요”라며 아이들이 차례로 음식의 이름을 하나씩 말했다. 이 음식 중에 가장 좋아하는 음식은 무엇인지 물으니 대부분의 학생들이 “두부”라고 대답했다.
학생들에게 판두부, 연두부, 순두부 세 종류의 두부가 담긴 종이컵을 나눠 주었다. 물론 종이컵에는 A, B, C로만 표시해 주었다. 세 개의 두부를 차례로 먹어보고 두부의 이름을 맞춘 후, 먹었을 때의 맛과 느낌을 활동지에 적어보도록 했다.
“나눠 준 두부는 너무 빨리 삼키지 말고 충분히 씹으면서 맛을 자세히 느껴보세요. 세 종류의 두부는 맛이 조금씩 다르니까 그 느낌을 선생님이 나눠준 종이에 적으면 되는 거예요.”
그러자 두부를 입에 넣은 아이들은 “차이를 잘 모르겠다”, “맛으로 표현하기 힘들다”며 어려워했다. 그러나 이런 반응도 잠시. 두부를 천천히 먹던 아이들은 ‘부드럽다’, ‘단단하다’ 등 식감을 적어나가기 시작했다. 준우는 ‘순두부는 우유 맛이 나고 시원하다’, ‘연두부는 부드럽다’, ‘판두부는 딱딱하면서 단맛이 난다’고 적었고, 효빈이는 ‘연두부는 안 씹히고 그냥 넘어간다.’, ‘판두부는 뻑뻑하다’, ‘순두부는 부드럽고 고소하다’라고 적었다.
각자 느낀 두부의 맛을 발표하게 한 후 A, B, C의 두부가 무엇인지 알려 주었다. 판두부를 맞춘 아이들은 많지만 순두부와 연두부의 차이를 아는 학생은 많지 않았다. 수업을 마무리하면서 또래 아이가 지은 ‘두부’라는 동시를 들려주었다. 그리고 과제로 콩이나 두부를 주제로 한 동시를 한 편씩 일기에 지어 오도록 했다. 물론 볼멘 탄성이 터져 나왔다. 더불어 아이들의 부담감을 덜어보고자 김용택 시인의 ‘너도 시인’이라는 동영상을 보여주며 시를 짓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다는 것을 일러 주었다. 다음날 아이들은 각자의 생각이 담긴 시를 한 편씩 지어왔다. 아마 시를 짓는 동안은 콩이나 두부에 대해 수없이 많은 생각을 했으리라 짐작한다.
음식이 가진 배경 알아가기[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