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교육 내에서 학생들의 끼와 잠재력을 발현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자유학기제’ 추진을 국정과제로 채택하여 진로교육을 확산·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학생들의 꿈과 끼를 살리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통합·연계·체계화할 수 있도록 다양화 하였다.
그러나 자유학기 취지에 맞도록 학생들에게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찾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꿈과 끼를 지닌 진로탐색 능력을 키워나갈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안하기란 일반 교사들에게는 풀기 힘든 숙제였고 부담감으로 다가왔다. 프로그램구성, 환경조성, 강사섭외, 교육과정 재구성에 따른 시수 문제 극복 등 문화적으로 낙후되고 소외된 교육환경에서는 답이 쉽게 나오지 않았다. 일단 학생과 학부모의 설문, 선호도 조사과정을 거쳐 100%수용에 중점을 두었다. 교육부로부터 지원받아 진행 중인 학생오케스트라를 거점으로 최대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향을 잡았다. 이후 수차례의 협의회와 논의 결과 12개의 예체능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9월 첫 주부터 수업이 바로 진행되기 때문에 여름방학에 모든 수업준비가 끝나야 했다. 수업을 위한 환경조성의 노력으로 가장 공을 들인 부분은 골프장 구축이었다. 차별화된 예체능 프로그램을 위해 골프 수업을 계획했는데 외부 연습실에서의 수업은 시간적, 경제적으로 여건이 맞지 않았다. 적은 예산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위해 지난 여름 방학 동안 선생님들의 땀과 노력으로 골프장 시설을 교내에 완성했다. 20여년 된 허름한 조립식 창고 건물을 정비하는데 일반 사업자로부터 나온 견적은 1000만 원 이상. 도저히 감당이 안 되는 금액이었다. 교감선생님은 경험 있으신 인근 체육선생님들과 본교 남자선생님들을 모아 직접 작업을 시작하셨다. 보름정도의 시간을 투자해 골프장이 그럴싸하게 모습을 드러냈다. 웃옷은 물론이고 바지까지 짜면 물이 나올 정도로 땀을 흘리며, 모든 선생님들이 그늘 막 사이사이를 놋 끈으로 매달려 엮어가는 모습은 그 어느 교육현장에서도 볼 수 없는 멋진 모습이었다. 골프공과 골프채도 협찬을 받고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1/3도 안 돼는 가격에 골프장이 준비되었다. 그런데 강사섭외도 문제였다. 다른 프로그램도 마찬가지이지만 저렴한 수업료로 강사선생님을 구하기란 쉽지 않았다. 처음에는 재능기부차원에서 접근했다. 사실 100% 재능 기부는 기대하기 어려웠고 그나마 아주 저렴한(2만원) 강사비로 강사선생님들을 섭외했다. 강사선생님들은 최대한 경험 있으신 선생님들로 대학에서 강의하시는 선생님도 계셨다. 수업 진행은 강사선생님과 본교 교사와의 코티칭으로 계획했고 9월 첫 주부터 수업을 위해 수업계획서 및 과정 안을 요구했다. 학교에서 방과 후 강사 경험이 있으신 선생님들은 순조롭게 과정 안이 제출 되었는데, 학교수업 경험이 없는 강사선생님들의 과정 안은 쉽지 않았다. 각 예체능 교과 선생님들이 샘플 과정 안을 작성하여 보내드리고 여러 차례의 수정과정을 통해 과정 안이 완성되었다. 그리고 저작권도 문제였다. 예체능 파트는 대부분 활동하는 모습이라 온라인상에 있는 사진을 활용하여 과정 안이 작성되었다. 우선 수업을 진행하고 2주쯤 후 학생들과 강사선생님들의 수업 모습을 직접 담아 저작권상의 문제가 되지 않는 범위의 사진으로 교체를 하도록 했다. 사진을 찍으면서 학생들에게는 과정 안에 활용하겠다는 구두 허용을 받았고, 강사선생님들에게는 프로그램별로 저작권 동의서를 만들어 놓았다. 원활한 수업을 위해 학교 측에서 꼭 해야 할 사항이 있다면 우선 강사선생님들의 오리엔테이션이다. 학생들을 지도할 때의 마음가짐, 태도, 복장까지도 약간의 어필은 필요한 부분이다. 잠깐이지만 그들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상당하다. 가치관 형성이 아직 미흡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미칠 영향력을 생각하면 강사선생님들에게 수시로 언급해야하며 수업시간 내 담당교사와의 코어티칭은 필수이다. 연구학교 3년이 끝난 후, 자유학기제의 프로그램이 일반화되도록 프로그램의 재구성이 점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학교 내에서의 여러 과정들을 형성하는데 이 모두가 교사의 몫이다. 현실적으로 교사의 업무량이 증가하고 힘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들을 개선할 방안이 구축되어야한다. 학생들에게 행복한 수업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선생님들도 행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