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은 매우 중요한 달이다. 학생들과 1년 동안 학습할 기초 작업을 해야 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농부가 씨를 뿌리기 전 땅을 손질하는 것과 같다. 국어과적 학습 환경 조성과 학습 훈련도 3월에 이루어져야 한다.
말하고, 듣고, 읽고, 쓰는 것은 즐겁다는 생각을 갖게 하자.
국어과의 가장 큰 본질은 언어적 의사소통이다. 이러한 의사소통은 국어수업 시간에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전 교과, 전 생활에서 일어난다. 도구교과로서의 중요성 뿐 아니라, 생활을 영위하는 가장 기본적인 도구로서 말하고, 듣고, 읽고, 쓰는 행위가 수업시간과 일상생활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환경을 조성한다.
듣기 태도부터 훈련을 듣기는 1학년 때부터 반드시 길러줘야 할 가장 기본적인 태도이다. - 말하는 사람을 쳐다본다. - 말하는 내용을 자기말로 정리하며 듣는다. - 말하는 도중에 끼어들지 않는다.
말하기 태도는 꾸준한 훈련을 말하기는 말하기 형식을 너무 엄격히 강요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크게, 말꼬리 흐리지 않게, 지명 받은 즉시 빨리(모르면 모른다는 대답을) 말하게 한다. 좀더 자세한 말하기 듣기 훈련 방법에 대한 정보를 얻고 싶다면 ‘신나는 디베이트/황연성/이비락’을 보라. - 사람이 많은 쪽으로 몸을 돌린다. - 목소리 크기를 조절한다.
읽기 태도는 시간 날 때마다 수시로 생각보다 책 읽을 시간이 많지 않다. 하루 중 책 읽는 시간을 의도적으로 마련하지 않으면 책 읽는 습관은 들이기 어렵다. 최근 아침독서를 실시하는 학교가 많은데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시간에 담임도 책을 읽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는 것이다. 독서 환경을 조성한다. ‘가방 안에 책을’ 모토로 책을 항상 가지고 다니며 시간이 날 때 마다 수시로 볼 수 있도록 한다. 학급 문고도 계획을 세워 조성한다. 학부모의 동의를 얻어 목록을 정해 구입하거나 도서실에서 대출, 순환도서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으니 적절히 활용한다. 학급문고 조성과 독서 습관 들이는 방법에 대한 것은 ‘책 읽는 교실/여희숙/파란자전거’를 참고하면 좋다.
학습장을 꼭 마련하자 학습장을 마련하여 학습 과정 중, 학습 정리 시에 활용한다. 최근에는 학습지에 의존하다 보니 자기 스스로 정리하고 요약하는 능력이 떨어졌을 뿐더러 학습도 주체적이지 못하다. 정리 요약 능력을 기르기 위해 코넬학습장 정리 방법을 활용하는 것도 좋으며, 나름대로 학습장 쓰는 양식을 정하고 쓰도록 한다. 중요한 것은 학습장을 쓰기로 결정하였다면 꾸준히 활용하도록 하며, 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므로 간편한 검사 방법을 고안하여 형식화 할 필요가 있다. 학습장 쓰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공부가 좋아지는 허쌤의 공책 레시피/허승환/즐거운 학교’를 읽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일기는 어떻게? 일기쓰기에 대해 고민이 되는 것은 인권 침해에 대한 우려로 쓰게 해야 하는지 여부와 쓰는 횟수, 검사 방법 등이다. 초등학교 일기 쓰기에 대한 국가인권위의 해석은 ‘쓰게 하면 안 된다, 검사하면 안 된다’가 아니라 ‘아동 인권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지도감독’하라는 것이다. 즉 강제로 쓰게 하고, 검사, 평가하는 것을 지양하고, 아동의 기본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도하라는 것이다. 그래서 글쓰기 능력을 위해 필요성을 강조하고 일기라는 이름 대신 다른 이름을 붙여서 쓰게 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은 일기가 아닌 글쓰기 지도이거나, 위험 부담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정직하지 않은 것이다.‘일기를 왜 쓰게 할 것인가’에 대한 교사 나름의 철학을 정립하고 일기쓰기 지도를 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글쓰기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라면 글쓰기 공책을 마련하고 주제를 주어서 쓰게 할 일이다. 그것은 숙제처럼 강제성을 가지거나 검사, 평가를 해도 무방하다. 그러나 그보다 더 상위의 무엇을 위해서 쓰는 일기라면 권익위의 권고를 따라야 한다. 강제가 아닌(길이, 형식, 횟수에 있어) 것이어야 하고 검사가 아닌 ‘보아주는’ 일이 되어야 하며 본인이 원하지 않으면 보지 않고, 공개하지 않는다는 ‘믿음’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그러면서 스스로 마음이 우러나와 길게, 자세히, 자주 쓰기를 바라는데 우리의 고민이 있다. 학기초에 이러한 ‘일기’에 대한 관념을 학생과 새롭게 하고 ‘보여주기 위한 일기’에서 ‘내 삶을 가꾸는 일기’로 전환 하게끔 시간을 두고 신뢰를 쌓도록 한다. 일기쓰기에 대한 논의는 ‘삶을 가꾸는 글쓰기/이오덕/보리’를 참고한다.
TIP BOX
듣기와 말하기 태도 팁 01 시선 집중이 중요해요! 발표가 끝나면 ‘○○가 뭐라고 했지?’ 하고 잘 안 듣는 학생을 지적하여 주의 집중을 환기시킨다. 발표하는 동안 손은 반드시 무릎에 놓도록 하며 책상 위는 최소한의 학습 도구만 올려놓도록 한다. 손으로 물건을 만지면 금방 집중력이 흐트러지므로 습관이 되도록 다소 엄격하게 훈련한다. 02 상황에 맞게 크기를 조절해요! 상황에 맞게 목소리 크기를 조절하여 말할 수 있게 지도한다. 무성음(목에 손을 대서 진동이 안 느껴지는 목소리, ‘지우개 좀 빌려줘, 선생님이 뭐라고 하셨니?’ 등 개인적인 이야기 할 때) 유성음(목에 손을 대보아 진동이 느껴지는 목소리, ‘나는 토끼가 꾀가 많다고 생각해’ 등 토의할 때) 큰 목소리 나에게 가장 멀리 있는 사람이 들리도록(발표학생이 앞자리일 경우 교사가 발표를 들으며 교실 뒤로 이동하면 학생은 자연스럽게 목소리를 키우게 된다. 잘 안 들리면 ‘여기까지 들리게 이야기해 볼래?’ 라고 한다. 잘 안 들리는 사람은 ‘손을 반짝반짝 흔든다’는 식의 약속을 한다.)
3월 국어지도의 실제 개정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이해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