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에서는 ‘교직이 힘들다’라고 하면 ‘배부른 소리한다’고 핀잔을 준다. 하지만 교사들은 교사로서 지녀야할 존엄과 명예가 실추된 교단을 떠나고 싶어한다. 한 때 후배들에게 ‘신화적 존재’였고 문제학생을 지도하는 ‘만능키’였던 박선배도 어느날 교단을 떠나겠다고 말했다. 누구보다도 아이들을 사랑했던 박선배는 왜 떠나려고 하는 걸까?
P선배, 그간의 안부를 묻기에 민망하게도 교단은 명예퇴직 바람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새학기가 시작된 지 한 달이 되어가는 요즘 교정은 활짝 핀 개나리, 진달래, 목련화, 산수유와 어우러진 아이들의 뛰노는 소리가 향기롭습니다만, 교단을 떠나려 고민하는 선배 선생님들을 뵐 때 마음 한켠이 무거워집니다.
P선배, 기억하십니까? 우리가 처음 만난 것은 27년 전 제가 신임교사로 부임한 3월의 어느 중학교에서였지요. 선배는 저보다 2년 먼저 발령을 받은 선배 교사로서 물정 모르는 새내기 교사인 제게 초임생활에 필요한 학생지도 요령을 해박한 지식과 함께 경험을 들어 알려주었지요. 당시 P선배는 한마디로 후배들에게 신화적인 교사였습니다. 아이들의 작은 눈빛, 몸짓 하나 놓치지 않고 수업이면 수업, 생활지도면 생활지도, 상담이면 상담으로 어쩌면 그렇게도 아이들을 잘 가르칠 수가 있었는지요. 제가 문제학생과 씨름하며 해결 방안을 몰라 쩔쩔맬 때면 선배는 단 몇 분 만에 분노로 폭발할 것 같던 학생들의 감정을 봄눈 녹이듯 해결해 주던 만능키와 같은 분이셨습니다. 지금은 그 때의 그 젊은 열정은 조금 줄어들었는지는 몰라도 오랜 교단의 경륜에서 오는 기다림의 미학이라고 할까,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때까지 기다려주는 완성의 경지에 다다르지 않았겠습니까? 누구보다 교육을 사랑했고 교단을 천직으로 여겨왔기에 선배의 아드님 또한 아버지와 같은 사도의 길을 가고자 사범대를 진학했을 때 얼마나 자랑스러워하였습니까?
이처럼 교단을 사랑하는 P선배께서 왜 교단을 떠나시려는지요? 이제 교단을 떠나야 할 때가 되었다는 선배의 회한은 제 가슴을 먹먹하게 합니다. 선배가 교단을 떠난다는 것은 비단 경륜 있는 한 명의 교사를 잃는 것에 그치지 않고 우리 교단의 황폐화를 상징하는 것 같아서 마음이 무겁기만 합니다. ‘명예퇴직’이 말 그대로 명예로운 퇴임이어야 하는데 교사들이 학교를 등지고 떠날 수밖에 없는 교단 풍토가 못내 아쉽기만 합니다. 금년 한 해만도 5,000여 명의 선생님들이 명퇴신청하였다니, 무엇이 문제인지 살펴봐야 하지 않겠습니까? 명퇴로 상징되는 작금의 교단 현상은 교사 개인의 취사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 교육 전반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선배가 교단을 지켜온 지난 30여년은 국가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 하였는데, 그간 학교는 얼마나 많은 변화가 있었겠습니까? 4, 5, 6차 교육과정은 까마득한 과거의 일이 되었고 학생중심의 교육과정이라는 7차 교육과정을 거쳐 2007 개정 교육과정이 채 자리도 잡기 전에 2009 개정 교육과정이 등장하였습니다. 매년 바뀌는 입시제도는 교사에게도 이해하기에 벅찬 난수표였습니다. 역대 정부마다 추진한 교육개혁에서 교사는 개혁의 주체라기보다는 개혁 대상으로 몰리는 것도 쓰라린 상처로 남아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