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비’가 당신은 좋은가? 아니면 싫은가? 한해 농사를 준비하는 농민들은 반가울 테고, 낼모레 꽃놀이 갈 생각에 들뜬 여행객은 안타깝기만 할 것이다. 세상일이란 이렇듯 절대적으로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없다. ‘선악과 옳고 그름이 보는 이의 시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믿은 수나라 영웅 허경종의 재미난 비유 ‘秋月揚輝, 盜者憎其照鑑’를 들어보자.
세상사람 모두가 좋다고 박수치는 행복한 상황 속에서도 이를 불행으로 받아들일 사람은 있게 마련이다. 이렇게 소리 없이 불행해지는 사람들을 배려하지 못한다면 우리가 누릴 행복은 완전하다 할 수 없으리라! 이것이 영화 <여고괴담1>이 보여주는 진실이다. 학교의 무관심과 동기들의 따돌림 속에 외롭게 지내다 사고로 죽은 소녀 진주가 끝내 원혼이 되어 학교를 떠나지 못하고 계속 교실 한 구석에 남아있었다는 섬뜩한 설정은 이른바 왕따 현상으로 알려진 사회문제의 실상을 고발하고 있다. 때문에 우린 우리가 잊고 있던 소외된 누군가를 항상 기억으로 소환해야 한다. 일등이 아닌 꼴찌들을, 기록과 무관하게 마라톤을 완주했던 무명의 사람들을. 햇살이 강해질수록 그들에게 드리운 그늘도 짙어지는 법이다.
수나라에서 당나라로 왕조가 바뀔 무렵, 난세를 평정하기 위해 수많은 영웅호걸들이 등장해 서로 다퉜고 천하는 마침내 당태종 이세민의 차지가 된다. 이렇게 천하 호협들이 일합을 겨룰 무렵, 관료로서 조용히 세상을 관리했던 허경종(許敬宗)이란 인물이 있었다. 허경종은 수나라 말기에 관료가 됐으나 현명한 처세로 당나라에서까지 벼슬살이를 이어간 현실주의자였다. 그에 대한 역사의 평가는 엇갈리는 바, 좋은 머리를 곡학아세에 써가며 제 한 몸 생각만 했다는 측과 비록 세파에 순응했지만 약자들을 보살피고 난세를 다독임으로써 세상은 세상대로 제대로 돌아가도록 조력했던 음지의 영웅이라는 측이 대립해 있다. 어떤 얼굴이 진짜 허경종이었을까?
【원문】 許敬宗曰, “春雨如膏, 行人惡其泥?, 秋月揚輝, 盜者憎其照鑑.” 『明心寶鑑』「省心篇 下」 【번역문】 허경종이 말했다. “봄비가 내려 풍경이 기름져지더라도 길을 걷는 사람들은 질척대는 땅을 싫어하고, 가을 달빛이 찬란하게 빛나더라도 도둑들은 세상이 환히 밝아지는 걸 미워한다.”
영웅적 세계관을 지닌 사람들은 대개 선명한 선악관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적과 아군, 우등과 열등, 참과 거짓을 대쪽같이 나누어 흑백논리로 세상을 바라보곤 한다. 물론 세상엔 참과 선함의 명확한 기준이 존재하지만 현실 속 우리들은 그 중간 어디쯤에서 갈등하고 있지 않는가? 이처럼 흔들리고 고뇌하며 실패를 딛고 일어서려는 자들을 외면한다면 그건 승자독식의 논리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허경종이라면 어떠했을까?
허경종은 선과 악, 좋고 나쁨, 옳고 그름이 보는 이의 시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믿었다. 대지를 촉촉이 적시는 반가운 봄비도 길을 걷는 자들에겐 방해물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현명한 자는 봄비가 오지 않아도 근심하고 봄비가 내려도 근심에 빠진다. 이렇게 세상 모든 일이란 누군가에겐 좋고 누군가에겐 나쁘기 마련이어서 우리가 선뜻 편들 수 있는 일관된 선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허경종이 든 두 번째 비유가 아주 재밌다. 세상을 찬란하게 비추는 가을 달빛은 누구나가 사랑하지만 어둠을 필요로 하는 직업을 가진 도둑에겐 밉살스런 불청객일 뿐이다. 도둑의 눈에 가을 달의 풍경은 들어오지 않는다. 그는 생존하기 위해 남들이 꺼리는 칠흑 같은 밤을 원하게 된다. 그렇다면 도둑을 위해 가을 달 위로 구름이라도 끼여야만 할까?
물론 아니다! 하지만 도둑질 아니면 먹고살 수 없고 그래서 좀도둑질 아니면 더 큰 범죄로 내몰릴 자들이 세상엔 있지 않은가? 내리는 봄비를 욕하며 걷거나 어두운 밤이 오길 바라던 자들은 대부분 가난한 서민들이었을 터, 허경종은 영웅적 선악관을 기꺼이 버리고 백성들의 냉엄한 현실의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봤다. 세상을 원만하게 유지하려면 승자의 입장만이 아니라 패자의 처지에서 만물을 바라볼 필요도 있다. 수레가 없어 제 발로 진흙탕을 걸어야 하는 자들, 도둑질 아니곤 살아남기 어려운 자들, 이런 약자들에 주목하고 그들의 삶을 향상시키려는 의지야말로 교육의 본질일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