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하면 무엇이 떠오르는가? 아마도 가장 먼저 맞춤법, 문장 성분, 단어의 의미, 높임법 등 문법에 대한 지식이 떠오를 것이다. 그리고 ‘지루하다, 재미없다’는 생각도 떠오를지 모르겠다. 문법 교육이 문장 안에서만 머물고, 문법 지식 습득에만 머문다면 2009 개정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성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라 할 수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맥락 속에서 문법을 지도하게 되어있고 탐구와 적용, 태도를 강조한다. 개정 교육과정의 정신에 따르는 문법 영역,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
1. 2009 개정 국어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특징 7차 교육과정에서 ‘국어 지식’으로 명명되던 문법 영역은 2007 개정 국어교육과정에서 ‘문법’으로 명명되었다. 이로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가르쳐야 할 문법 내용은 명확해졌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문법의 하위 범주를 더욱 세밀하게 제시하고 있다.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접하는 국어 문화 관련 자료 및 매체 자료를 대상으로 지식, 탐구와 적용, 태도로 범주를 설정하여 국어 현상을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태도 범주를 신설하여 국어의 가치와 흥미, 국어 사랑의 태도를 기르도록 하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려하여야 할 점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국어사용의 실제, 즉 음운-단어-문장-담화/글을 대상으로 지식과 기능을 익히고 맥락을 고려한 것과는 달리, 국어 문화에 맞는 구어, 문어, 매체 자료 속에서 즉, 맥락 속에서 지식을 탐구한다는 점이다. 즉, 문법을 맥락을 도외시한 맞춤법, 문장 부호와 같은 문장 안에서의 좁은 개념이 아니라 실제 사용하고 있는 언어 자료 속에서의 모든 언어적 지식들을 가리키며, 문법은 이러한 언어 자료를 잘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도구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언어 형식이 텍스트 속에서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 살펴야 한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특히 강조되고 있는 것은 ‘탐구’이다. 이는 내용 체계를 ‘탐구와 적용’과 교수학습 방법 운용에서 ‘다양한 국어 현상을 원리 중심으로 탐구하여 언어 지식을 생성하는 경험을 강조한다’고 제시한 것에서도 드러난다. 이렇게 익힌 문법 지식은 국어 생활에 활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도하여야 한다. 태도를 별개로 지도할 것이 아니라 내용 요소로 관련 지식과 연계하여 지도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2. 교육과정 문법 교육 내용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문법 교육 내용이 위계적으로 반복ㆍ심화될 수 있도록 학년 군에 따라 교육내용을 배열하고 있다.
1~2학년 군
3~4학년 군
5~6학년 군
수준
초보적 지식
기초적 이해
핵심적 원리 이해
태도
국어에 대한 호기심
국어 현상 관찰 태도
국어 사랑의 태도
어문 규범
한글 자모의 이름과 소릿값
발음과 표기(한글 맞춤법-쓰기)
발음과 표기(한글 맞춤법-쓰기, 띄어쓰기)
낱말/어휘
고유어
낱말의 의미 관계
표준어와 방언
국어의 낱말 확장 방법
국어사전(품사 분류, 동음이의어, 다의어)
고유어, 한자어, 오래어
낱말의 의미(다의어, 동음이의어)
관용표현
문장
문장의 개념 문장부호
문장 종결
높임법
문장 접속
문장 성분과 호응
초등 국어교육과정 문법 교육내용의 위계
위의 내용을 보면 각 요소들이 어떻게 위계화되어 제시되는지 알 수 있다. 새로운 지식을 공부하기 전에 이전 학습 내용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 점검하고, 이와 연결지어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한국어 사랑에 대한 내용도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지도하여야 한다. 한국어를 제1언어로 하지 않는 학생들이 점차 늘어나는 시대에 더욱 필요한 일이다.
3. 탐구하며 즐기는 문법
교사는 학생들에게 가르쳐야할 내용보다 훨씬 넓고 깊은 문법 지식을 알고 있어야 한다. 지도서에는 이러한 지식에 대한 것을 풍부하게 실어주지 못하므로 교사가 문법책을 참고하여 스스로 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교과 내용에 관한 지식을 어떻게 학생들에게 잘 가르칠 수 있느냐’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이다. 그래서 교수방법에 대한 지식이 또 요구된다.
문법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ㆍ학습 모형은 탐구 학습, 설명 중심 학습, 토론 중심 학습, 조사 발표 학습 등이다. 그런데 문법 지도에서 강조되고 있는 것은 탐구 활동이다. 이와 관련하여 지식 탐구 학습 모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