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우리나라 학원 스포츠가 전인격적인 선수의 양성, 학업과 운동의 병행, 모두가 함께 하는 스포츠로 변해야 한다고 믿고 있지만, 학원 스포츠의 변화는 개명된 대학 감독의 개인적인 노력만으로 이루어지기에는 너무 큰 변화를 요구하는 일이었다. 초중등 교육 역시 마찬가지다.
편한 이야기부터 시작해야겠다. 연고전(혹은 고연전) 중에서 가장 인기 있는 종목은 단연 농구이다. 다른 이유보다는 만 명에 달하는 학생들이 실내에서 거의 광란의 응원을 할 수 있는 종목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몇 년 전부터 연대 농구부가 정기전에서 거의 전패를 당하고 있다.
연대 농구의 몰락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가장 유력한 설 중의 하나는 몇 년 전 공부하는 농구부를 만들겠다는 어느 감독의 실험 때문이라는 것이다. 연대를 가면 공부를 해야 하기 때문에, 우수한 선수들이 연대를 기피했고 그 여파가 아직까지 남아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대학 스포츠가 반드시 가야 하는 길이라고 생각하고 그 감독에게 지지와 응원을 보내는 사람들도 많았지만, 감독의 시도는 참담한 실패로 끝나 버렸다.
대학 농구부 감독의 실험은 왜 실패했나 한국 교육의 변화를 촉구하는 글에서 웬 연대 농구부 이야기냐고 의아해 하실 분들이 많을 것이다. 구태여 우리나라의 학원 스포츠를 이야기 한 이유는 우리의 초중등 교육 또한 운동선수를 키우는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우리말을 모두 배우기도 전에 시작하는 영어 교육, 유치원 단계에서부터 시작하는 특목고와 명문대를 가기 위한 숨 막히는 경쟁, 자기 생각 보다는 정답을 찾아나가는 십 수 년 동안의 교육이 운동선수 키우는 것과 무엇이 다르단 말인가. 한국 교육의 방향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말은 그럴싸하게 한다. 글로벌 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 양성이 필요하다고.
그러나 창의적 인재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 능력, 현상을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능력,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하는 것 아닌가? 얼마 안 있으면 학교 시험이 있으니 할머니와 할아버지를 뵙는 일 조차 십 수 년 간 희생하고 양해 받아온 학생들에게 무슨 관계 능력을 기대할 수 있을까? 그렇게 길들여진 학생들에게 대학 진학 이후 어떤 잠재력이 남아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을까?
학원 스포츠 생태계 송두리째 바꿔야 우리나라 교육계 종사자들이 언제나 자랑스럽게 이야기하는 것이 있다. 한국 고도성장의 일등 공신은 한국의 교육이었다고. 그러나 과거는 과거의 일일 뿐이다. 한국의 교육이 한국의 경제발전에 공헌했다는 것이 앞으로도 우리 교육이 우리 사회경제의 발전을 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오히려 교육이 우리 사회의 발전에 심각한 걸림돌이 될 위험성이 충분히 있으며, 벌써 그런 징후들이 도처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렇다고 이런 교육을 바꾸는 일이 어느 한 학교, 한두 선생님의 노력으로 이루어질 일도 아니다. 초-중-고-대로 이어지는 학원 스포츠의 생태계를 송두리째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진 연대 농구 감독의 실험이 참담한 실패로 끝난 것처럼.
한국 교육을 바꾸는 일은 문제에 대한 솔직한 인정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우리 교육은 개별 학생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현하도록 하는 데 실패했다. 그리고 노동의 유연화가 대세로 굳어지면서 평생직장의 시대는 퇴조하지만 평생 직업을 가져야 하는 시대에서 개별 학생들이 고용 가능성을 유지하도록 학생 중심의 교육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에도 소홀했다. 문제를 인정한다면 이제는 바꾸어야 한다. 그 출발점은 운동선수 키우는 듯한 교육으로부터의 탈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