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교육시대가 되면서 각종 교수 매체가 발달했지만 가르치는 일과 관련해 교수매체가 아직 할 수 없는 일이 하나 있다. 그것은 바로 배우는 사람의 지적 호기심을 유발하는 것이다. 아무리 다양한 교수 매체를 제공해도 배울 마음이 없는 학생들은 그것을 열어보지도 않는다. 이런 학생들을 불러 모아 배워야 할 내용을 배우게 할 욕구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것은 바이오컴 즉, 인간 교사뿐이다. 이 때문에 국가는 교사가 그런 역할을 하도록 다른 교수매체보다 더 비싼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것이다.
가르침과 관련해 널리 알려진 일화 중에 맹모삼천지교가 있다. 우리는 자칫 이 일화가 교육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고 착각하기 쉽다. 아이가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고, 그를 통해 배울 것임은 누구나 알고 있는데 맹자 어머니가 두 번씩이나 시행착오를 거쳤다고 가정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맹자 어머니는 공부한다면서 몰래 놀던 맹자를 불러놓고 보는 앞에서 베틀에서 짜고 있던 베를 칼로 과감히 잘라 맹자를 훈계한 적이 있다.
‘베는 실 한 올 한 올이 연결돼야 한다. 학문도 마찬가지로 한 방울 한 방울 쌓여야 한다. 네가 공부하다 말고 나가 논 것은 잘려나간 이 베와 마찬가지로 쓸모없어진다는 것이니라.’(김영수의 ‘현자들의 평생 공부법’ 중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용어 중에 ‘결정적인 판단을 하거나 단정을 내린다’는 뜻을 가진 결단(決斷)이라는 단어가 있다. 이 단어는 바로 맹자 어머니 고사에서 파생된 것이다. 그렇다면 동양치맛바람 1호라고 할 정도로 자녀교육에 적극적이며 현명한 여성이었던 맹자 어머니는 어떤 의도로 맹자를 데리고 세 번씩이나 이사를 다녔을까?
맹자 어머니는 일부러 자기 아이를 공동묘지 옆으로 데리고 가서 살았을 것이다. 무덤가는 매일 죽음을 만나는 곳이다. 죽음의 의미를 깨닫는 것, 그것은 삶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전제조건이다.
어린 맹자가 슬퍼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삶과 죽음의 본질에 대해 어느 정도 궁금증이 커졌다고 판단되었을 때, 맹자 어머니는 시장 옆으로 아이를 데려갔다. 그 치열한 삶의 현장에서 벌어지는 경쟁과 인간만상의 모습을 보며 인간과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이 더욱 커졌다고 생각이 되자, 맹자 어머니는 그제야 서당가로 이사를 갔다.
맹자 어머니는 거기에서도 곧바로 아이를 서당에 입교시키지 않았을 것이다. 아마 맹자가 공부하는 친구들을 지켜보며 자기도 서당에 다니고 싶다고 했을 때에야 비로소 서당에 보냈을 것이다. 배우고 싶은 강한 욕구가 생겼을 때, 그리고 가서 무엇을 왜 배워야 하는지에 대해서 나름대로 어느 정도 목표가 세워진 후에 서당에 간 아이와 그냥 처음부터 서당에 보내진 아이는 지적 호기심과 배움에 대한 동기에서 커다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오늘날의 우리는 처음부터 아이를 데리고 좋은 학원이나 유치원 근처로 이사 가서 아이들을 등록시킨다. 적응을 잘 하는 아이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아이에게 억지로 다니게 하는 것은 거의 말 물고문시키는 것과 비슷하다. 그 결과 때로는 아이들이 극심한 스트레스로 원형탈모증 혹은 실어증에 걸리기도 하고, 극단의 행동을 취하기도 한다.
맹모삼천지교는 우리들에게 지혜로운 교육자가 되는 법을 가르치고자 만들어진 일화였던 것이다. "그동안 나는 노자에 나오는 ‘사람에게 물고기를 주는 것은 그에게 물고기 잡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것만 못하니라’는 말씀의 신봉자였다. 그러나 최근에 경험을 통해 ‘사람에게 물고기 잡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것은 굶겨서 바닷가로 보내는 것만 못하다’는 것을 깨달았다"는 서울대 조동성 교수의 이야기도 유사한 비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