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 교육의 첫 등장 '체육 및 보건'
창의성은 21세기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 반드시 갖추어야 할 핵심적인 능력이자 태도로 간주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학교 교육을 통한 창의성 신장이 국가 교육 개혁의 중대한 목표가 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사실 우리나라는 국가교육과정 문서상으로만 보면 창의성 교육에 일찌감치 관심을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제1차 교육과정에서부터 ‘체육 및 보건’과 같은 교과의 목표로 ‘창의성 함양’이 언급되어 왔기 때문이다. 이후 개정된 교육과정에서도 창의성은 지속적으로 교육목표 및 방법 원리로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창의성이 우리나라 교육정책의 핵심적인 원리이자 지향점으로 부각된 것은 1995년에 발표된 ‘5·31 교육개혁안’(교육개혁위원회, 1995)을 통해서라고 할 수 있다. 창의성 교육은 이 때 처음으로 정부의 독립적인 주요 정책 과제로 제시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창의성 교육정책은 급격히 형성되고 발전해 왔다. 그러나 창의성과 관련된 교육정책은 여러 갈등하는 담론에 기반을 둠으로써 다소간 모순적이고 혼합된 메시지를 담고 있다. 대체로 볼 때, 5·31 교육개혁 이후 여러 정부들의 창의성 교육정책은 강조점에 차이는 있으나, 국가 경쟁력 담론, 교육 문제 해결 담론, 인성 기반 담론, 자아실현 담론 등 네 가지 담론에 근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가 경쟁력 담론은 21세기에 생존하고 번영하기 위해서는 창의성 혹은 창의적 능력이 필수적이라고 보는 것이다. 특히 이 담론은 국가 경쟁력을 경제적 생존과 결부시키면서 경제가 창의성을 요구하고 있다고 본다(Craft, 2003). 이것은 세계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경쟁 체제 속에서 뒤처지는 것을 두려워 한 정부의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국가의 경제적 생존과 번영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혁신과 이를 위한 창의적인 능력이 필수라는 입장을 취한다. 이 담론에서는 모든 학생들을 위한 창의성 교육을 하나의 국가적인 사업으로 인식한다. 국가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모든 학생들이 새로운 시대의 생산 방식에 적합한 인재가 되어야 하며, 따라서 모든 학생들에게 창의성 교육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교육의 고질적 문제 근원적 해소엔 역부족
교육 문제 해결 담론은 창의성 교육이 한국 교육이 안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 담론은 지극히 정치적인 것으로, 정부가 당면한 교육 현안을 해결함으로써 국민의 신뢰와 지지를 확보하고 정치적 기반을 확대하거나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 문제 해결 담론에서 창의성 교육은 문제 많은 학교 교육을 구원해 줄 해결책으로 간주된다. 이를 위해 이 담론에서는 창의성 혹은 창의성 교육을 그 자체로 좋은 것으로 만드는 경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