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에게 가장 원하는 것은 무엇이냐고 물으면, 아마도 ‘시험 없는 세상’이라고 말할 것이다. 하지만 시험은 부정적 역할만 있는 것은 아니다. 교육 효과를 평가하여 또 다른 교육을 진단하고 실력을 제고시키는 데는 시험만큼 중요한 것은 없기 때문이다.
2016년은 자유학기제가 전국적으로 도입된 해였다. 자유학기제가 도입되면서 중학교 1학년의 모습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시험의 부담에서 벗어나 토론·실습·체험 등 다양한 수업 방법과 진로탐색 활동, 동아리 활동, 예술·체육 활동, 선택 프로그램 활동 등이 시간표를 채웠다. 또한 마을결합형학교로 지역사회와 연계한 체험학습을 통해 진로탐색을 돕고 있다. 하지만 자유학기제는 몇 가지 보완해야 할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운영 시기이다. 자유학기제 누가 결정했는지 모르지만, 중학교에 막 입학해서 학습체계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한 1학년은 적절하지 않다. 오히려 시험도 안 보는 바람에 학생들은 수업 구경꾼으로 전락했으며, 자유학기제를 통해 풀어져 버린 학습 습관을 2학년 때 바로 잡아야 하는데 이것이 말처럼 쉽지가 않다. 특히 대부분의 중학교 학생들이 사춘기를 겪는 시기가 2학년 때이기 때문에 교사나 학생 모두가 힘들어하는 지경이 되고 만다.
EBS 다큐프라임 ‘15세에 주목하라’에서 “인생에서 버려진 시기인 15세가 인생의 골든타임이다”라고 했듯이 중학교 2학년 시기는 여러 가지 의미에서 매우 중요하다. 1학년 때는 새 학년이 되었다는 긴장감으로 열심히 공부도 하고 시험도 치르게 한 뒤, 혹독한 사춘기를 겪는 중학교 2학년 시기에 맞춰 자유학기제를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이다. 즉, 15세인 중학교 2학년 때 자유학기제로 탐색하고, 중학교 3학년 때는 집중 공부와 선택의 시기를, 그리고 17세가 되는 고등학교 1학년 때는 학생들이 자신의 선택에 확신을 갖도록 만들어 중학교와 고등학교가 연계된 자유학기제가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 운영의 인적 자원이다. 자유학기제를 운영하는 인적자원에는 비정규직이 많다. 자유학기제가 언제 없어질지 모르기 때문에 정규직 코디네이터를 둘 수 없다는 것이다. 이는 비단 자유학기제뿐만 아니라 학교 교육 전반의 문제이기도 하다. 가령 담임교사의 1/3이 기간제교사이고, 수업교사의 1/3이 비정규직이라면 학교 교육은 그만큼 불안정성이 높아진다. 젊은 청년세대의 안정적인 삶을 위해서라도 비정규직 대신 정규인력을 확충하여 자유학기제 운용의 전문성을 제고시키는 일이 시급하다.
셋째,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을 좀 더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계발하고 전파할 수 있는 운영 체계가 현장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현실이다. 지역사회와 연계한 시설 활용 프로그램과 시설 체험 프로그램이 자유학기제와 연동되어야 하는 데 문제는 초·중·고 구분이 불명확하고, 학년 구분 없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학생들이 이동하는 데 시간 낭비와 안전 문제도 무방비 상태이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 시설에 대한 과감한 투자로 학교 교실이 사회시설 못지않게 발전되어야 한다.
그동안 우리는 교육정책이 정치에 의해 좌우되는 영향력으로 인해 정치가 바뀌면 교육현장은 크게 뒤흔들렸다. 자유학기제 전면 시행 1년을 접하면서 학교현장은 힘들지만, 열심히 달려왔다. 교사들이 지치면서도 달릴 수 있었던 것은 학생들에게 유효한 영향력을 줄 것이라는 사명과 기대감 때문이다. 정치가 바뀌고 사람이 바뀌어도 학생들을 위해 더욱 투자되고 발전시켜야 한다면 그렇게 믿고 유지 발전시켜야 선진 교육이다. 학생을 위한 자유학기제 2년 차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