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중간고사를 하루 앞둔 학교는 마치 산사(山寺)처럼 적막감이 돈다. 그러나 쉬는 시간, 교무실은 모르는 문제를 물으려는 아이들로 어수선하기까지 하다. 특히 아침 일찍 학교 도서관은 자리를 잡기 위한 아이들의 쟁탈전이 벌어진다.
5교시 수업 시작 10분 전, ○반 실장이 교무실 나를 찾아왔다. 그리고 긴히 할 이야기가 있다며 나를 밖으로 데리고 나갔다. 마지못해 따라나서기는 했으나 실장이 부리나케 나를 찾아온 이유를 짐작했다.
“선생님, 저희 반 5교시 자습시간 주면 안 돼요?”
평소 시험 전, 웬만해선 자습시간을 잘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는 실장은 점심시간 학급 아이들과 회의를 했다며 그 결과를 내게 말했다. 그리고 만에 하나, 자신들의 뜻이 관철되지 않을 것을 대비해 히든카드까지 준비해 왔다며 자습시간을 요구했다.
문득, 실장의 그 히든카드가 궁금해졌다. 실장이 제시한 히든카드는 다름 아닌 학급의 영어 성적이었다. 자습시간을 주면 학급 평균을 최대한 올리겠다는 약속이었다. 그 정도로 자습에 대한 아이들의 요구가 그 어느 때보다 강했다. 우선, 긍정적으로 생각해 보겠다고 이야기한 뒤 실장을 돌려보냈다.
5교시 2학년 ○반 영어 시간, 교실 문을 열자 아이들은 쥐죽은 듯 조용했다. 그리고 아이들의 시선은 모두 내게 집중됐다. 실장을 통해 미리 이야기를 들은 듯, 아이들은 내 입에서 자습이라는 말만 떨어지기를 기다리는 눈치였다. 자습을 간절히 바라는 아이들의 눈망울을 바라보면서 도저히 수업하자는 말을 꺼낼 수가 없었다. 시험과 관련된 몇 가지 질문에 솔직하게 답변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자습시간을 주기로 했다.
먼저 시험 일자가 발표된 이후, 아이들이 주로 공부하는 곳이 어디인지가 궁금했다. 아이들의 공부 장소는 제각각이었다. 공부하는 장소로 제일 많이 선택한 곳은 다름 아닌 집이었다. 그리고 학교(도서관), 사설 독서실, 공공도서관 순이었다. 아이 중 일부가 친구와 친척 집에서 시험공부를 한다고 말해 그 이유가 궁금했다.
몇 시까지 공부하느냐의 질문에 12시 이전에 잠잔다는 아이 2명을 제외하고 아이들 대부분은 밤늦게까지 공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시험 기간 내 밤샘하는 아이도 몇 명 있었다. 아이들의 평균 수면 시간은 4시간 또는 5시간이었다. 학교 내신이 대학과 직결되는 만큼 자녀 시험에 학부모의 관심 또한 높았다. 학부모 중 일부는 간식을 챙겨주며 아이들과 함께 밤을 지새운다고 했다.
내신을 올리기 위한 사교육 의존도가 궁금해 질문했다. 전 과목은 아니지만, 일부 주요 과목을 비싼 사교육에 의존하는 아이가 더러 있었다. 한편, 지원하려는 대학에서 반영하는 교과목만 공부하고 나머지 과목은 아예 관심을 두지 않는 아이들도 있었다. 그러나 전 과목을 포기한 아이들은 없어 그나마 다행이었다.
시험공부 기간 중, 가장 많은 도움을 준 사람이 누구인지 궁금했다. 아이마다 도움을 준 사람이 각기 달랐지만, 도움을 가장 많이 준 사람으로 아이들은 친구를 꼽았다. 그 이유로 친구는 선의의 경쟁자이자 때론 멘토 역할까지 해준다고 했다. 학교에서는 무엇보다 선생님의 도움이 시험공부에 큰 힘이 된다고 했다. 그리고 귀가해서는 부모님의 정신적 지주가 용기와 자신감을 북돋워 줄 때가 많다고 했다.
지금까지 아이들이 자습시간을 원하면 늘 이런 식으로 한 시간을 보냈다. 그리고 한 시간이 끝난 뒤, 자습시간을 갖지 못해 불만을 토로한 아이도 있었지만 잠시나마 시험이라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날 수 있어 좋았다는 아이도 있었다. 결국, 난 오늘도 아이들에게 자습시간을 주지 않은 나쁜 선생이 된 것 같다.
모든 아이가 최선을 다한 만큼 결과가 좋으면 다행이지만, 시험이 끝난 뒤 시험 후유증으로 고민하는 아이들을 볼 때마다 마음이 아프다. 한편, 시험이라는 굴레에 갇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아이들을 마주할 때마다 속상하다.
사실 내가 시험 전에 자습 시간을 주지 않는 이유 중의 하나가 바로 시험이라는 이 올가미에서 잠시나마 벗어나기 위해서인지 모른다. 그런데 아이들이 싫어하는 이것(시험 전 자습시간 안주기)을 내가 언제까지 지켜낼 수 있을까에 의구심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