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일 아침. 요란한 전화벨 소리에 잠이 깨었다. 그런데 액정 위에 찍힌 전화번호가 낯설었다. 평소 늘 수면 부족으로 토요일만큼 그 누구로부터 수면을 방해받고 싶지 않은 마음에 전화를 받지 않았다. 그러나 계속해서 울리는 전화벨 소리에 더 잠을 이룰 수가 없었다.
통화 버튼을 누르자, 중년의 여자 목소리가 흘러나왔다. 그리고 상대방은 ○회 졸업생이라며 자신이 누구인지 아느냐고 물었다. 상대방의 뜬금없는 질문에 순간, 말문이 막혔다. 잠깐의 휴지(休止)가 있자, 제자는 학창시절 몇 가지 에피소드를 이야기하며 자신의 존재를 드러냈다. 그런데 졸업한 지 거의 20여 년이 된 제자의 이름을 기억하기란 여간 힘들지 않았다.
제자와 통화 중, 한 장의 사진이 전달됐다. 내 입에서 자신의 이름이 나오지 않자 조금이나마 자신의 이름을 기억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제자는 한 장의 사진을 찍어 보낸 듯했다. 제자가 보낸 사진 속에는 두 장의 빛바랜 손편지가 있었다. 그런데 그 편지지 위에 쓰인 필체가 왠지 낯익어 보였다. 그 편지는 다름 아닌 제자가 고3일 때 내가 직접 쓴 편지였다. 그제야 전화를 건 제자가 누구인지 조금이나마 감(感)을 잡을 수가 있었다. 사실 제자가 보낸 사진을 확인하기 전까지는 도무지 제자의 이름을 기억해 낼 수가 없었다.
문득 제자의 학창시절이 떠올랐다. 수업 일수가 부족해 하마터면 졸업을 못 할 뻔한 제자였기에 수십 년이 지난 지금까지 제자의 이름은 내 머릿속에 남아 있었다. 학창시절, 제자는 학교생활에 적응을 못 해 결석을 자주 했다. 제자는 개학하여 딱 하루만 출석했을 뿐, 줄곧 결석했다. 그리고 가끔 학교에 나오긴 했으나 무단 조퇴가 일쑤였다.
제자가 결석할 때마다, 담임으로서 제자와 연락을 취할 방법은 전화뿐이었다. 그러나 전화를 할 때마다 제자는 내 전화를 받지 않았다. 그래서 생각해낸 것이 편지였다. 방과 후, 학교에 남아 제자에게 하고픈 이야기를 3일에 한 번씩 편지를 썼다. 고등학교를 졸업해야 할 이유와 유명인이 남긴 글 그리고 쓸 내용이 없을 때는 그 날 학교에서 있었던 이야기 등을 편지에 썼다. 그런데 편지에 빠트리지 않고 쓴 것이 있었다. 그건 다름 아닌 남아있는 수업일수였다. 그리고 쓴 편지는 퇴근길, 집에서 가까운 우체통에 편지를 넣었다.
그러기를 약 3개월이 지났을까? 녀석은 수업일수 5일을 남겨놓고 학교에 출석했다. 그 이후, 녀석은 가끔 지각은 했으나 결석 한 번 하지 않았고 공부도 열심히 하여 원하는 대학에 진학했다. 졸업할 때까지 녀석은 학교에 나오게 된 이유를 나에게 말하지 않았다. 그리고 졸업 후, 녀석은 내게 연락 한번 하지 않았다. 그때는 그런 녀석이 야속하기까지 했다.
그런데 20여 년이 지난 지금, 녀석이 내게 전화한 것이었다. 어느 날 문득 책상을 정리하다 학창시절 내가 써준 편지를 발견, 내 생각에 전화했다고 했다. 무엇보다 내 편지 덕분에 졸업하게 됐다며 고마워했다. 그리고 학창시절 내가 써준 편지를 결혼해 두 아이의 엄마가 된 지금까지 간직하고 있다고 했다. 가끔 내 생각이 날 때마다 서랍 속에서 편지를 꺼내 읽어본다고 했다. 이제야 녀석이 수업일수 5일을 남겨놓고 등교한 이유를 알게 되었다.
모든 소통이 SNS로 이뤄지고 있는 디지털시대, 아이들로부터 손편지를 받아본 지도 오래다. 나 또한 아이들에게 편지를 써본 지도 오래된 것 같다. 그래서일까? 사제간 추억이 퇴색해져 가는 것 같아 씁쓸한 생각이 든다. 제자와 통화를 한 뒤, 무언가 느껴진 것이 있었다. 가끔, 휴대폰과 컴퓨터를 끄고 보고픈 제자에게 편지 쓰는 시간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