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라는 책이 베스트셀러인 적이 있다. 그런데 몇 년 뒤 ‘칭찬의 역효과’가 화제로 떠올랐다. 교육방송에서 칭찬의 부정적 영향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뤘고 다른 매체에서도 칭찬의 독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그 내용을 간추려보면 칭찬은 내적 동기보다 외적 동기(보상)를 자극해 오히려 아동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고 칭찬 안에는 칭찬을 통해 상대방을 조종하고자 하는 의도가 숨어있을 수 있다고 했다.
아들러는 아이들의 성장을 돕는 방법으로 ‘격려’를 제안한다. 칭찬과 격려는 비슷해 보이지만 확연히 다른 개념이다. 칭찬은 다른 사람과 비교해 훌륭히 이뤄낸 결과를 치하하는 것이라면 격려는 한 개인의 존재에 대한 절대적인 호의와 믿음을 표현함으로써 성장을 위한 시도를 부추긴다.
비교를 통해 이뤄지는 칭찬은 칭찬받은 사람에게는 성취감을 줄 수 있지만 칭찬 받지 못한 이들에게는 좌절감을 줄 수 있고 이로 인해 경쟁이 일어난다. 반면 격려는 자기 자신의 성장에 집중하게 함으로써 스스로 다음 단계로 나아갈 용기를 북돋으며 타인과의 연대를 가능하게 한다. 다음의 사례를 살펴보자.
#초등교 1학년 첫 날의 일이다. 입학식을 치루고 교실로 들어왔다. 책상 위에는 이름표가 붙어 있어 쉽게 제자리를 찾을 수 있다. 교사는 출석을 확인하고 ‘별 따기’ 활동을 했다. ‘별 따기’는 신입생을 대상으로 불안과 긴장을 해소하고 유대감을 형성시키기 위해 만든 프로그램이다. 별 모양의 종이에 신입생의 이름을 쓴 후, 길이를 달리해 천장에 매달고 자기 별을 따도록 하되, 모두 자기 별을 가져야 자리에 앉을 수 있다는 조건을 달아 서로 돕도록 유도했다.
그랬더니 자기 별을 먼저 획득한 아이들은 아직 별을 따지 못해 쩔쩔 매는 친구들을 도왔다. 키 큰 친구가 작은 친구를 대신해 따주기도 하고 힘 센 친구가 친구를 안아 올려 딸 수 있도록 도왔다. 어색했던 공간이 금방 시끌시끌, 웃음소리로 가득 찼다. 그런데 저 높이 달린 별 몇 개가 따지지 않았다.
아이들은 어떻게 그 별을 딸 수 있을지 토론하기 시작했다. 여러 방법을 시도해 보았지만 실패했다. 그러다 한 학생이 “좋은 생각이 났다. 선생님, 의자에 올라가도 되나요?” 하고 물었다. 교사가 고개를 끄덕이자 아이들은 “애들아, 우리 의자에 올라가서 따자”라고 신나게 외쳤다. 몇 몇 아이가 의자에 올라가고 몇 몇은 의자에 올라간 아이를 잡아줬다. 제일 높은 의자를 고른다며 의자를 모조리 늘어놓는 친구도 있었다. 마냥 좋아서 껑충껑충 뛰는 친구도 있다. 교사도, 학부모도, 학생도 즐거운 행복한 광경이다.
위 사례에서 격려를 찾을 수 있는가? 가장 좋은 옷을 입고 입학식에 함께 참여해 따뜻한 눈빛으로 바라보는 부모님, 환한 미소로 “네가 ○○구나” 환영하며 이것저것 다 시도해 보도록 기다려 준 선생님, 헤매지 않도록 책상에 붙어있는 내 이름표, 신입생을 위해 ‘별 따기’란 프로그램을 만든 학교의 노력 등은 초등 입학이라는 큰 전환점에 놓인 아이들에게 불안과 두려움을 이겨내도록 돕는 격려다.
그런데 위 상황에서 칭찬을 했다면 어떻게 됐을까? 친구를 안아 올려 준 학생에게 “넌 참 착하구나”라고 하고, 의자 사용을 제안한 학생에게 “너 정말 똑똑하다”라고 칭찬했다면 칭찬 받지 못한 다수 아이들은 어떤 생각을 하게 될까? 아마도 칭찬 받은 친구에 비해 착하지 못하고 똑똑하지 못하다는 질책을 들은 것으로 여길 것이다.
그렇게 되면 평가자를 의식해 자신의 착함과 똑똑함을 너도 나도 무리하게 증명하려 할 것이다. 연대는 생각할 수조차 없다. 노력했지만 칭찬 받지 못한 학생은 좌절감을 느끼고 불안감은 증폭된다.
비교를 통한 칭찬은 우리의 불완전함을 부정적인 방향으로 자극한다.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응원해 주려는 원래의 의도와는 달리 어긋난 행동을 야기하기 쉽다. 반면 격려는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인정하고 알아줌으로써 개인이 자신의 불완전함을 수용하도록 돕고 더 나아갈 수 있도록 용기를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