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은 청소년의 달이다. 가정주간 행사를 통해 국가적으로 '부모에 대한 효도와 자녀에 대한 사랑'을 돈독히 하는 달이기도 하다.
어린이와 청소년들은 저마다 꼭 해야 할 일이 있다. 학교교육을 통해 기초와 기본을 철저히 익히도록 타이르고 가르치는 것이 우리 사회와 부모들의 임무다. 잘못을 보고도 그냥 지나칠 것이 아니라 그러면 못쓴다고 일깨워주는 꾸중을 해야 한다.
꾸중은 아이들이 부모의 요구나 기대하는 행동을 하지 않거나 지켜야 할 최소한의 규칙을 어겼을 때, 또는 잘못했을 경우에 한다. 이 때 아이의 행동에서 어느 것이 문제가 되었고 왜 그것이 문제가 되었는지에 대해서 부모가 먼저 확실한 입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아이가 엄마 몰래 지갑에서 돈을 꺼내어 새 운동화를 샀다고 해보자. 아침에 보니 웬 낯선 운동화 한 켤레가 있었다. 틀림없이 둘째 아이 철수의 것이다. "철수야, 너 이 운동화 어디서 났니? 엄마가 돈 준 일 없는데, 엄마 지갑에서 몰래 돈을 꺼내어 샀구나!" 라는 식으로 단정짓고 윽박지른다면 이것은 아주 잘못된 꾸중이다. 꾸중이란 그 아이가 고쳐 주었으면 하는 어떤 구체적 행동을 정확하게 파악한 후 해야 효과적이다.
이때 이렇게 하면 어떨까. "철수야, 운동화 멋진데, 새로 샀니?" "얼마 주고 샀니? 꽤 비싼 것인데…." 하면 아이는 스스로 고백할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꾸중을 할 때는 무엇을, 어떻게 야단을 쳐야할지 아이를 키우는 부모의 입장에서 5월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꾸중에도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을 한번쯤 생각해 봤으면 한다.
먼저 꾸중은 시간과 장소를 택해야 한다. 우선 아이들이 잘못을 저질렀거나,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을 때는 즉시 꾸짖는 것이 좋다. 특히 사소한 잘못은 그 자리에서 바로 지도해야 한다. 이제는 초등학생만 되어도 자기의 잘못에 대해 어느 정도는 깨닫게 된다. 그러므로 마구잡이로 아이를
궁지에 몰아넣는 식의 꾸중은 지양해야 한다. 행동 수정을 요구할 때는 반드시 잘못한 점을 찾아 꾸짖는 것이 좋다.
꾸중은 흥분하지 않고 차분하게 해야 한다. "너 숙제 다 했니? 이제 들어와서 언제 할거니?" 하고 부모님이 먼저 흥분하여 큰 소리로 말하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그렇게되면 꾸중이 아니라 마치 싸우는 격이 되어 아이에게 상처만 준다.
오늘 잘못한 것 한가지만을 가지고 꾸중해야 한다. "그렇지 않아도 벼르고 있었는데 요전에는 뭘 어떻게 하고, 또 그전에는 어떻게 하고…." 이런 식으로 여러 개를 묶어서 야단을 치면 효과가 없다. 비록 잘못은 했지만 아이에게도 할 말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만 부모와 자식간의 신뢰하는
마음이 조성된다.
그 일이 왜 나쁜지 설명하여 본인이 이해하도록 해야 한다. 보통 아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야단을 맞으면서도 자기가 왜 그렇게 꾸중을 들어야 하는지 납득하지 못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속으로는 반발심이 생겨 부모님의 말씀을 어기고 싶은 마음이 발생하게 된다고 한다.
또한 꾸중을 하면서 손과 발로 때리는 경우도 있는데 가능하면 숨 한번 크게 들이쉬고 타일러야 한다. 꼭 벌을 주고 넘어가야 할 일이라면 '사랑의 매'로 손바닥 몇 대 때리는 정도가 좋을 듯 싶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가정에서 부모가 항상 아이들의 모범이 되는 것이다. 부모들은 자녀가 잘못을 저질렀을 때 시간과 장소, 강약조절 등 꾸중에도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아야 하겠다.
가정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랑의 공동체이다. 서로의 이해와 화목 속에서 꿈 많은 우리 아이들이 바르고 튼튼하게 자라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