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07 (화)

  • 맑음동두천 -7.2℃
  • 맑음강릉 -1.7℃
  • 맑음서울 -3.6℃
  • 맑음대전 -2.5℃
  • 맑음대구 -0.9℃
  • 맑음울산 -0.3℃
  • 광주 -0.5℃
  • 맑음부산 0.4℃
  • 구름많음고창 -1.1℃
  • 제주 5.4℃
  • 맑음강화 -3.7℃
  • 맑음보은 -3.1℃
  • 맑음금산 -2.6℃
  • 흐림강진군 0.4℃
  • 맑음경주시 -0.8℃
  • 구름많음거제 1.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디지털 교과서, 교육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을까?

이미지 출처 : 픽사베이

 

교육계에도 디지털교과서 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차츰 컴퓨터를 활용한 교육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디지털교과서는 종이형 교과서의 단점을 보완해줄 미래형 교과서로 각광을 받고 있다. 물론, 현재 다수의 교사들이 수업에서 학생들은 종이책 교과서이지만 교사는 멀티미디어로 보여지는 e-book 형태의 전자교과서로 수업을 진행을 하기도 한다.

 

2017년 <한겨레>에 의하면, 서울시 관내 중학교 384개가 보유하는 교육용 컴퓨터는 1만2,355대로 한 학교에 32대 정도이며, 그중의 50.8%가 5년이 넘은 낡은 기종이라고 한다. 여기에 아이패드 같은 모바일 컴퓨터는 전체 보유량의 10%도 안되는 수준이다.

 

하지만, 정부는 올해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라 중학교에서 정보과목을 34시간 이상 교육하고, 2019년부터 초등학교 5·6학년 실과 과목 내에서 17시간 이상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하게 된다. 일선학교의 컴퓨터는 낡고 오래된 낙제수준이지만 교육부에서 당차게 밀어부치고 있는 셈이다.

 

교육부가 디지털교과서를 본격적으로 도입돼 시범적용에 착수한 건 2013년, 2014년부터 전면시행을 발표했다가 반발에 부딪혀 단계적인 확대적용을 발표했지만 계획과는 달리 확대적용에는 아직도 신중한 모양새다.

 

디지털교과서의 장점는 멀티미디어 수업자료를 활용할 수 있고, 다양한 기능을 탑재하고 검색이나 사전 등의 기능도 존재하며, 참여율을 높여 학생과 교사간 상호작용이 활발하고, 교육과정 개편에 따른 수시 개정과 보완이 가능하다. 물론, 콘텐츠의 한계로 아직까지는 일선학교에서 부정적인 여론이 팽배하고 있다는 점, 보다 많은 정보는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다는 점, 스마트기기에 종속된다는 점 등을 지적되고 있다.

 

하지만, 미래교육을 준비하는 입장에서보면 디지털교과서는 선택이 아닌 필수로 다가오고 있다.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소프트웨어 교육이 의무화됨에 따라 학교 현장의 이해도 증진과 지능정보사회에 필요한 컴퓨팅 사고력 및 디지털 교과서를 통한 미래 교육환경이 성큼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현재, 디지털선도학교로 지정이 되면, 2년간 1,500만원내외의 예산을 지원받아 무선 AP, 스마트단말기구입 수업에 활용한다. 디지털 학습환경 구축을 위해 태블릿 PC와 무선 AP를 설치해 활용하고. 학생들은 1~2인당 1대씩 태블릿 PC를 지급받고, 일부 교실에 설치된 무선 AP에 연결해 수업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탐색・활용한다. 특히, 학습활동이나 실험 등에 이러한 기기들을 활용함으로써 더욱 실감나는 수업이 이뤄질 수 있다.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한 교사들은 어느 정도의 단점이 상존하지만 부정적으로 보는 것보다 스마트기기에 맞는 콘텐츠 개발을 급선무로 뽑고 있다. 기기 속에 들어가는 콘텐츠가 인터넷 속의 내용물을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다.

 

경기 D고 N교사는 “학생들의 눈이 피로하지 않을까요? 교과서를 소유하고 싶은 학생들의 충동이 있고, 학습효율성면에서 의심이 간다”며, “급작스럽게 추진하기보단 현장의 염려 등을 파악하고 점진적으로 사업을 진행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할 때는 예측, 관찰, 학습과 관련된 전두엽, 두정엽 부위의 뇌의 영역이 활성화되지만, 디지털기기로 게임을 할 때는 동기 및 보상시스템에 관여하는 뇌의 영역이 활성화된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있다.

 

개별화 학습이 가능한 디지털교과서는 각 학생별 학습 진단을 통한 맞춤식 과제, 상호작용, 다양한 콘텐츠 탑재가 가능하지만, 너무 빨리 도입하게 될 경우 학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다.

 

201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조사한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 실태’에 따르면 한국은 컴퓨터의 교육활용지수가 최하위이다. 고물이 되어버린 컴퓨터 장비로 미래핵심역량을 키울 수는 없고, 스마트기기 활용 교육에 대한 투자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이 원활하게 정착될 수 있도록 모든 교육공동체가 노력해야 한다. 교사는 수업의 안내자이자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학생이 수업의 주체가 되어 자신만의 유의미한 학습 결과를 이끌어낸다. 관련 교재와 교구의 확보는 물론,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다양한 연수를 실시해 디지털 활용 학습자 중심의 배움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현재도 일선학교 교사들은 다양한 교수학습법으로 무장하여 학생들에게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현재와 미래의 학교는 종이책 교과서만으로는 한계에 직면할 것이다.

 

종이책 교과서에서 디지털교과서로 무게중심이 조금씩 옮겨가고 있는 시점에 관계 당국에서는 학교현장의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종이에서 디지털로 변경된 것이 과연 교육의 본질인지 고민이 필요하다. 물론, 아직도 디지털의 단점만을 기억하고 시대를 역행하는 오를 범하지 않길 바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