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저학년 수학 수업의 불편한 진실에 집중했다. 한글 해득 부족이 수학 포기로 이어지는 교실의 상황을 더는 두고 볼 수 없었다. 한글을 몰라 수학 문제를 풀지 못하고, 학습에 흥미를 잃어버리는 악순환을 끊고 싶었다. 한글을 배우는 속도는 달라도 모두가 함께하는 수학 수업이 이뤄지길 바랐다.
제50회 전국교육자료전에서 최고상(대통령상)을 거머쥔 유희라 강원 토성초 교사와 김진경 강원 신철원초 교사의 이야기다. 유 교사는 “저학년 담임을 하다 보면 수학 문제를 못 읽어 풀지 못하는 학생들을 마주한다”먼서 “문제를 읽어줬더니 척척 풀어내곤 했다”고 설명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한글 책임교육’을 강조한다. 한글을 처음 배우는 1학년 학생들이 학습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한 것이다. 2학년에 올라가기 전에는 한글을 익히는 게 일반적이지만, 학습 속도가 느린 학생도 적지 않다.
“한글을 모르는 것과 수학(修學) 능력이 부족한 데는 상관관계가 없다는 걸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천천히 가는 학생들이 한글을 완전히 깨치길 기다렸다가 수학을 가르치면, 이미 때는 늦습니다.” 유 교사는 이 대목에서 문제의식을 느꼈다.
한글 해득이 어려운 학생 가운데 다문화 가정 학생의 비율이 높다는 점도 눈여겨봤다. 다문화 가정에서도 부모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 학습할 방법이 필요했다. 한글을 몰라도 수학 문제를 풀 수 있는 ‘척 보고 들으면 척 풀 수 있는 척척 수학익힘책(이하 척척 수학익힘책)’은 그렇게 탄생했다.
척척 수학익힘책은 기존 교과서의 문제를 이해하기 쉬운 문장으로 난도를 낮추고, 문제 필터와 음성 자료를 활용해 학생 스스로 읽고 풀 수 있게 한 것이 핵심이다. 받침을 배제한 짧은 단어로 문제를 재구성했다.
김진경 교사는 “빨간색 필터를 대면 같은 색깔인 받침은 보이지 않는 원리를 이용했다”며 “음성 자료는 오디오 스티커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제작해 가정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눈길을 사로잡은 건 다국어로 제작된 음성 자료다. 이들은 다문화 학생의 부모 국가 통계자료를 참고해 중국어, 베트남어, 필리핀어로 제작했다. 원어민 교사들과 다문화 가정 학부모의 도움을 받아 음성 5000여 개를 직접 녹음했다. 유 교사는 “다문화 가정에서 주 양육자인 외국인 어머니의 역할은 무척 중요하다”고 말했다.
“다문화 가정 학생에게 척척 수학익힘책을 활용한 소감을 물어봤어요. ‘엄마와 함께해서 좋다’고 하더군요. 엄마가 문제를 읽은 후 가르쳐주고 함께 풀 수 있어 좋았다고, 다시 친해질 수 있었다고 했죠. 엄마 나라의 언어도 배울 수 있었다고 말했어요.”
최고상 심사위원들은 척척 수학익힘책에 호평을 아끼지 않았다. “문해력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수학력을 길러줄 수 있는 창의적이고 현장 적용성이 높은 자료”라며 “일반화해 일선 학교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매우 효과적이라고 판단돼 최고상(대통령상)으로 선정한다”고 평했다. “향후 교과용 도서를 개발할 때 해당 자료의 아이디어를 적용, 문해력 부족으로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조언도 곁들였다.
심사위원들이 해당 자료를 특히 높이 평가한 데는 학교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할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한 덕분이다. 문해력이 부족한 학생뿐 아니라, 다문화 가정 학생, 특수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확장, 활용하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