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성. 이른바 ‘시대의 키워드’다. 지난해 조국 전 법무부장관 자녀가 부모의 배경으로 부정하게 진학한 것에 많은 국민이 분노하거나 좌절했다. 청와대를 비롯해 여당 정치인, 예능인들은 침소봉대한다고 말했지만, ‘공정’을 중요한 가치로 체득해온 청년들에게는 ‘운동권의 낡은 특권의식’으로 비칠 뿐이었다.
정직하게 노력하고 교육받아서 갖춘 실력으로 경쟁해야 한다는 오늘 우리 사회의 공감대를 확인하는 사건이었다. 그런데 박남기 광주교대 교수는 여기에 의문을 제기한다. 실력은 개인의 순수한 노력만으로 갖춰지는 것이 아니라 타고난 재능이나 집념, 가정의 환경이 실력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박 교수는 현재 우리 사회에 나타나는 많은 문제는 실력주의가 제대로 구현되지 않아서 생긴 결과가 아니라고 강조한다. 오히려 완벽한 실력주의를 구현하려 할수록 실력주의 사회의 균열이 심화할 거라고 경고한다. 실력자들이 상층부로 이동하면서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 하층민의 소외가 방치되고 정당화된다는 것이다.
우연적인 요소에 의해 크게 좌우될 수 있는 실력을 기준으로 삼아 모든 것을 독식하게 해서는 안 되며, 대부분의 사회 구성원이 더욱 행복할 수 있는 새로운 분배 기준을 조화시킬 사회 즉, 신실력주의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이런 주장을 담아 박 교수가 2018년 출간한 ‘실력의 배신’을 중고생이 읽기 쉽게 풀어쓴 ‘실력, 정말 공정한 기준일까?’가 출판됐다. 이 책은 실력이 뛰어난 학생들이 더 나은 대우를 받는 것이 당연하다는 생각은 타당한 것인지, 실력을 만드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개인 실력을 기준으로 사회 재화를 배분하는 것보다 공정한 기준은 없는지 등에 대해 청소년들이 함께 고민하고 길을 찾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박남기 교수는 “성공한 사람들이 사회 재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무한경쟁 승자독식 실력주의사회’에 대한 착각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더 살만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깨어난 청소년들이 되도록 하는 데 이 책이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