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매체의 발달과 더불어 많은 청소년이 스마트폰을 갖게 되었고 채팅앱을 즐겨 사용한다. 채팅앱은 다양한 볼거리, 읽을거리 등을 제공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게 해주고 서로 모르는 사이일지라도 공통된 관심사를 갖고 모일 수 있게 해준다. 또 학급 내의 전달사항이 단체 채팅방을 통해서 공지되기도 하니 친구 관계 맺기 및 학교생활에도 필수적인 장치이다. 하지만 실제와 다른 사람으로 가장해 익명성을 유지한 채 접근하기 쉬우며, 대부분의 채팅앱은 이성적인 만남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 문제는 이것이 성범죄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이는 텔레그램 n번방 사건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계속해서 쏟아져 나오는 기사들을 통해 텔레그램 n번방에서 어떻게, 얼마나 많은 성 착취가 이루어졌는지 알려지면서 그와 관련된 청원이 역대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많은 사람의 분노가 들끓었다. 이렇게 분노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박사방’에서 드러난 피해자 74명 중 미성년자가 16명으로 약 21%나 차지하고, 가장 어린 피해자는 고작 11세였다는 점이다.
실제로 교육부의 연구 조사결과에 따르면, 청소년들 사이에서도 디지털 성폭력에 대한 학생들의 공포와 심각성에 대한 인식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여학생의 84.4%와 남학생의 68.9%가 디지털 성폭력을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비슷한 비율로 자신과 무관하지 않은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촬영 유포의 두려움을 느낀다는 비율이 여성 45.3%로 절반에 육박하였고, 이는 여학생 중 절반 정도가 불법 촬영의 피해자가 될 수도 있다는 두려움을 갖고 일상생활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남학생들 역시 10명 중 2명 정도는 유사한 피해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디지털 성폭력이 학생들 사이에서도 일상적으로 행해지고 있음이 나타났다. 디지털 성폭력의 피해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플랫폼은 SNS와 인스턴트 메신저로 나타났는데, 가해 장소(매체)로는 여학생의 경우 SNS와 인스턴트 메신저가 많았고 남학생은 게임/커뮤니티 게시판에서 가해 경험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표1>에서 보듯이 실제로 수많은 청소년이 디지털 성폭력 피해를 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많은 사람이 지금까지 드러난 디지털 성폭력 범죄자들의 가해행위에 치를 떨면서도 한편으론 ‘피해자인 저 아이들은 왜 그런 행동을 했을까?’, ‘애초에 사진이나 영상을 왜 보냈을까?’, ‘왜 멈추지 않았을까?’ 등을 궁금해한다. 심지어는 본인이 자처한 일인데 피해자로 지원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까지도 있다. 이번 사건은 정말로 유별난 몇몇 청소년들이 스스로 피해를 유발한 것일까?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청소년 성교육 수요조사 연구 : 중학생을 중심으로」보고서에 따르면 성 관련 고민은 ‘혼자 인터넷이나 책을 통해 정보를 찾아본다’고 답한 응답자가 35.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를 통해 온라인상으로 청소년들이 성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 자체는 유별난 문제행동이라고 볼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연구에서는 SNS, 유튜브 등 인터넷에서 주로 정보를 얻는 경우 남성 성욕, 성폭력, 성매매에 대한 통념에 대한 동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잘 모르는 사람과 사진, 동영상, 메시지를 주고받은 경험이 있는 423명이 상대방을 알게 된 경로는 SNS가 70.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일방적으로 받은 경우가 46.6%로 가장 높았다. 다만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데 여학생은 일방적으로 받은 경우가 55.8%, 성적인 궁금함을 해소하기 위해서가 5.5%인 것에 반해, 남학생은 일방적으로 받은 경우가 33.8%, 성적인 궁금함을 해소하기 위해서가 13.4%이다. 이는 상대적으로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야한 동영상, 메시지, 사진을 주고받는 행위에 자발적이고 여학생에 대한 온라인상의 성적 접근이 많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그로 인해 왜곡된 성 의식을 갖거나 불법적인 매체를 주고받는 행위에 대해 무감각해질 우려가 있다.
실제로 전체 성폭력 범죄자 중에 19세 미만이 10.2%나 차지하고 있으며, 14세 미만은 0.1%이지만 그 숫자가 109명에 이른다. 특히 카메라 이용촬영 범죄의 경우 19세 이하의 가해자가 9.4%를 차지했는데, 이런 사건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고 동종범죄를 반복하는 특성을 보인다.
하지만 디지털 매체들이 지금처럼 발전하기 훨씬 이전부터 ‘○○○ 비디오’ 등의 이름이 붙은 성 착취물은 크게 인기를 끌어왔고 피해자인 여성들은 제대로 된 도움을 받기는커녕 오히려 낙인이 찍힌 채 사회에서 거의 매장당해 왔다. 이후 소라넷에 이르기까지 여성의 몸을 착취하는 것은 일종의 유희라도 된다는 듯이 제대로 된 처벌조차 받지 않은 채 디지털 성범죄는 점점 그 영향력을 넓혀왔다.
그렇지만 지금처럼 디지털 매체들이 필수품이 된 시대에서 단순히 사용을 금지하는 것은 능사가 아니다. 넘쳐나는 성 관련 정보들 속에서 학생들이 옳고 그른 것을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문제는 청소년들이 성에 대해 생각해볼 기회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성은 일상 속에서 소통을 통해 자연스레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하는데, 왜곡된 사회 속에서는 왜곡된 성만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단순히 성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가르쳐주는 교육이나 성폭력 예방교육을 넘어, 학생들이 인권과 성평등에 대해 성찰할 수 있도록 성인지 감수성이 기반이 된 교육의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표준안이란 이름으로 일괄적으로 진행되는 의무적인 교육 대신 학생들이 관심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토론할 수 있도록 포괄적 성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성교육이 효과가 있으려면 학생들이 배운 내용이 사회에 그대로 적용되고 있어야 한다. 피해자는 평소의 품행이나 비행 여부와 상관없이 온전히 피해자로서 지원받아야 하고, 가해자 역시 개인의 아픔이나 평소의 선행 등과 관계없이 자신이 저지른 범죄에 대해서는 엄벌을 받도록 해 사회 정의가 실현되는 것을 체감하고 어떤 것이 왜 잘못된 행동인지 분명히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리고 부모, 교사, 강사, 지도자 등 다양한 형태로 학생들의 주변에 존재하는 우리는 단순히 범죄를 저지르지 않는 것을 넘어서서 그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되어야 한다.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사회적 이슈에 따라 갑작스레 잡히는 특별교육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평소에도 학생들이 좋은 모습을 많이 보고, 바른 판단과 행동을 자연스레 체득하면서 좋은 어른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올바른 성의식을 갖는 것은 청소년만의 책임이 아니다. 기성세대가 그동안 어떤 모습을 보여 왔는지, 앞으로 어떤 모습을 보여야 할지 많은 고민과 실천이 필요한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