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6.0℃
  • 맑음강릉 10.7℃
  • 박무서울 7.5℃
  • 박무대전 6.7℃
  • 맑음대구 7.2℃
  • 연무울산 10.0℃
  • 박무광주 8.3℃
  • 맑음부산 12.0℃
  • 맑음고창 5.9℃
  • 구름조금제주 12.9℃
  • 구름조금강화 6.6℃
  • 구름많음보은 5.7℃
  • 맑음금산 5.5℃
  • 맑음강진군 7.3℃
  • 맑음경주시 7.4℃
  • 맑음거제 1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양

[마음챙김 상담소] 교사 편은 그 어디에도 없는 것 같습니다

 

학교와 교육청이 교사의 교육활동을 지원하는 곳이라기보다 오히려 학부모들 편에서 교사에게 갑질하는 기관으로 느껴집니다. 저는 2년 연속 문제 아이들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정당한 생활지도 중에 학생으로부터 욕설과 폭행위협을 받았습니다. 
 

교권침해에 대한 후유증으로 병가를 신청했는데 대체 인력이 구해지지 않아 학생들을 자습시킨 것, 또 제 수행평가 처리 과정 등이 문제가 됐습니다. 저는 그동안 해당 아이들을 지도하기 위해 개별 면담도 하고 여러 노력을 기울였지만 허사였습니다. 수업시간 내내 엎드려 자고 참여하지 않다가 수행평가 응시도 거부해 0점을 줄 수밖에 없었습니다. 학부모는 일부 점수를 부여하라고 요구했고 아동학대 보호기관에 편파적으로 신고했습니다.

 

저는 교사의 평가권을 침해받는다고 생각했고 또 성의껏 응시한 다른 학생들에게 피해가 간다고 생각해 받아들일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징계위원회는 마치 제가 소통과 자질이 부족해 그런 일이 일어난 것으로만 간주할 뿐 제 이야기는 들어주지 않았습니다. ‘교사 맞습니까? 네, 아니오로만 대답하라’는 등 모멸스러운 조사 과정도 겪어야 했습니다. 아동학대 보호기관은 지역 토박이인 학부모 말을 그대로 받아들여 정서학대라고 했고 저는 결국 감봉 처분 받았습니다.
 

대부분 2~3년 만에 전출 가는 기피 지역 시골학교에서 그래도 저를 따르고 감사편지를 써주는 아이들을 생각해서 4년을 근무했습니다. 코로나로 온라인 수업이 진행 중이지만 앞으로 등교 개학을 하면 아이들 생활지도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수업시간에 화장을 하고 화장실에 가서 20분 넘게 들어오지 않다가 담배를 피우고 들어오는 아이를 모르는 척 넘겨야 할까요. 세상 그 어디에도 교사를 트집 잡아 끌어내리려고만 할 뿐, 교사 입장에 서 줄 수 있는 곳은 없는 것 같습니다. 조금이라도 생활지도를 하면 정서학대라 하고 또 징계할까 봐 트라우마에 시달려 모든 활동을 함에 있어 너무 불안하고 우울합니다. (40세·여자)

 

 

선생님의 갖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징계위원회의 조사 및 감봉과 전출, 그리고 아동학대 보호기관의 상담 권유 등 뼈아픈 결과들을 얻게 되셨으니 얼마나 가슴이 미어지실까요. 아마도 지난 시간을 떠올리면 가슴을 찢는 고통이 느껴지실 듯합니다. 열의로 아이들을 교육하고 지도했지만 의도치 않게 문제들이 발생하고, 그 문제들을 해결하는 과정 또한 순탄치 않았던 것 같습니다. 이 경험을 어떻게 회고하고 정리하면 좋을까요?

 

감정·정서 완화가 우선입니다

 

가장 중요하고 시급한 일은 선생님의 감정을 정리하고 완화하는 것입니다. ‘교사에게 갑질하는 기관’, ‘교사의 편은 세상 어디에도 없는 것 같다’, ‘교사를 트집 잡아 끌어내리려고만 한다’, ‘모멸스럽다’. 이 표현들은 모두 선생님의 글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이 표현에서 무엇이 느껴지시나요? 매우 격양된 감정이 느껴지실 겁니다. 이러한 감정의 기저에는 선생님의 교육방법과 대응에 대해 지지받지 못한 것에 대한 억울함과 무력감, 그리고 손상된 효능감과 자존감이 존재하는 듯 보입니다. 이러한 경험들이 매우 격양된 감정으로 표현되는 것이지요. 사람들은 부정적인 정서가 활성화되면, 응당 해당하는 정서에 부합되는 자극과 상황에 선택적인 주의(Selective Attention)를 기울이게 됩니다. 처한 상황과 환경에서 부정적인 정보에만 선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게 되면, 당연히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게 되겠지요. 이렇게 부정적인 정서와 부정적인 정보처리 방식이 악순환의 연결고리를 만듭니다.
 

물론 선생님의 경험은 원치 않았던 부정적인 경험이었던 것은 확실합니다. 그래서 억울함, 화, 모멸감, 불안, 우울 등의 감정을 경험하게 됐고요. 그러나 지금은 이 모든 부정적인 감정의 혼재로 매우 격양돼 있는 상황이므로, 문제를 해결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의연함을 유지하기가 어렵습니다. ‘교사에게 갑질하는 기관’, ‘교사의 편은 세상 어디에도 없다’, ‘트집 잡아 끌어내리려고만 한다’는 표현들은 격양된 감정으로 경험을 회고하는 과장되고 편향된 지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과장된 일반화는 적절한 문제해결과 대처를 제한합니다. 즉, 기울어진 판단으로 ‘산 넘어 산’, ‘엎친 데 덮친 격’을 만들어 낼 수밖에 없지요.
 

저는 다년간 교권침해를 호소하며 상담실을 찾는 여러 교사들을 만나고 있습니다. 교사들과의 상담 경험에 비춰 보면, 선생님의 경우처럼 학교 관리자와 교육청의 지지를 받지 못해 이중, 삼중의 고충을 호소하는 선생님들도 계시지만 대다수의 선생님들은 학교 관리자와 교육청, 그리고 동료 교사들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으며 고통의 시간들을 넘는 것을 목격합니다. 때로는 다른 학부모들의 응원을 받기도 하고요.
 

선생님의 경험이 고통스러운 일이기는 하나, 그 경험으로 앞으로의 교직생활을 절망적으로 보실 필요는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격양된 감정으로는 이 산을 쉬이 넘기가 어렵습니다. 때문에 우선은 감정을 정리하고 소화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부정적인 감정들이 거둬지고, 감정을 안정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되면, 지금의 상황이 다른 국면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그때가 바로 고통스러운 경험을 다시 회고하고 정리할 수 있는 시점입니다.

 

힘을 조금만 빼보면 어떨까요?

 

정당한 생활지도에도 불구하고 학생으로부터 교권침해를 당했고, 학생지도를 위해 개별 면담을 비롯한 갖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허사였다고 했습니다. 여러 모양으로 애썼지만, 결실은커녕 욕설과 위협을 받았으니 얼마나 무력감을 느끼셨을까 싶습니다.

 

교사로서의 많은 노력들이 물거품이 되고, 오히려 오해를 받았다고 해서 ‘수업시간에 화장을 하고, 담배를 피우러 가는 아이들을 모른 척 넘어가는 것’이 능사는 아니겠지요. 이러한 이분법적인(All or none) 대응방식은 오히려 선생님의 교육과 지도에 대한 무력감을 가중시킬 뿐입니다. 이분법적인 대응은 극단에 있는 두 가지 방식 밖에 다른 방법은 없다는 극단적인 사고에서 비롯됩니다. 즉, 선생님이 기존에 시도했던 방식 외에 다른 방식으로는 해당 학생들을 바르게 지도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지도를 포기할 수밖에 없다는 논리지요.
 

반복적인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들을 포기하지 않고 지도하되, 나의 지도를 통해 성장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좀 더 여유 있게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노력의 결실을 보지 못할 수도 있다’라고 말이지요. ‘힘을 뺀다’는 것은 이런 태도를 의미합니다. 때로는 지나치게 힘을 쓸 때, 어긋나기도 합니다. 선생님이 아닌 다른 교사, 혹은 교사가 아닌 다른 사람의 도움을 통해 학생들이 성장할 수도 있습니다. 그 때와 방법, 도구는 아무도 알 수 없지요. 곧 선생님이 아닌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혹은 선생님의 방법이 아닌 다른 방법을 통해 학생들이 변화를 보일 수 있습니다. 단지 선생님은 수확하는 자가 아닌, 뿌린 자가 되는 것입니다. 반드시 내가 뿌리고 내가 거두는 것은 아니지요. 이제 서서히 힘을 빼보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로서의 노력이 당장 결실을 이루지 못하고 나의 뜻과 의도가 곡해되며, 나의 마음을 알아주는 사람이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생님은 교사의 자리를 지킬 수 있을까요? 어떤 힘으로 교사의 자리를 지킬 수 있을까요? 앞으로는 어떤 교사로 남아야 할까요?
 

선생님의 교육방식을 잘 따르고 감사의 마음을 느꼈던 아이들의 마음을 기억하며 교직에 집중하는 것도 좋습니다. 제 코칭에 따라 힘을 빼고 교단에 서보는 것도 좋습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 일이 지금 나에게, 왜 일어났는지를 객관적으로 돌아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전문상담가와의 상담을 불필요한 시간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원하지는 않았지만 선생님 개인을 위한 시간으로 이번 기회를 활용해 보시면 어떨까요? 세상에 이유 없이, 그냥 일어나는 일은 없는 것 같습니다. 어떤 일이 이유 없이, 그냥 일어났다고 생각하는 것만큼 사람을 무력하게 만드는 것은 없는 것 같습니다. 우리는 말 그대로 ‘그냥’ 받아들일 수밖에 없으니 말이지요.
 

지금은 도저히 이해되지 않는 경험이지만 전문가와 함께 돌아보고, 감정을 정화해 상황을 또 다른 국면으로 바라보게 될 때, 비로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단에 설 수밖에 없는 이유를 찾게 되실 것입니다.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