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 여행가방을 챙기고 겨울이 저만큼 와있는 계절의 경계이다. 이즈음 물은 더욱 차고 맑다. 물은 세상 만물을 성장하게 만드는 자양분일 것이다. 본연의 성질대로 위에서 아래로 흐르면서 기꺼이 낮은 곳에 머물러, 도가(道家)에서는 물을 으뜸가는 선(善)의 경지로 여긴다. 저자를 처음 만났던 자리에서 보이던 풍경은 은행잎이 떨어진 흰 바위틈으로 물이 흘렀다. 저자의 삶의 철학이 위로 향하는 삶이 아니라, 세상의 어두운 곳과 절망에 찬 사람들을 향해 낮추는 물과 닮았기 때문일 것이란 생각을 하였다.
정직함이 존경의 대상이 되고, 배려가 아름다움으로 남아야 합니다.
다른 사람이 해 줄 수 없습니다. 바로 ‘내’가 해야 됩니다. 내가 실천하고 ‘우리’가 같이할 때 세상이 아름답게 바뀌는 겁니다.
그렇게 바뀐 아름다운 세상에서 다시 만납시다.
저자는 베이비 부머 세대의 초라한 대한민국 남성이라고 자신을 소개한다. 내세울 것은 없지만, 세상에 할 이야기가 있기에 책을 내놓았다. 자신이 아니면 못할 것이라는 확신이 있었기에 용기를 내었다고 한다. 거짓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정직하고 착한 사람이 무능하다고 손가락질 받는 세상이 싫어, 책을 통해 배려가 만드는 따뜻한 세상을 꿈꾼다. “세상은 바라보는 사람의 시각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 아름답게 보면 희망이 보일 것이고, 추하게 보면 절망이 보인다.” 세상을 배려를 통해 다르게 만들고 싶은 마음이 책 전체에서 흐르는 물처럼 드러난다. 아픈 이를 보듬어 주고 어려운 이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절망을 희망으로 바꾸어 보고 싶어 한다. 그의 글을 읽으며 문득 도덕경의 가장 훌륭한 덕은 물과 같다는 상선약수(上善若水)를 생각하였다.
노자는 도덕경 제8장에서 상선약수(上善若水)로 덕을 말한다. 물은 자신 앞에 있는 사물을 장애로 생각하거나 그것들과 갈등을 빚는 일이 없다. 그저 휘감고 돌거나 비켜 갈 뿐이다. 사물들은 땅에 뿌리를 박고 위를 향해 성장하고, 사람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물은 그렇지 않다. 사람들이 싫어하는 낮고 더러운 곳을 향해 흐른다. 저자 역시 성공하고 멋진 삶을 말하는 겻이 아니라, 아프고 힘들고 어려운 이들을 향해 마음을 열고 안타까운 시선을 보내고 이야기한다. 자신의 지난 아픔을 드러내며 괜찮다고, 다시 시작하면 된다고.
지금 실패로 아파하는 사람 있다면 꼭 말해 주고 싶다.
실컷 괴로워하라. 후회하고 또 후회하면서 때로는 소리 내어 울어라. 주변 사람들이 싸늘하게 변한다면, 그것은 그들에게 진정으로 고마워해야 할 일이다. 그래야만 실패의 참맛을 알 것이고, 그래야만 꼭 다시 일어나고자 하는 오기가 생긴다.
오기는 나를 일으킬 수 있는 힘이다. 인생에 세 가지 기 ‘오기’, ‘끈기’, ‘독기’가 있어야 된다는데, 실패했을 때 필요한 건 ‘오기’이다. 오기가 있어야만 독기와 끈기로 무장하고 다시 한번 도전할 수 있다.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다. 지금 이 시간 어떤 이유에서든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면, 당신은 아마 인생의 기수역쯤에 와 있을 것일 거다. <기수역> 부문
이 글은 선택의 기로에 서 있는 사람에게 주는 글이다. 아프고 힘든 사람에게 '기수역(汽水域)'이라는 말을 통해 다시 도전할 힘을 주고자 한다. 기수역(汽水域)은 강물이 바다로 들어가 바닷물과 서로 섞이는 곳을 말한다. 이곳에서는 소금의 농도가 다양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생물들이 살고 있는 곳이다. 저자는 실패하고 좌절하였을 때 잠시 그곳에 머물며 적응기를 거치듯 자신을 잘못을 곱씹고 곱씹어서 바다를 향해 나갈 준비를 해야 한다고 따뜻한 충고를 한다.
대부분의 일이 그렇겠지만 행복도 연습이다. 열심히 연습하다 보면 가능해진다는 걸 필자는 조금 알 것 같다.
우선 남과의 비교를 줄이고, 자신 내면에 있는 자신감을 끄집어내는 훈련을 해야 한다. 내 인생인데 남과의 비교로 스스로를 깎아내린다면 정말 슬픈 일이다. (중략) 나 없는 세상을 생각해보라. 사실 아무 의미가 없는 일이다. 내가 있기에 세상이 있는 것이다. 내가 있기에 세상과 소통하고 세상 또한 나와 더불어 존재하는 것이다.
살아 있는 자체가 그래서 행복하고, 그래서 눈물 나도록 고마운 일이다. <행복이란?> 부분
저자 최재홍은 ‘키 큰 최씨 연탄집’ 맏아들로 초등학교 5학년 무렵부터 아버지를 따라 연탄 리어카를 밀고 다녔다. 이런 그의 인생의 많은 모습이 진솔하게 책 속에 다가선다. 등단한 작가였다면 어쩌면 비유적으로 표현했을 상처 많은 삶의 편린이 날 것 그대로 쓰여져 있다. 산전수전을 겪은 노장의 모습으로 사람들을 향해 행복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자신 또한 행복하고자 노력한다. 어려움을 겪는 이들에게 자신을 사랑하라고 눈물을 흘리며 호소하고 있다.
인생사 굴곡이 없는 사람이 있겠는가. 그 깊이의 차이는 있겠지만 말이다. 조금 수월해 졌다 싶으면 어려움이 닥쳐오고 또 그 어려움을 슬기롭게 대처하다 보면 좋은 날이 찾아온다.
그 간단한 진리를 모르는 사람이야 어디 있겠냐마는, 일순간 찾아온 어려움을 이겨내기가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문제는 그 어려움이란 게 한꺼번에 몰려 온다는 것인데, 가운데 하나둘 쌓였다가 일시 닥치기 때문이다. <반전이 아름답다> 부분
집 근처 편의점에 로또 당첨자가 나온 뒤 로또 복권을 사려는 사람들로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줄을 서서 복권을 사려는 사람들의 대부분 인생 역전을 꿈꾸는 사람들일 것이다. 아니면 어려움을 한꺼번에 복권 한 장으로 해결해 보려는 사람들일 것이다. 그러나 인생을 어느 정도 살아보면 알게 된다. 인생은 하나를 해결하면 또 하나의 어려움이 다가서는 것이기에 힘듦은 그저 인생의 동반자로 생각하면 될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말한다. 야구가 9회말 투아웃일지라도 끝내기 한 방이 남아있다고. 인생의 반전은 어디서 나올지 모르기에 지금 이 시간을 견디는 사람만이 아름다운 반전을 기다릴 수 있다고 한다.
글은 자기 존재를 스스로의 눈으로 응시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다. 그는 글을 통해 아직도 남아있는 지난날의 상처를 깊이 응시하고, 그 상처를 드러내어 낸다.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가감없이 글을 통해 표현한다. 이 글을 읽고 상처받은 이들에게 작은 힘이 되어주고 싶어한다. 그리고 좋은 세상을 만드는 것은 커다란 것이 아니라 서로를 위한 작은 배려라는 것을. 이것을 통해 따뜻한 세상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이 책의 발간으로 저자의 행보가 더 멋진 모습으로 나아가기를 기원한다.
가을이 베이지색 코드와 체크무늬 스카프를 두르고 역을 향해 걸어간다. 바쁜 걸음을 따라 바스락 바스락 소리가 들린다. 그녀를 배웅한다.
『배려가 세상을 바꾼다』, 최재홍 지음, 불휘미디어,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