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교사를 편한 직업이라고 했던가?
코로나가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이후 근 1년 만에 미용실에 갔다. 머리가 귀신같이 길어질 때까지 버티고 버텼지만, 새 학기 첫날 처음 만나는 아이들 앞에서 단정한 모습을 보여주려면 어쩔 수 없었다. 싹둑싹둑 머리카락을 자르는데 아깝지 않았다. 힘들었던 한해를 싹둑싹둑 잘라 멀리 보내버리고, 새 학기 맞이하는 속 시원한 마음이 들었다. 으레 어느 미용실에 가면 그러하듯 미용사는 이것저것을 물었다.
“무슨 일하세요?”
“교사예요.”
“그렇구나. 좋으시겠어요. 요즘 같은 때에는 교사가 최고라고 하잖아요. 코로나로 다 힘든데 교사만큼 안정적이고 편한 직업이 어딨겠어요?”
“아…, 네…, 그렇죠.”
사람들은 이렇게 말한다. 교사만큼 편한 직업은 없다고. 그러나 교사가 힘든 이유를 일일이 나열하자면 한 권의 책으로 정리할 수 없을 만큼 많을 것이다. 다만 너무 많아서 무엇부터 얘기해야 할지 몰라 그냥 속으로 삼킬 뿐이다. 사실은 이렇게 외치고 싶었다. ‘아니요. 코로나 때문에 교사도 힘들어요. 교사가 편한 직업이라고 하는 사람들 때문에 더 괴롭다고요!’
지난해 학교는 혼란 속에서 허우적댔다. 손바닥 뒤집듯 바뀌는 학사일정, 긴급히 내려오는 방역수칙들, 처음 접하는 온라인수업으로 인해 몸도 마음도 힘들었다. 하루 만에 급하게 처리해야 하는 공문들이 많아 ‘(긴급)’ 타이틀이 붙은 공문을 보면 심장부터 벌렁거렸다. 그리고 생전 없던 불면증이 생겼다. 방역에 대한 고민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져서 도무지 잠이 오지 않았다. 2월 마지막 출근일에 우리 학교 부장님은 너무 힘든 한 해였다며 왈칵 눈물을 흘리셨다. 학교 밖 사람들은 교사가 수업만 하는 줄 안다. 하지만 외부 인력채용 및 관리에서부터 각종 행사 진행 및 방역에 관한 모든 것을 교사가 떠안고 있다는 걸 안다면 결코 교사를 편한 직업이라고 생각하지 않으리라.
개학을 앞두고 봄방학 내내 학교로 출근했다. 정리해야 할 짐이 산더미같이 쌓여있었기 때문이다. 교실을 향해 터벅터벅 걸어가는데 돌봄 담당선생님께서 나를 알아보고 반갑게 인사를 건넸다. 돌봄 담당선생님을 보니 여러 가지 복잡한 감정이 쏟아져 나온다. 돌봄선생님은 등교 주간이 순식간에 바뀔 때마다 늦게까지 남아 돌봄교실 운영 및 방역계획을 세웠고, 휴일에도 허겁지겁 학교에 나와 원격지원관리 강사를 선발했다. 또 시도 때도 없이 울려오는 긴급돌봄 지원 전화에 응대해야 했고, 교육청에서 갑자기 내려 보내는 사업비 앞에서도 침착한 마음을 유지해야 했다. 그러나 돌봄선생님은 힘든 티를 내지 않으셨다. 오히려 맛있는 거 먹고 힘내자며 출근길에 사 온 따끈한 호떡을 손에 쥐어주셨다. 갑자기 내려온 공문을 처리하다가 체했다며 밥 대신 죽을 드시면서도 생글생글 웃으셨다. 돌봄선생님께 고맙고 죄송하다. 우리는 이렇게 여러 선생님들의 희생과 노력 덕분에 한 해를 버틸 수 있었다. 그리고 더 나아가 ‘학교가 제일 안전한 곳’이라는 타이틀을 얻을 수 있었다.
교사들은 괜찮지 않습니다만
이렇듯 학교가 코로나로부터 제일 안전한 곳이라는 타이틀을 얻은 후, 지방 곳곳에서는 모든 교육활동을 정상화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우리 학교도 3월부터 등교 인원 및 등교 횟수를 늘리고 방과후학교를 운영할 채비를 했다. 쌍방향수업 시간도 대폭 늘었다. 듣자 하니 우유급식을 시작하는 학교, 1박 2일 수학여행을 계획하는 학교도 있는 모양이었다. 이렇듯 교육활동 정상화에 대한 기대감은 높아지는 반면 교사들은 여전히 혼란스럽다. 학습 사이트 접속 에러는 계속됐다. 불만은 애꿎은 담임교사에게 돌아간다. 심지어 학생이 늦잠을 자다가 쌍방향 수업에 참여하지 못했음에도 그 탓은 온전히 담임교사의 몫이 된다. 원격주간 학습계획 작성 및 안내, 콘텐츠 제작 및 업로드, 쌍방향 수업자료 제작, 학습상태 체크, 과제제출 확인 및 피드백을 하다 보면 어느새 퇴근시간을 훌쩍 넘긴다. 아직 업무는 손도 못 댔는데 수업관리만으로 하루가 다 지나가 버렸다.
이런 담임선생님의 속사정을 아는지 모르는지 새 교실 새 친구를 만난 아이들은 한껏 기대에 부푼 모습이다. 친구와 쫑알쫑알 수다를 떨고 싶다는 눈빛을 보내는 여학생들, 친구와 장난을 치며 뛰어다니고 싶어 들썩거리는 남학생들을 뒤로하고 목이 터져라 외친다.
“조용히 하세요. 친구와 대화하지 마세요. 돌아다니지 마세요. 친구와 거리를 두세요. 마스크를 잘 쓰세요. 책상 소독은 했나요? 설마 손도 안 씻고 밥 먹으러 갈 생각은 아니죠? 아이 참, 친구에게 준비물을 빌려주면 안 돼요. 아직 코로나 상황은 심각하다구요!”
한 학생이 친구에게 가위를 빌려주다가 딱 걸렸다. 그러나 ‘선생님, 잘못했어요. 그런데 준비물을 두고 온 친구를 도와주고 싶었어요’라는 사슴 같은 눈빛을 뿜뿜 발사하는 바람에 혼내지 못했다. 우정을 나누고 싶어 하는 아이들 틈에서 왠지 나는 그사이를 갈라놓는 마녀가 된 느낌이었다. 쉬는시간에도 거리두기에 대한 감시는 계속된다. 3월에 분위기를 잘 만들어 두어야 한해를 안전하게 보낼 수 있음을 잘 알고 있기에 한시라도 긴장을 늦추지 않는다. 그러나 하루종일 거리두기를 지도하지만 친구와 놀지도 못하고 외롭게 앉아있는 아이들을 보면 마음이 짠하다. 모르는 척 친구와 놀게 해 줄까 잠시 고민하지만 새 학기 초부터 ‘○○초등학교에서 코로나 확진 학생 발생. 거리두기 지도를 소홀히 한 것으로 밝혀져’라고 신문 첫 면을 장식하게 될 위험을 감수할 순 없는 노릇이다. 결국 쉬는시간도 없이, 화장실 갈 시간도 없이 하루 종일 마스크를 쓰고 수업을 하고 나면 온몸이 녹초가 된다.
“어우 힘들어. 커피 한잔 마셔야지.”
“선생님, 오늘 너무 많이 드시는 거 아니에요? 밤에 못 주무실 수도 있어요.”
“몰라. 일단 너무 마시고 싶어. 스트레스 받아.”
“으잉? 커피랑 간식이 벌써 다 떨어졌네.”
커피와 간식이 사라지는 속도는 선생님들의 스트레스 지수와 비례한다. 학기 초에 커피와 간식이 가장 빨리 동나는 법이다. 일 해야하는데 찐살을 빼야하는 고민까지 생겨버렸다.
“쌍방향수업 너무 힘들어. PPT에 영상을 넣었는데 중간에 멈추고 안 넘어가. 나만 못하는 것 같아. 정말 자괴감 들어. 그냥 애들이 오는 게 낫겠어.”
“선생님, 우리 정년까지 버틸 수 있을까요?”
“어이구, 꿈도 야무지셔. 우리가 어떻게 정년까지 해? 그전에 퇴직하겠지.”
커피 중에서도 가장 달다는 바닐라딜라이트를 타 먹었는데도 커피 맛이 씁쓸하다.
괜찮은 척하겠습니다. 왜냐하면
3월초부터 백신 접종을 시작했다. 아직 교사와 학생들까지 접종하려면 한참을 기다려야 하겠지만 백신 접종이 착착 이뤄지고 있다. 얼마 전 남편도 백신을 맞았다. 우리 부부는 코로나가 내년까지는 종식될 거라고 예상하고 있다. 확진율과 사망률이 감소하면 모든 거리두기 정책들이 하나둘씩 풀리고 코로나 이전의 생활로 돌아갈 거라고 굳게 믿고 있다. 그렇게 된다면 “코로나 시기에는 그랬지. 그땐 그랬어”라며 웃어넘기고, 후배교사들에게 코로나 시기의 교사들의 고군분투 생존기를 영웅담으로 만들어 전해줄 것이다. 앞으로 학교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알 수 없지만 그 끝이 머지않았다고 믿기에 희망이 있다.
“강한 자가 오래 남는 게 아니고 오래 남는 사람이 강한 거야.”
우리 학교 수석 선생님께서 풀이 죽어 있는 나에게 건넨 말이다. 그래 우리는 괜찮지 않다. 하지만 오래오래 교단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제 갓 입학한 귀여운 1학년 학생들에게도 원래 학교는 얼마나 재밌는 곳이었는지 알려줘야 하지 않겠는가? 봄이 오고 있으니 희망의 꽃이 필 날도 머지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