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비가 내립니다. 비는 초록 잎사귀와 분홍 꽃잎 사이로 보드랍게 흘러듭니다. 꽃잎들이 아스팔트에 무수히 하얀 점을 만들어냅니다. 그 점들은 서로 이리저리 모였다가 흩어지기를 반복합니다. 물줄기를 따라 흐르는 꽃잎들이 몽환적인 장면을 연출합니다. 저 꽃잎을 따라가면 형산의 연화봉 아래 아름다운 팔선녀와 성진을 만나 꿈같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춘삼월 백화는 만발하고 운무는 자욱한데, 봄 새 소리에 춘흥이 무르익고 물색이 발길을 멈추게 하니 팔선녀들로 자연 마음이 들뜨는지라, 돌다리에 걸터앉아 시냇물을 굽어보니...” 이런 풍경 속에서 선남선녀가 만났으니 어찌 춘심이 동하지 않았을지 읽으며 웃음이 절로 났습니다. 다리에 버티고 서서 길값을 받아내고자 하는 진상 손님과 복사꽃 한 가지를 꺾어 찬란히 빛나는 明珠(명주)로 변하게 하는 재주를 피우는 육관대사의 수제자 성진은 첫 만남부터가 달콤살벌합니다. 요즘으로 말하면 조선판 로맨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소설은 당대 최고의 유학자가 쓴 소설로 유교와 불교, 도교의 사상이 융합된 상태를 이루고 있습니다. 인간의 부귀공명(富貴功名)이란 한낱 꿈에 지나지 않는다는 불교적 작품 주제가 나타나기는 하지만 유교적인 이상세계인 입신양명과 부귀영화가 이상적으로 그려지고 있습니다. 어쩌면 김만중은 꿈과 같은 세계에서 영원한 생명과 행복을 누리며 어머니께 효도하고 싶었을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구운몽』은 서포 김만중이 2차 유배지인 평안북도 선천에서 지었다고 전해집니다. 그가 살았던 때는 서인과 남인의 치열한 당쟁으로 정치가 몹시 어지러운 시기였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왜적에 맞서다 순절하였으며 어머니께서 피난을 나오시다 배 안에서 그를 낳아 유복자로 태어났습니다. 그래서 어린 시절 이름이 배에서 태어났다는 의미인 船生(선생)이었습니다.
김만중의 어머니 윤씨는 남편을 잃고 남겨진 두 아들(만기, 만중)을 직접 가르쳤다고 합니다. 두 아들은 모두 대제학에 올랐으며, 효심이 지극하였다고 전해집니다. 그러나 김만중은 여러 번 유배를 가서 어머니의 마음을 아프게 하였습니다. 51세에 장희빈 문제를 거론하다 선천으로 유배 가게 됩니다. 그때 형 만기도 죽습니다. 유배지에서 어머니 윤씨의 생일에 즈음한 내용의 편지 한 구절이 『서포연보』 다음과 같이 전합니다.
정묘년 ····· 9월 선천 유배지에 가다. ····· 부군은 이미 귀양지 이르러 윤부인의 생신을 맞이했다. 시를 지어 이렇게 말했다. “멀리 어머님께서 그리며 눈물을 흘리실 것을 생각하니, 하나는 죽어 이별이요 하나는 생이별이로다” 또 글을 지어 부쳐서 소일거리로 삼게 하였는데, 그 글의 요지는 ‘일체의 부귀영화가 모두 허망한 꿈이로다.’ 것이다. 또한 어머니의 마음을 넓혀 그 슬픔을 달래기 위한 것이었다.
우수수 꽃비가 내리는 봄날에 꿈과 같은 소설을 읽었습니다. 조선 최고의 유학자 김만중은 외로운 유배지에서 아름답고 기이한 이야기를 지어 외로운 어머니의 마음을 위로하였을 것입니다. 그 마음이 봄꽃처럼 참으로 아름답습니다.
『구운몽』, 김만중 지음, , 2001(3판), 범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