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방예의지국이라는 말은 우리 대한민국을 지칭하는 대표적인 표현이다. 동방예의지국을 일본이나 중국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어디에 있겠는가? 세계 모든 나라가 대한민국은 동방예의지국이라고 서슴없이 말한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어른과 스승을 존경하는 정도가 동남아 17개국 가운데 꼴찌라는 유엔기구의 조사결과는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그 원인이 어디에 있건 이것이 바로 우리 교육자의 책임이 아닌가하여 죄책감이 앞선다.
무너진 교권, 무너진 사도를 찾고 세워야 한다. 스승을 존경하지 않는 학생이 올바로 성장할 수 없다. 스승을 존경하지 않는 사회가 제대로 발전할 수 없는 일이다. 각계에서 스승존경 운동이 일어나야 한다. 우리 선생님들도 책임을 통감하고 공교육을 바로 세워야 한다. 그런데 선생님의 사기가 떨어지고 힘이 없어서 선생님만으로는 공교육을 바로 세우는 일이 힘에 겹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선생님들에게 공교육을 바로 세울 수 있는 힘을 주어야 한다. 그 힘은 바로 선생님의 사기이고 신명이며 사명감인 것이다. 학교교육이 살아야 우리의 아이들은 즐겁고, 교사는 가르치는 보람에 신바람이 나며,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력 있고 인간성 풍부한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교육개혁이니 뭐니 하는 여러 가지 일로 선생님들의 사기를 떨어뜨리는데 그 중에서도 으뜸은 ‘체벌금지’라고 생각한다. 필자도 체벌을 크게 찬성하는 입장은 아니다. 그렇지만 예를 들어보자. 사람이 아플 때 의사를 찾아가면 의사의 처방대로 해야지 건강을 다시 찾을 수 있다. 의사가 약을 먹으라고 하면 약을 먹어야 하고, 주사를 맞아야 한다고 하면 주사를 맞아야 한다. 처방대로 하지 않으면 병을 치료 할 수가 없으며 더 나아가서는 목숨도 잃게 되는 것이다.
의사도 전문직이고 교사도 전문직이다. 병원에서는 의사의 지시대로 하면서 왜 학교에서는 선생님의 지도를 따르지 않는가? 선생님은 교․사대에서 전문자격을 취득 한 후 일정한 수습기간인 교생실습을 거쳐 교단에 선다. 학생들은 선생님들의 지도에 따라야 한다. 의사가 수술할 때 환자는 수술을 잘 해달라는 부탁을 하고, 죽어도 좋다며 보호자가 도장까지 찍어주는 실정이다. 그러면서 우리의 인생과 미래를 지도하는 선생님에 대한 존경과 믿음은 거기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우리는 전문직인 선생님을 전적으로 믿고 존경해야 한다. 선생님에게는 권력이라는 것이 없다. 또한 선생님은 큰돈을 벌 수 있는 위치에 있지도 않다. 선생님은 오직 교직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 사명감을 갖고 살아갈 뿐이다. 존경받지 못하는 선생님들은 직장인 또는 단순한 월급쟁이로 남게 된다. 그렇게 되면 결국 손해를 보는 것은 학생들이고, 학부모이고, 더 나아가서는 국가가 된다.
필자가 재직하는 서대전고에서는 2001년 11월 학부모 1000여명이 자발적으로 스승존경운동결의대회를 개최했다. 당시 학부모들은 ‘무너진 교권 다시 세우기, 자녀 앞에서 선생님 비하 안 하기, 교육적 체벌 감수하기, 교사 지도방식에 이의 제기 않기’ 등을 결의하고 체벌을 해 달라는 뜻에서 ‘사랑의 매’ 70개를 만들어 선생님들에게 전달했다.
스승존경 캠페인 이후 선생님들은 사기가 올라 신명이 나고, 학생들은 선생님의 지도에 잘 따르게 되고, 학부모들은 학교를 믿고 적극적인 협력자가 되었다. 그 결과 수능시험 점수가 전년도에 비해 크게 상승하는 결과를 얻었다. 각 언론에서는 ‘스승존경이 곧 학력신장’, ‘선생님 존경하니 성적 저절로 올라’ 등의 기사를 보도하기도 했다.
이제 서대전고에서 시작된 스승존경운동이 대전지역은 물론 전국으로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참으로 바람직한 일이다. 선생님을 믿고 체벌에 대한 권한을 주어야 한다. 교사가 신명나면 학교교육은 틀림없이 좋은 성과를 낸다. 인격지도, 실력지도, 기술지도 등이 모두 선생님의 역할이다. 선생님이 신명나지 않고 위축된 상황에서 공교육이 바로 설 수 있겠는가? 이제부터라도 선생님을 믿고 따르며 힘을 주는 사회풍토가 마련됐으면 한다. 그것이 교육도 살리고 나라도 살리는 지름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