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4 (목)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임인년, 잘 살았나요

동지를 앞둔 12월의 새벽 공기가 코끝을 싸늘하게 한다. 고개 들어 나목을 보면 실핏줄 같은 잔가지들이 추위에 떨고 있다. 삶의 연륜은 얼굴에 그려지고 젊은 날의 추억을 하나씩 떠올리면 잠시 행복에 들뜨지만 한 해의 끝자락이라 왠지 서글퍼진다.

 

해마다 12월이면 교수신문에서 올해의 사자성어를 발표한다. 2022년 사자성어는 과이불개(過而不改: 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다)이다. 이 말은 지금 우리의 정치 현실을 그대로 말하고 있다. 이 외에 욕개미창(慾蓋彌彰: 덮으려고 하면 더욱 드러난다), 누란지위(累卵之危: 여러 알을 쌓아놓은 듯한 위태로움), 문과수비(文過遂非: 과오를 그럴듯하게 꾸며내고 잘못된 행위에 순응한다), 군맹무상(群盲撫象: 좁은 소견과 주관으로 사물을 그릇되게 판단한다) 등 순으로 올해의 사자성어로 추천했다. 한편, 지난해 교수들이 추천한 사자성어는 묘서동처(猫鼠同處: 고양이와 쥐가 한패가 됐다)였다.

 

과이불개는 논어의 위령공편에서 처음 등장한다. 공자는 과이불개 시위과의(是謂過矣: 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 것, 이것을 잘못이라 한다)라고 했다. 과이불개는 조선왕조실록에서도 몇 번 인용된 사례가 있다. 성군으로 불린 세종대왕이 잘못을 인정하고 후회하며 고치는 사례로 등장한다. 반대로 연산군일기에서는 신료들이 반대하지만 고칠 생각이 없는 연산군을 비판하기 위해서 인용되었다.

 

2022년 임인년 한 해를 보내면서 어려운 사자성어를 떠올려 보는 이유는 무엇일까? 사람은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살아가면서 잘못을 저지를 수 있다. 신이 아니기에 당연한 일이며 그 잘못을 인정하고 고치려는 과정에서 발전이 있다.

 

요즘 세상살이를 보면 옳고 그름이 존재하는지 의구심이 든다. 강대국 주도의 세계질서, 권력을 가진 자들의 부도덕한 행동을 보면 악마가 따로 있는 게 아니고 사람이 바로 그렇다고 생각한다. 칼자루를 쥔 자와 칼날을 잡은 자의 차이려니 생각하지만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없으니 답답할 뿐이다.

 

나라와 세상을 이루는 것은 개인으로부터 시작된다. 이 세상의 구성원인 필부필부인 개인도 과이불개를 떠올리며 자신의 한 해를 돌아보는 일이 필요한 시점이다. 자기 잘못은 고치지도 못하면서 타인의 허물을 들추는 일이 없었는지 돌아봐야 할 일이다. 이렇게 자기 잘못을 알려주는 것은 마음속에 있는 양심이다. 이 양심의 선을 넘으면 온갖 욕망이 눈을 가리고 잘못을 저질러도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게 한다. 양심을 눈멀게 하는 것은 욕망이다. 욕망에 노예가 되면 억측과 위선, 방종과 교만으로 날뛰며 더욱더 양심을 짓밟아 버린다.

 

 

지난 1월 일출을 보면서 다짐한 일을 되돌아본다. 올해는 제발 성내지 않고 서두르지 않으며 내 마음속 작은 울림을 귀 기울이며 한 걸음씩 가자고 했다. 그리고 12월을 보내는 지금, 그 작은 울림의 소리에 충실했는지 돌아보면 고개를 들지 못할 일이다. 왜 이렇게 살았냐고 질책해보지만 돌아오는 것은 의기소침한 모습뿐이다. 그러나 기죽을 필요 없다. 잘못을 알았다는 마음이 일어나면 고칠 수 있는 기회는 있게 마련이다. 포기하고 변화시킬 수 없다고 낙담하고 일상에 머물면 그저 평온함은 얻을 수 있지만 발전은 없다. 자책보단 변화시킬 수 있는 의지와 용기로 다시 한번 자신을 위로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누군가 말했다. 백 년 세월 앞에 인생은 겸손해지고, 천년 세월 앞에 예술을 느끼고, 만년 세월 앞에 삶은 티끌 같으니 오늘 하루를 열심히 사는 것이 배움이고 용기라고 하였다.

 

생각해 본다. 어두운 밤 전조등에 비치는 삭풍에 휘말려 도로 위를 나뒹구는 나뭇잎은 상처를 입지 않는다. 또한 순수함으로 옷을 입은 바닥에 넘어져도 잘 다치지 않는다. 이는 욕심 없는 순수의 모습과 용기가 가져다주는 선물이다.

 

12월이 저물고 있다. 세월은 흘러서 노을길을 걸어가고 붉게 물든 산등성이 저녁노을이 시리도록 아름답다. 어리석은 사람은 자신이 똑똑하다고 남한테 인정받길 원하지만 지혜로운 사람은 자신의 어리석음을 깨우치려 한다. 먹고 사는 것에 고달파지면 사랑조차 소 닭 보듯 데면데면해지지만 힘들어도 자신과의 소통을 통한 변화가 더 희망적인 삶을 만들 수 있다. 자신이 한 해 동안 걸어온 길을 이제 와서 후회해봐야 소용없고 자책은 더 어리석은 일이다. 반추하며 새해를 위한 거울을 삼는 것이 제일 좋은 처신이다.

 

 

삶에 있어 작은 배려가 사랑의 마중물이고 넉넉한 마음이 행복의 화수분이다. 깊은숨 들이쉬고 지금 가진 것이 작을수록 앞으로 가질 것이 더 많을 것이라는 희망으로 평범한 햇살 하나에도 행복해야 한다. 그리고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는 지혜로운 길을 가는 것이 가장 현명한 인생 공부이다. 언제나 내면에서 울려오는 소리에 귀 기울이고 잘못을 고치는 성숙함으로 한 해를 마무리하였으면 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