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조류독감으로 인한 불안감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전북 고창, 부안 사육 오리에 이어 철새 가창오리 떼가 감염됐고 그 범위도 확대되고 있다. 조류독감은 닭, 오리 등 가금류와 야생조류에서 발생하는 전염성 바이러스 질병으로 인체 감염을 일으킬 경우 고병원성을 지니기 때문에 경계해야 한다. 독감, 또는 플루라고 부르는 ‘인플루엔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하는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H항원과 N항원의 종류에 따라 여러 아형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H항원은 0~15, N항원은 0~9로 나뉘는데 H항원은 10~40년 마다 변종이 생겨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경향이 있다. 이번에 발병한 조류독감은 H5N8 아형으로 아직까지는 사람에게 감염된 사례는 없다. 지난 해 2월 중국 상하이 안후이성에서 사망자가 발생한 바이러스는 H7N9형이다. H7N9형은 가금류에는 저병원성이었으나 사람에게는 고병원성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H7N9형의 국내 발병 보고는 아직 없다. 조류독감은 사람에게 직접 전염될 수 없다고 알려졌던 바와 달리 1997년 홍콩에서 발견된 H5N1 아형 바이러스는 사람도 감염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 당시 이 바이러스에
겨울은 감기의 계절이다. 감기의 예방법과 퇴치법은 일반적인 전염병 예방과 퇴치의 원칙에 준한다. 여기에는 감염원, 매개체, 숙주의 면역력의 3가지 요소가 관여한다. 병을 일으키는 감염원이 없으면 병은 일어나지 않으며, 병을 옮기는 수단인 매개체가 없으면 전파되지 않을 것이다. 또 바이러스나 세균이 들어와도 숙주인 사람의 면역이 강하면 걸리지 않는다. 이 세 가지 중 어느 하나만 막아도 감기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 감기 바이러스는 맹랑한 구석이 있다. 이 녀석들도 독감 바이러스처럼 변신의 귀재들이다. 우리 몸은 한번 침공을 극복한 원인균에 대해서는 면역을 획득하지만 변신을 밥 먹듯 하는 감기 바이러스 앞에서는 힘을 못 쓴다. 감기는 환자의 침, 가래, 콧물 등의 매개체를 통해 전염된다. 기침이나 재채기로 공기 중에 퍼진 침방울들이 다른 이의 기도로 들어가 감기를 일으키는 것이다. 공기만이 문제는 아니다. 감기 환자의 손은 늘 코를 풀고 기침을 한 탓에 감기 바이러스로 도배돼 있다. 그 손을 잡고 악수한 후 손을 코나 입으로 가져가면 바이러스는 순식간에 기도로 유입된다. 손만 씻어도 상당부분 감기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 그런 이유에서다. 손은 자주 씻어야 한다